왜 나만 착하게 살아야 해 - 착한 척, 괜찮은 척하느라 지쳐버린 이들을 위한 위로
김승환 지음 / 북카라반 / 2020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착한게 나쁜 건 아니었다.우리는 착하게 살아가는 것, 사람과 사람 사이에 선행을 배풀면서 살아가는 것을 미덕으로 삼고 있었다.그런데 교육을 통해 배웠던 선행들, 착함에 대한 미덕을 당연하게 생각하면서,어느덧 나 자시이 억울한 마음이 들게 되었다.그건 착함을 당연하게 생각하는 사람들이 착함을 착취하려는 모습이 반복적으로 나타나고 있어서였다.돌이켜 보면 사회 안에 숨어있는 인간의 이기적인 마음들이 많은 문제들이 나타나고 있었다.내 마음을 헤아리지 못하고, 사람들과의 관계가 깨지는 문제들이 생겨났으며, 살아가는 것에 대해서 ,사람과의 소통과 공감,이해의 관점에서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이 책은 바로 우리의 착함에 대한 문제들, 착해지려고 노력하면 할수록 억울한 마음들이 들었던 이유를 살펴보고 있었다.나를 사랑하는 것이 이기적인 것으로 비춰지는 우리 사회안에서, 결국 어떤 문제가 생길 때, 내가 배웠던 것들이 그 문제를 풀지 못함으로서, 이 책을 쓴 저자처럼 죽고 싶은 생각에 이르르게 된다.결국 그런 것이다.내 마음을 누군가가 이해하지 못한다는 것은 속상함을 넘어서서 슬픈 일이다.내 안의 어린 마음을 돌아보지 못하고, 내 안의 감정들을 헤아리지 못함으로서 생겨나는 문제들이 있었다.몸은 어른이지만, 마음은 아이 그대로인 채 묶여 있는 우리의 삶은 결국 나 스스로 내적 분열과 심리적인 동선을 겪게 되었다. 괜찮다고 말하지만, 결코 괜찮지 않은 우리들의 생각, 솔직하지 못하고, 내 안의 욕구를 표현하는게 어색한 우리들은 마음 속에 멍이 들어가고 있었다.


이제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나의 상처를 어루만지고, 치유의 길로 나아가는 것이다. 가면을 쓰고 살아가는 우리들은 불편한 마음, 내 안의 감정들을 솔직하게 말하지 못할 때가 있다.하고 싶은 말을 하지 못하면서, 목구멍이 막히고, 하고 싶은 말을 드러내면서 생기는 깊은 후회, 그럼으로서 나 자신과 소통하지 못하고, 주변 사람들과 소통하지 않는 이유가 된다. 더 나아가 삶에 대해서 생각하게 되고, 특히 거절하고 싶은 상황에서 거절하지 못하는 우리들의 마음이 있다. 더 나아가 정작 자신을 위해 살아가지 못하는 우리에게 살아가는 삶의 방향성을 잡아갈 필요가 있다.더 나아가 내 삶에 지혜로운 선택과 기준, 더 나아가 삶에 대한 지향점을 잡아갈 필요가 있으며, 괜찮지 않은 나, 상처받은 나를 어루 만질 수 있는 시간이 필요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