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15 - 일제 강점기, 나라와 이웃을 사랑한 젊은 지식인 현성 이야기
이준태 지음 / 도토리 / 2019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소설가 이준태님의 <1915>에 대한 첫 느낌은 양장의 두꺼움이다.양장본으로서 우리의 한국 근현대사를 비추고 있으며, 우리가 배우는 역사의 실제적인 현실을 배울 수 있다.역사는 우리에게 새로운 길을 열어주고, 그 흔적들 속에 개인의 역사가 숨어 있다. 남원의 유지였던 상옥의 아들 상현은 지역에서 보통학교를 거쳐 서울의 사림 명문고등학고 중앙고보에 입학하게 된다. 아버지의 재력과 일본인 학교 선생님의 뒷받침이 가능했던 이유, 상현이 명문 고등학교에서 공부할 수 있었던 이유였다.


그렇게 서울에 그 때 당시 감히 타보지 못하는 기차를 타고 올라가게 된 상현에게 조선의 수도 경성은 낯선 곳이었다. 학교에서 일본인 교사 밑에서 공부를 하면서, 사회주의와 공산주의에 대한 씨앗을 심어나가게 되었다. 아이들과 부대끼면서, 한학을 배웠던 조선 말엽과 일제강점기의 경계에서 이상현은 금수저나 다름없는 횡보를 보여주게 된다. 하지만 소설은 역사의 소용돌이 속에서 예고되지 않은 하나의 사건에 주목하게 된다. 교실 내에 사라진 물건의 범인으로 상현이 지목된 것이었다.실제 범인은 따로 있었으니 후에 전주경찰서 특고과 가네야마 순사부장이 되는 친일 행벅을 보여주는 고주석이다. 


소설은 학창시절 상현이 추구해왔던 만남이 악연이 되는 그 과정을 세밀하게 그려내고 있었다. 그건 '바늘 도둑이 소도둑 된다'는 속담에 최적화된 인물이 고주석의 또다른 모습이라 말할 수 있다.여기서 놓치지 말아야 할 부분, 그건 주인공의 걸음 걸음들이다. 학창 시절 지식인으로 배움을 추구했던 상현은 독립을 하려면, 무지에서 벗어나야 한다는 인식을 같이 하게 된다. 소설 심훈의 <상록수>에서 보았던 농촌 계몽운동을 상현도 뜻을 같이 하게 되었다. 서로 입장의 차이는 다르지만 조국 독립을 꿈꾸는 그들의 변화의 발걸음은 조선 한반도가 아닌 러시아 변방에서 불어 오고 있느 새로운 바람, 브나로드 운동이었고, 그것을 조선 독립의 매개체이자 부산물로 만들어 보고 싶어 한다. 즉 이 소설은 우리가 꿈꾸고 기록했던 역사들이 실제로는 한 개인의 역사와 맥을 같이 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독특한 소설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