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House of Broken Angels (Hardcover)
Luis Alberto Urrea / Little Brown & Co / 2018년 3월
평점 :
품절


브리울리오,미니의 오빠.벌써 죽은 지 10년 가까이 된 무덤 속 존재.그 아들은 세상을 떠남으로써 가족의 성인 자리까지 등극했다.불쌍한 아부지.아 큰 아들 둘이 있지만 아들 둘 다 처절하게 망했다.아무도 그 둘 이야기를 감히 꺼내지 않았다. 그래서 지금은 랄로나 데리고 스스로를 속이고 계신다. 얘는 좋은 아들이라,아마도 어후,그녀의 머리가 또 지끈거렸다. (-39-)


라 글로리오사는 방금 막 들어와 환하게 불을 밝힌 식당 벽감안에서 엉덩이에 손을 대고 역광을 받으며 서 있었다. 보정 속옷을 입어서 죽을 것만 같았다. 금빛 치마가 불꽃처럼 펄럭이며 갈색 다리를 드러냈다. 그는 옷감 너머로 그 다리의 그림자를 보았다.어깨에 드리워진 그녀의 머리카락은 탄력적이고 빛을 받아 반짝이는 모습이 마치 잉크의 바다 위에 반짝이를 뿌려놓은 것 같았다.그녀는 리틀 엔젤에게 시선을 보냈다.그는 씩 웃었다.그녀는 타코 가게에 걸린 아즈텍 여신의 모습이었다. (-161-)


라 글로리오사는 완벽한 아침의 힘을 과시하며 모습을 드러내었다.머리카락이 은색으로 반짝반짝 빛나는 게 후광을 두른 듯 했다.세사르는 그녀를 보자 얼굴을 붉혔다. 리틀 엔젤도 마찬가지여다.두 남자가 간식을 간절히 원하는 슬픔 개처럼 멍청하니 서 있는 꼴을 본 그녀는 짜증이 났다. 그래서 그들에게서 휙돌아서서 단호한 손짓으로 비닐 식탁보를 탁탁 풀어헤쳤다. (-303-)


리틀 엔젤은 숨을 깊이 들이 쉬었다
"내가 떠나서 미웠겠지.알아,내가 형을 비롯해서 모두를 깔보고 있다고 생각했다는 것도 알아.뭐 어쩌면 그랬을지도 .난 평생 살아남기 위해서 탈출해야 한다고 생각했을지도.그런데 이제 형이 날 떠나려 하고,나는 형 없는 세상은 상상도 할 수가 없어.난 언제나 생각했어.내가 원했던 아버지를 가졌던 적은 한 번도 없었다고,그리고 이제껏 내가 원했던 아버지는 사실 형이었어." (-423-)


모든 사람은 비밀을 품고 죽는다.빅 엔젤은 분명히 행복한 사람일 것이다. 가장 끔찍한 사실을 안전하게 숨긴 채로 죽을 테니까.삶이란 사물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기 위한, 또한 타인으로부터 무언가를 지키기 위한 긴 투쟁이다. 이것이 그의 가장 은밀한 비밀이었고,그건 결코 죄가 아니었다.다만 그가 훌훌 털고 일어날 수 없었다는 사실을 그 누구에게도 알리고 싶지 않은 것 뿐이었다. (-466-)


마마 아메리카와 돈 안토니오 사이에 태어난 빅엔젤이 태어난 곳은 멕시코 본토였다.가난과 고통의 상징 멕시코, 그에 반해 빅 엔젤의 배다른 형제였던 리틀 엔젤은 아빠 돈 안토니오와 베티 사이에 태어난 아이로서 ,미국에서 태어나 미국 문화를 받아들이게 된다.일흔이 된 빅 엔젤과 이제 쉰살이 넘어선 리틀엔젤,서로 배다른 형제이면서, 각자 다른 삶을 살아가지만,그들 사이에 정겨운 우애가 있었다.


하지만 두 사람 사이의 관계는 묘하게 삐걱거리는 것처럼 보여지고 있다.빅 엔젤이 70 생일을 맞기 직전에 그에게 찾아온 곳은 죽음이었다. 죽음을 코앞에 두고 , 빅엔젤은 슬퍼할 겨를이 주어지지 않았다.그건 백살 노모의 죽음이 자신 앞에 놓여져 있었기 때문이다. 행복한 죽음을 꿈꾸었던 빅엔젤은 자신의 생일을 미루고, 노모의 장례식을 준비하게 된다.삶과 죽음이 치열하다는 것을 빅 엔젤은 스스로 자신의 몸을 통해서 보여주었고, 자신의 삶을 온전히 부모의 삶과 겹쳐 놓고 있었다.


빅엔젤과 리틀엔젤, 멕시코와 미국의 문화가 두 사람의 삶에 투영되고 있었고, 두사람 사이에 금빛 찬란한 라 글로리오사라는 아름다운 아가씨가 있었다. 아름다운 아즈텍 여신처럼 보여지는 라 글로리오사 앞에 놓여진 현실은 가난 그 자체였으며, 미국에 불법으로 넘어오면서 살기 위해 식당 서빙을 하는 라 글로리로사의 삶은 지극히 이질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소설은 가난한 나라 멕시코, 멕시코 문화 속에 숨겨져 있는 아픔과 고통의 문화를 마주하게 되었다. 한편 이 소설은 미국 사회 안에 내제되어 있는 히스패닉계 가정의 인종차별적인 요소들이 소설 곳곳에 배치되고 있어서,그들의 치열한 삶과 개방적인 성문화를 느낄 수가 있다. 여기서 우리가 이 소설을 통해서 엿볼 수 있는 건 죽음을 마주하는 멕시코 문화의 특징이며, 우리가 생각하는 죽음에 대한 인식과 비교하게 된다. 그들은 죽음 앞에서도 결코 슬퍼하지 않으며, 미래에 대한 두려움도 보이지 않았다.다만 그들에겐 어두움이 없으며, 현재에 주어진 삶에 충실할 뿐이었다. 매번 현재를 살아야 한다고 말하는 우리의 보편적인 정서와 그들의 삶은 서로 배치되고 있었으며, 왜 우리는 불행한 삶을 살아야 하는가에 대한 깊이 있는 성찰과 마주할 수 밖에 없다.


그런 거였다.소설은 행복의 가치에 대한 새로운 재인식을 심어주고 있었다.매번 죽음을 목도하고, 그 안에서 슬픔에 잠겨 있는 한국인의 보편적인 정서와 그들의 죽음에 대한 보편적인 인식은 큰 차이를 보여주고 있었다.그들에게 장례식이란 새로운 삶의 시작이었고, 살아잇는 사람에 대한 이벤트였고, 관계 속에서 양보와 용서의 기회였다.그건 우리가 장레식에서 매번 보여주는 그러한 일상적인 아픔과는 차별화하고 있다. 즉 이 소설 속에 나오는 전체적인 삶,데라 크루스 가정의 삶이 한국에 나타난다면, 우리는 소섪처럼 결코 해피엔딩으로 마무리 되진 않았을 것이다. 문화의 차이,정서의 차이를 엿볼 수 있는 따스한 시선으로 죽음을 바라볼 수 있는 한 권의 소설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