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민화로 떠나는 신화여행 인문여행 시리즈 2
하진희 지음 / 인문산책 / 2019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크라슈나 신은 쉽게 설명하기 힘들다. 왜냐하면 크라슈나는 분명히 여러 이질적인 요소로 복합적인 인물로 보이기 때문이다. 종교적 지도자로도 추정되는 브라슈니의 왕자 바수데바 크리슈나는 기원전 5세기경부터 신으로 숭배되기 시작했고, 목동 크리슈나는 인드라 신을 섬기는 베다 중심의 종교에서 갈라져 나온 목축 부족의 신이었던 것 같다. (-50-)


맨처음 두르가가 대적한 괴물은 여신이라는 이유로 그녀를 무시했다.
"나는 우주의 삼신 브라마, 비슈누, 시바까지 파괴시켰는데, 어찌 여자인 네가 나를 잡겠다는 거냐?"
괴물이 말을 마치자마자 두르가는 신들이 준 무기를 사용하여 악마를 공격하기 시작했다.결국 여신의 강력한 힘이 괴물을 사로잡았고, 괴물은 밧줄을 당기고 발버둥을 치면서 사자에서 인간으로 변신하기도 하고,인간에서 다시 코끼리로 변신하기도 하면서 끝까지 버텼다.괴물이 변신할 때마다 그녀는 밧줄을 잡고 괴물을 공격했다.이윽고 괴물이 원래의 물소 모습으로 돌아오자 그녀는 삼지창으로 괴물을 잡고 칼로 머리를 두 동강 냈다.어떤 신도 줄일수 없었던 괴물을 두르가 여신이 단숨에 처치한 것이다. (-112-)


푸루라바스는 특별히 숲의 평화와 자연을 사랑해서 근처 숲으로 조용히 말을 타고 궁전을 빠져나가곤 했다. 어느 날 아침 숲속을 거닐고 있을 대, 그의 귀에 음악과 같은 웃음소리가 희미하게 들렸다. 그리고 그 웃음소리는 다시 들렸다. 그는 그 웃음소리를  궁금하게 여기면서 말에서 내려 나무에 말을 묶고는 유쾌한 소리가 들려오는 쪽으로 조용히 걸어갔다. (-227-)


수도승은 오래 생각한 끝에 마을 총각들에게 한 가지 제안을 했다.마을 어귀에는 과일이 아주 많이 달리는 커다란 과일나무가 하나 있었다. 그 장소는 항상 마을 사람들이 모여서 이야기를 나누는 장소이자 낮잠을 자는 장소이기도 하고 아이들이 수시로 나무 위에 기어오르기도 하는 곳이었다. 수도승은 그 과일나무에서 사람들에게 들키지 않고 가장 보기 좋고 단 열매를 따온 청년을 사윗감으로 맞이하겠다고 선언한다. 그러나 그 장소는 너무나 많은 사람들이 오가는 곳이어서 사람들의 눈에 듸지 않고 과일을 딴다는 것은 거의 불가능한 일이었다. (-300-)


우리가 처음 접하는 신화는 단군 신화이다. 곰과 호랑이가 등장하는 단군신화는 고조선 설화로도 널리 알려져 있으며, 지금 현재 한민족의 토대로 존재하고 있다.그리고 우리는 그 신화와 전래동화를 서로 엮어 나가면서,우리의 삶을 지배하는 요소로 쓰여지고 있다.법과 재도가 보완하지 못하는 곳에 권선징악적인 요소들을 채워 넣음으로서,스스로의 행동에 대해 경계하며 살아가는 것이 그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이유이다.


한국에 단군신화가 있다면, 서구에는 그리스로마신화가 있다.그리스 로마신화는 그리스 로마 역사의 원형이다. 그리고 독서를 좋아하는 이들이라면 중국에서 신화가 있음을 알 수 있다. 13억 인구의 인도에도 신화가 있으며, 실제로 인도에는 13억 인구에 버금가는 숫자의 신들이 존재하고 있다.그것이 어떤 의미를 하는지 고민해 본다면, 신화란 절대적인 숭배의 대상이 되며, 내 주변 환경과 함께하는 자연적인 요소들에 영혼이 깃들여져 있음을 깨닫게 해 주는 것이다. 자연 안에서 신화의 소재들이 만들어지고, 그것은 지금 우리가 강조하는 스토리텔링의 원형이 되고 있었다.


인도 신화에는 보다시피 수많은 신들이 있었다.불의 신 아그니, 비의 신 인드라, 태양의 신 수리야를 베다의 삼신이라 일컫고 있다. 힌두의 삼신으로 창조의 신 브라하, 보호의 신 비슈누 파괴의 신, 시바가 있다.여기서 신들의 분포를 보면 인간은 자연의 절대적인 힘에 비해 나약한 존재이며, 자연의 상징적인 의미로서 신과 결부시키고 있다.그건 인간의 삶이 이 책에 나오는 베다의 삼신이 상징하는 불과 비와 태양에서 자유롭지 못한 종속적인 존재라는 걸 알게 된다.그건 비와 불과 태양은 인간을 이롭게 하며, 생명을 잉태하는 요소이지만,그것이 자칫 커지게 되면, 인간은 큰 화를 입게 되는 것이다.홍수와 태풍, 화재가 그 대표적인 경우이다. 그래서 인간은 자연과 가까이하면서, 자연을 숭배하는 절대적인 가칠로 보고 있었다.그 자연이 신적인 요소로 적용하게 됨으로서 우리는 신들의 보호 속에서 함께 공동체를 형성하면서 살아가게 된다.돌이켜보면,우리가 살아오면서, 무엇을 수확할 때 신에게 그것을 바치는 걸 보면, 우리가 무엇을 숭배하는지 알 수 있으며,인도 또한 마찬가지였다.


신들은 그 나라의 정체선을 상징하며,지혜릐 요소이며,인간 세계를 통찰하게 된다. 만약 창조의 신 시라스바티 신만 있고, 파괴의 신 시바가 없다면, 인간 세계는 파괴되지 않음으로서 공동체는 크게 망가질 수 있다. 신들 세계의 조화와 균형, 창조의 신 뒤에 파괴의 신이 있는 이유는 여기에 있다.물론 선을 행하는 신이 있다면, 악을 행하는 괴물이 현존하는 것도 이와 무관하지 않았다.다른 나라의 신과 차이점이라면 인도의 신은 다른 나라의 신에 비해 손의 갯수가 많은 편이며, 민화 속에서 영험한 기운을 내뿜고 있는 이유는 여기에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