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엄마 아빠가 알코올 중독자예요
제리 모 지음, 김만희.정민철.구도연 옮김 / 메이트북스 / 2019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이들이 사랑하는 사람들에게 직접적으로든 간접적으로든 폭력적인 말을 듣기도 하고, 자신에 대해 부정적인 생각을 하기도 한다.아이들의 미움은 점점 무거워지고 영혼은 지쳐간다.그래서 이 모델은 오히려 아이들이 무언가 잘못되었다는 메시지를 키울 때가 종종 있다.몇몇 아이들은 부적절하게 정신장애로 진단받기도 하고, 담당 치료자는 아이의 손상을 고치기 위해 개별적으로 치료하기도 한다. (-42-)


많은 중독 가정의 아이들이 재미, 기쁨, 농담 같은 것을 받아들이는 방법을 모른다.몇몇 아이들은 아주 어린 나이에 경험한 상실과 고통 때문에 그러한 능력을 발달시킬 기회조차 갖지 못하기도 했다.치료자는 '파티'에 초대해 아이들의 마음과 영혼에 숨겨진 열정을 자유롭게 풀어주어야 한다. (-89-)


아이들이 중독에 대해 바르게 이해하게 되면 중독에서 회복된 부모에게 자부심을 느끼고, 회복중인 부모의 어려움을 이해하고 노력하는 부모의 밝은 면을 보려고 한다.모임에서 친구들의 도움을 받은 아이들은 다른 아이를 위해 용기 있게 자신의 경험과 감정을 나누기도 한다. 아이들은 어려운 환경에 있다고 해도 놀라운 회복력을 가지고 있다.함께 지내고 이야기를 들어주면서 지속적으로 공감하고 돌봐주는 안전한 사람이 있다면, 이 아이들은 건강하게 성장할 것이다.(-164-)


중독 가정의 아이들은 가정 문제나 중독된 사람에만 사로잡혀 때로는 자기 자신을 잊어버린다.어떤 아이들은 중독되지 않은 부모도 걱정한다.부모가 별거하거나 이혼할까봐 두려워하는 것이 대표적인 예다.이런 아이들에게는 '자기 자신을 잘 돌보는 것'을 보여줄 역할 모델이 별로 없다.모두가 중독이라는 빠르고 예측 불가한 롤러코스터를 타고 있는 것과 같다. (-247-)


이 책은 미국인이 쓴 책이다.미국의 법과 제도는 한국과 다르다. 미국인의 정서와 한국의 정서는 서로 상이하고 차이가 날 수 있다. 술에 관대한 한국의 정서, 마약을 허용하지 않으며, 미국인처럼 다인종 국가도 아니다.하지만 부모와 아이의 관계 속에 생기는 부정적인 인식,아이들의 고통이나 부모에 대한 부재가 가져 오는 고통의 실체를 이해하게 된다면,술꾼 부모를 둔 어린 아이의 정서를 읽을 수 있다.더 나아가 한국은 동아시아 출신 다문화 가정이 늘어나고 있는 것을 볼 때 다문화 가정에 대한 대책,위탁 가정의 문제를 풀수 있는 방법을 찾아봐야 한다.


술꾼 부모는 힘이 있고,권한이 있다.반면 아이들은 힘과 권한이 없다.그래서 부모의 폭력, 술 중독에 무방비로 노출되고 있으며, 아이들은 부모의 나쁜 습관에 대해서 고스란히 답습하게 된다.술중독 부모의 미래가 아이들 스스로 술중독 부모가 되는 것이다.여기에 더 나아가 폭력과 비도덕적인 행위,더 나아가 미국처럼 마약이라는 극단적인 방법까지 나타날 수 있다.


아이에게 필요한 것은 술중독 부모와 거리를 두는 방법이다.아이와 부모 사이의 정서적 거리감, 물리적인 거리감을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우리의 법과 제도는 그것에 제때 대처하지 못하고, 부모가 아이를 때려도 이웃이 신고하지 않는다 친권을 더 우선하고 있기 때문에,현실적으로 보면 미국보다 한국의 법제도는 더 문제가 크며, 부모의 폭행에 무방비 상태에 노출되어 있는 아이들을 엿볼 수 있다. 이 책에는 바로 아이들의 치유와 회복을 도와주려면 사회가 어떤 역할을 해야 하는지 대안을 찾아보고 잇다.먼저 아이들 스스로 죄책감과 수치심을 느끼지 않도록 해야 한다.아이들은 가정과 학교에서 살아가면서, 부모의 술중독이 주변 사람들에게 알려지는 것을 두려워 한다.그건 부모들이 이혼하거나, 자신을 두고 무보 중 누군가가 죽을 수 있다는 두려움이 현존한다. 더 나아가 아이는 스스로 폭력에 노출되고,세상에 대한 인식을 바로 파악하지 못하게 된다.즉 스스로의 문제를 스스로 풀지 못하는 아이들의 정서적인 문제를 사회가 파악하고,거기에 맞는 방법과 제도적인 보완이 필요하다.술 중독이 술중독으로 되물림되는 최악의 사태를 막을 방법은 아이들에게 심리적 안정감과 라이프의 안정을 동시에 채워 나가야만 아이들의 정서적 치유와 회복을 도울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