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의 선비가 일본 사무라이를 만날 때
임태홍 지음 / 하움출판사 / 2019년 6월
평점 :
품절













조선의 선비 최한기와 일본의 선비 니시 아마네를 비교하고 있다. 19세기 조선과 일본에 살았던 두 사람은 두 나라의 문화의 특징을 서로 비교하기에 충분한 가치가 있다.특히 이 책에서 보듯이, 일본은 한국과 너무 흡사한 가치관, 사회적 구조를 가지고 있다.선비이면서, 무사였던 최한기와 니시 아마네는 그 시대의 분위기,정치적인 상황, 문화에 큰 영향을 받았으며, 서로의 사상을 다르게 추구하고 있다.


역사는 승자의 기록이라 하였던가,두 사람은 지식인으로서 자신의 사상을 그 시대에 고스란히 반영시키고 있다.상강오륜적 가치를 중시했던 조선과 손자병법, 사무라이 정시늘 강조했던 일본은 도덕에 대해서 서로 다른 관점을 추구하게 된다.충을 중시했던 일본의 도덕은 그 충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다. 반면, 조선은 덕의 관점에서 도덕을 바라보았기 때문에 개인을 넘어서 국가까지 도덕의 범부를 확대하고 있다.더군다나 하급 사무라이였던 니시 아마네는 서양의 문물을 습득하는데 용이하였고, 상대적으로 사대부였던 최한기는 같은 지식인 계층임에도 불구하고, 서양 문물을 받아들이는데 한계가 있었다. 니시 아마네는 번역을 통해 언어적 확장을 꾀하였고, 최한긴느 그렇지 못하였다. 그건 두 나라의 사회적인 구조를 비교하고, 조선인의 사고방식과 일본인의 사고방식을 비교하는데 유용하게 쓰여지고 있다.


이 책을 읽으면 두나라의 과거는 현재에도 그대로 유지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일본은 여전히 한반도를 호시탐탐 노리고 있으며,그들의 개인적인 삶의 규칙은 한국과 다르다.즉 일본인은 서양문물을 흡수하면서, 자신의 문제를 스스로 해결하였고,조선은 중국에 기대어서 자신의 문제를 해결하게 된다. 또한 일본인의 사고 기준으로는 상식으로 볼 수 있는 것이 한국인의 기준으로 보면 혐오감을 느낄 수 있고, 추악하게 바라보는 이유도 이 책을 통해 검증해 볼 여지가 있다. 손자 병법과 삼강오륜,일본과 조선 추구했던 서로 다른 세계관은 선비이면서,무인이고, 지식인이었던 최한기와 니시 아마네를 비교하는 즐거움이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