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39가지 사건으로 보는 금의 역사 - 왜 사람은 금을 탐하나?
루안총샤오 지음, 정영선 옮김 / 평단(평단문화사) / 2019년 8월
평점 :
리디아가 최초로 금화를 주조한 배경에는 호박금이 충분한 것 이외에 더 중요한 요인이 있었다.바로 다른 나라와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우수한 지리적 이점이었다.오늘날 세계에서 지리적으로 가장 우위를 점하고 있는 도시가 어디인지 묻는다면 대부분 터키의 이스탄불(역사적으로 유명한 도시 콘스탄티노플) 을 꼽을 것이다. 이 도시는 유럽과 아시아를 연결하고 지중해와 흑해의 교통 요충지에 자리하고 있어 전략적 무역 통로에서 세계에서 첫째로 손꼽히는 도시다.기원전 700변 ,리디아의 수도 사르디스는 1000년 후의 이스탄불에 버금가는 지위를 누리고 있었다.(-35-)
16세기 ,유럽인들이 생각지도 못 한 일이 벌어졌다.스페인 사람들이 잉카 제국과 아스텍 제국에서 약탈한 황금이 본토로 유통되었을 때 시장 물가가 눈에 띄게 상승하기 시작한 것이다.16세기 말, 유럽의 물가 파동과 화폐 수요의 증가는 과거 수준을 초월했기에 후대 경제학자들은 이를 '가격 혁명'이라 불렀다. (-140-)
이런 원조가 이루어질 수 있었던 이유는 바로 고저환율을 바탕으로 금으로 태환이 가능하다는 전제가 깔려 있었기 때문이다.이는 당시 많은 국가의 경제정책의 초석이었다.이 정책은 국가 간의 시기나 불화 등 불협화음을 불식했다. (-221-)
왜 위안화가 논쟁의 중심이 되었을까? 그 이유는 미국 등 세계 경제가 침체의 늪에 빠졌을 때 유독 중국 경제만이 발전을 구가했기 때문이다.이 밖에도 위안화 환율이 달러와 연계되어 있어 달러가 절하되면 위안화도 따라서 절하되어 중국 대외무역 기업의 경쟁력을 효과적으로 상승시켰다.이 때문에 중국이 세계에 통화긴축을 수출한다는 비난을 받으며 외안화 절상 압박을 받게 된 것이다. (-330-)
1997년 IMF 외환위기 때 우리는 국난을 극복하기 위해서 금을 모은 적이 있었다.그 당시만 해도 우리의 인식에는 금보단다는 달러를 더 중요하게 생각했다.하지만 현실은 우리 스스로 경제 문제에 봉착하자마자 달러가 아닌 금의 가치를 더 높이 여기게 된다.그동안 장식품이나 물건으로 알았던 금의 가치가 IMF 로 부각된 거였다.돌이켜 보면 우리의 세계사 속에 항상 빠지지 않는 단골 손님으로 금이 있었다.즉 전쟁이나 약탈, 교통의 발달의 가장 결정적인 동기부여가 금이었다.초창기 금을 화폐로 썻던 고대의 제국 리디아, 이후 콜롬버스와 유럽 각국이 해양으로 나아갔던 이유는 금을 얻기 위해서였다.남미 대륙 개척과 오스트레일리아 개척도 마찬가지였다.남아공을 포함한 아프리카 대륙 정벌에 적극 유럽의 나라들이 나섰던 이유도 마찬가지였다.
금은 세계의 역사 속에 '노아의 방주'였던 것이다.위기의 순간에 그 위기를 극복하게 되는 것도 금의 가치였다.각 나라마다 인플레이션이나 디플레이션에 봉착할 때 종이 지폐가 문용지물일 때면 항상 금이 등장하였다.미국이 세계의 강국으로 우뚝 섰던 것도 막대한 금이 있었기 때문이며,로마가 세계의 패권을 쥘 수 있었던 것도 금이 있어서였다.이처럼 금의 가치는 여전히 현재진행형이다.제1차 세계대전과 제2차 세계대전으로 금본위제에서 달러 본위제로 바뀌면서, 세계경제는 변하였고 ,미국이 영국이 가지고 있었던 패권을 되찾아왔다.이후 중국이 문호를 열면서 경제 침체 속에 중국이 경제 성장을 이룩했던 과정을 보면, 그들이 전세계 금을 사들이고 있음을 눈치채고 있었다. 중요한 것은 지금 현재 미국과 중국의 경제 전쟁이 뒤에는 달러와 위안화의 갈등 때문이며, 그 뒷면에 금을 서로 가지려 하는 목적이 숨어 있다.더 나아가 전세계는 달러리스크를 우려하고 있다.달러가 무역의 공용화폐로 등장한 이후, 달러를 막 찍어내는 미국의 금융 스스템에 대해 위험을 느끼게 된 것이다.즉 스스로 달러에 발목 잡히고 있는 세계경제는 이런 달러가 안고 있는 리스크를 덜어내기 위해서, 달러가 아닌 다른 결제 수단을 선택하기에 이르렀다.그 대체 화폐로 엔과 위안화,파운드가 있으며, 서로 경제 전쟁이 현재 일어나고 있는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