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서른의 휴직 - 당연한 인생에서 한 번쯤 다르게 살아보기
이지영 지음 / 서사원 / 2019년 8월
평점 :
서른의 휴직내 차례가 되었을 때, 선생님은 한참을 웃으셨다.다른 친구들이 써낸 종이에는 의사,변호사,교사 등 명확한 목표가 있었는데, 내가 적어낸 건 독특했다고.그리고 "작가가 되는 건 어떠니,이 문구 너무 문학적이잖아!"하고 우스겟소리로 이야기하셨다. 나도 함께 웃었다.작가는 무슨.교과서에 실리는 대작을 집필한 작가들은 아무나 되나 하고 생각했다. (-16-)
걱정하지 마,6개월 절대 짧지 않아.충분해.우선 여기까지 온 너 자신을 칭찬해줘.넌 그게 필요해.스스로 여기까지 오느라 고생했다고 안아줘.잘했다고 마음껏 칭찬해줘야 해!영어가 늘어야 한다는 부담도 갖지 마.영어는 6개월쯤이면 말이 트일 거야. (-78-)
돌이켜보면 나의 지난 이십대에 꿈이랍시고 ,목표랍시고 성취해내고 눈물도 흘리고 그땐 그것을 꿈이라 생각했고,꿈을 스스로 이뤄낸 걸 훈장처럼 생각했는데,그 모든 시간들이 어쩌면 어떻게든 힘든 현실을 버텨내려고 나름대로 아등바등거린 것이었던 것 같아 스스로가 안스럽기도 했다. (-91-)
2013년 5월 6일 이탈리아에서 맞이한 내 인생 첫 전환점,2017년 5월 6일 런던에서 시작된 두 번째 전환점.
이 세상에 우연은 없으며,삶의 모든 순간에는 의미가 있다는 그 말을 믿는다. (-171-)
한국 사람으로서 한국에서 한국말을 쓰며 한국 음식을 먹고 한국회사에서 나의 커리어를 쌓으며 사랑하는 가족들과 함께 사는 행복을 당연하게 누리고 있었는데, 왜 그 모든 것을 다 포기했을까 하고,외국에서 산다고 해도 처음 몇 달의 짜릿함이 지나고 나면 금세 사람 사는 것은 어디든 똑같다는 것을 알게 된다.그리고 마침내 한국에서 최악이라고 생각했던 시간들조차 아름다웠다고 말하게 되는 순간도 마주하게 된다. (-182-)
우리는 대체로 정답에 맞춰 살아간다.그 정답은 내가 설정한 기준이 될 때도 있고, 누군가 규정해 놓은 정답인 경우도 있다.우리 속담에 '모난 돌이 정 맞는다'는 말이 종종 회자되는 건,우리 스스로 정답이 아닌 것들을 배척해 왔고, 정답에서 벗어날 때 우리 스스로 불안과 걱정속에 살아왔음을 당연하다고 생각한 거였다.그런데 돌이켜 보면 우리갓 선택한 것들이 정답이 아닌 경우가 많았다.그럴 때면 방향 전환을 하게 되고, 오답을 폐기하게 된다.이처럼 익숙한 삶을 살아가지만 실제 우리의 삶의 방향성은 익숙하지 않고,이질적인 경우가 왕왕 있다.저자는 바로 그런 정답에 따라 가는 삶을 살아가게 되었고,이십 대 청춘을 사회인으로서 모든 걸 바치게 된 것에 대해서 다시 재고하게 된다.
회의감이 들었고, 익숙함에서 벗어나고 싶었다.매력적인 직업,안정적인 직업으로 알고 있었던 공무원은 그닥 매력적인 직종은 아니었다.집안의 가장이 되어야 했던 저자의 삶의 고단함이 묻어나는 이유는 여기에 있다.이십대의 끝자락에서 새로운 변화를 시도하게 된 것은 이 무렵이다. 저자는 자신의 일, 자신의 익숙한 일상,모든 익숙함을 잠시 내려 놓고 무급 휴직을 신청하게 된다. 배움을 다시 시작하게 되었고, 런던으로 떠나게 된다.런던에서 스스로 낯선 자신과 마주하게 된다.한국인, 한국에 최적화된 삶을 살아왔던 저자는 장소와 시간을 이동시킴으로서 스스로 변화를 거듭하게 되었고, 모험과 여행을 즐기는 소녀가 되었다.설레임을 느낀다는 것은 바로 이 순간이다.남들과 다른 나 자신을 발견하게 되고, 나는 못할 거라 생각했던 것,나는 힘들다고 생각했던 것들에 대한 가능성이 열리게 되면서, 새로운 변화, 새로운 설레임과 긍정적인 만족을 가지게 된다.그동안 해 보지 못했던 것을 시작하게 되었고, 새로운 만남,새로운 시간과 장소가 자신을 새로운 성장으로 이끌어 간다는 걸 자각하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