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는 감정이 없다고 생각했습니다 - 뇌과학이 뒤바꾼 자폐의 삶
존 엘더 로비슨 지음, 이현정 옮김 / 동아엠앤비 / 2019년 8월
평점 :
그저 내가 문제에 올바르게 대처했다는 것만 알았다.논리적인 마음이 앞섰기 때문읻다.오늘날은 그 모두가 자폐 때문이었음을 안다.자폐는 내게 장애와 능력을 동시에 가져다준 셈이다.다른 이들의 감정적 사인을 읽지 못하는 건 치명적이지만, 논리와 순서에 대한 남다른 감각은 큰 장점이었다. (-43-)
하지만 막상 내가 느끼는 감정을 설명하려고 보니,할 말이 생각나지 않았다.평소 같으면 매 상황마다 정확히 할 말을 하는 나였다.굉장히 합리적이고 논리적이니까,하지만 이제는 날 것의 감정만이 전면에 드러나고 있었다."뭔가 감정을 느끼기는 하는데, 그게 정확히 뭔지는 모르겠어요."라고밖에 말할 수 없었다.(-135-)
뇌과학에서는 통상적으로 각 뇌 부위마다 이미 정해진 기능을 수행한다고 본다.하지만 내 경험, 그리고 알바로를 비롯한 여타 현대 과학자들의 글에 다르면 이 관점은 진화 중이다.내가 '감정 인식 뇌 부위'를 사람이 아닌 기계를 들여다보는 데 싸웠다고 가정해보자.만약 그렇다면 이 부위의 자극이 내게 별다른 반향을 일으키지 않을 거다. (-258-)
별거 아닌 말처럼 들리시겠죠.하지만 닉이 자신과 직결되지 않은 상황을 이해한 것,그리고 선생님의 고충과 자기 아빠의 물건을 머릿 속으로 연관 지은 건 정말 놀라운 일이에요.또 대화의 흐름에 맞게 성생님을 도울 방법을 제안한 것도요.물론 예전에도 닉은 특정 인물이나 책이며 영화속 인물에 관심을 집중하면 공감을 할 줄은 알았어요.하지만 이 경우는 다라요.(-357-)
저자 존 웰더 로비슨은 아스퍼거 증후군 증상을 가지고 있다.한국 사회에서 흔히 말하는 자폐적인 증상을 가지고 있다는 점이다.저자가 말하는 자폐증상은 다른 사람의 감정을 헤아리지 못하고, 현재의 상황을 해석하지 못하는 것이다. 그것은 살아가는데 잇어서 치명적인 문제를 안고 가야 하는 부분이다. 남과 다름으로서 배척되고 따돌림 당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로버슨은 엔지니어로서 사회에서 제 몫을 다하고 있으며, 자폐인으로서 성공적인 삶을 살아가게 된다. 이런 상황은 한국 사회의 기분으로 보면 이질적이고, 모순된 형태이다.한국 사회에서 아스퍼거 증후군을 가진 이들에게는 배척과 배제가 흔하기 때문이다.물론 사회적 안전망이 존재하고, 그들에 대한 사회적인 배려도 있지만, 저자처럼 완전하게 독립적인 삶을 살아가는 건 현실적으로 어려운 면이 있다.하지만 저자는 '자폐인으로서의 삶'을 회고록으로 자신의 이야기를 책으로 출간함으로서, 사회적인 색안경을 끼고 있는 현대인들에게 편견과 차별에서 벗어나 새로운 관점과 기대감을 가지게 된다.
저자는 tms 실험을 통하 자신의 문제를 풀어나가고 있다.아스퍼거 증후군이라는 게 널리 알려지지 않았던 시기부터 저자는 자신의 문제에 대한 깊은 사유를 가지고 있었다.남과 다른 나의 모습,같은 상황에 대해서 서로 다르게 이해하고 해석함으로서 생기는 아웃사이더 기질들은 스스로 나에 대한 존재감을 고민하게 만들어 버렸다. 하지만 저자는 그 안에서 새로운 방법을 찾아가게 된다.남들이 놓치고 있었던 것들을 뇌 자극 프로그램을 통해서 극복하는 방법을 적극적으로 찾아 나서게 된 것이다. 저자는 자신이 다른 사람과 다르다는 것을 장애로 보지 않았고, 기회와 차이로 생각하게 된다.사업을 하면서 합리적으로 생각하고,논리적으로 일을 할 수 있었던 것은 자신이 아스퍼거 증후군을 앓고 있었기 때문이다. 즉 자신의 장애를 인정하고, 세상사람들에게 자신이 가지고 있는 장애를 이야기 하더라도 아무런 문제가 없다는 걸 알려주고 있으며, 스스로 어떻게 살아가야 하는지 저자 스스로 현실 속에서 고민하면서 살아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