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5년 4 - 1926-1930 학생 대중아 궐기하자 (박시백의 일제강점기 역사만화) 35년 시리즈 4
박시백 지음 / 비아북 / 2019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텍스트에 익숙한 역사 마니아에게, 만화나 그림으로 전해오는 역사는 뭔가 이질적이고 낯설다. 우리 사회에 만화라는 하나의 장르에 대한 가벼움이 역사는 고차원적이면서, 진실되게 전달되어야 한다는 인식이 박혀 있기 때문이다. 텍스트 안에서 역사를 좋아하는 사람들은 문장과 문장 사이에 역사적 상상력을 더해 ,자신만의 역사관을 채워 나가면서, 주어진 역사를 해석하려는 성향이 강하다. 하지만 화가 박시백은 그 틀을 '조선왕조 실록'20권의 만화책을 통해서 어느정도 만화에 대한 편견과 선입견을 깼다고 볼 수 있다. '조선왕조실록'에 이어서 , 일제 강점기를 다룬 만화 '35년'에 대해 기대감을 품고 있는 독자가 있는 이유는 바로 박시백 작가에 대한 브랜드 가치다.그이 사실적인 역사묘사는 남녀노소 조선의 역사와 일제강점기의 우리 역사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도돠주고 있다.


일제강점기 35년에서 네번 째 이야기 1926년부터 1930년까지의 우리의 근현대사를 다루고 있다. 1권부터 3권까지는 1910년부터 1925년까지 우리의 역사의 아픔을 비추고 있으며, 1926년은 그 연장선상에서 역사적 흐름과 마주하게 된다. 35년 네번째 이야기는 한반도에 불어오는 공산당과 사회주의 물결, 그 물결을 잠재우려 했던 일제의 만행과, 북한 공산주의 사회를 추구하였던 그 시대의 인물들을 고찰한다.


우리는 공산당과 사회주의 역사를 다루는게 조심스럽다. 이 책의 전면에 등장하는 '박헌영'에 대해서 조심스럽게 접근하는 이유는 여기에 있다. 중요한 건 1926년 이후 우리가 마주했던 시대상이 왕정정치에서 공화정으로 넘어오는 과도기였으며, 양반과 상놈이 구분되었던 시대에 조선으로 회귀한다는 것은 불가능한 사회구조를 가지고 있다. 한반도는 일본에 의해 점령되었고, 조선의 독립을 꿈꾸던 열사외 의병들은 게릴라식 싸움으로 일제와 맞섰다. 김구와 같은 민족주의 관점에서 일제와 맞선 인물도 있지만, 박헌영처럼 사회주의 이념을 받아들이고, 사회주의 의식을 갖추고 있으면서, 독립운동에 나선 이들도 존재한다. 공교롭게도 우리는 김구에 대해서는 찬양하고 영웅으로 바라보지만, 독립운동의 또다른 인물이자, 공산주의 물결을 조선에 뿌리 내리려 했던 박헌영에 대한 역사적인 이해는 부족하고, 소홀하다. 이 책에서 눈여겨 볼 것은 그 시대에 공산주의 태동기의 모습은 어떠했느냐이다. 일제의 핍박을 피했던 조선인들이 만주로 이주하면서, 간도와 만주 그 주변에 독립을 염원하는 이들의 힘과 노력이 있었다. 그 과정에서 마주하였던 임정 옹호파였던 김구와 이동녕, 임정 개보파였던 조상섭, 이규홍, 창조파였던 김규식, 중도파였던 나창헌과 김두봉, 화요파였던 홍남표와 조봉암이 있으며,생각의 차이가 만든 역사적 분리는 결국 임정 옹호파였던 이동녕과 김구가 꿈꾸는 세상을 만들어가게 된다.이처럼 이 책에는 텍스트에서 느낄 수 없는 그림이 보여주는 사실감과 인물과 사건의 묘사가 돋보이며,일제 시대에 북한의 테동기의 조선의 모습을 잘 그려내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