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소설의 시대 2 백탑파 시리즈 5
김탁환 지음 / 민음사 / 2019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조선은 기록의 나라라고 부른다. 오천년 한반도의 역사에서 조선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이유는 지금 현대와 시간적으로 가까이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으면서, 역사적 사료들이 온전하게 보존된 이유도 분명히 존재한다. 특히 유네스코기록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어 있는 조선왕조실록,용비어천가, 왕에 대한 기록물로 지정되어 있는 승정원일기와 같은 역사적 사료들은 지금 현재 소설 뿐 아니라, 영화, 드라마,연극 등등 문화 ,예술, 공연에 긍정적인 영감을 제공하고 있으며, 소설가들은 자신의 작품을 쓸 때 역사적 기록물을 기반으로 써내려가는 즐거움이 있다. 소설가 김탁환님께서 조선의 흥망성쇠를 다룬 역사소설 시리즈를 완성하려는 움직임을 보여주는 것 또한 이런 우리의 역사유물과 무관하지 않다. 특히 김탁환의 <대소설의 시대 1,2>는 기존의 역사문학에서 탈피해 ,소설 속의 또다른 소설을 기준으로 허구와 사실을 오가면서 독자들과 호홉하면서 , 외줄타기하는 그 모습이 긴장감 속에서 펼쳐지고 있다. 


소설(小說) 이란 무엇일까, 그동안 나 스스로 품고 있었던 의문이다. 소설(小設)의 반대말은 대설(大設)이다.그렇다면 박경리 작가의 대표적인 작품 토지는 소설인가, 아니면 대설인가. <대소설의 시대1> 에서 소개되는 한글 소설의 기준으로 보자면 소설가 박경리의 <토지>는 대설이 아니라 소설에 해당된다. 대설은 수십권을 넘어서 수백권의 긴 이야기를 다루고 있으며, 이 소설의 모티브가 되고 있는 18세기, 정조 임금 때가 대소설의 시대라 부르는 이유는 자신의 인생을 전부 바쳐서하나의 이야기를 풀어가는 작가들이 있었기 때문이다.고전 소설 <완월회맹연>은 180권으로 이뤄졌으며, 매일 한 권을 읽는다 하더라도 반년이 걸리기 때문에 재독을 한다는 건 엄두가 나지 않는다.이처럼 책에는 100권이 넘는 이야기를 담아내는 소설들이 다수 등장하고 있으며, 책 제목이 독특하고 낯설다.


18세기 사도세자가 죽고 난 이후 정조 임금 시대가 열리게 된다. 소설 <대소설의 시대 1,2>는 바로 18세기 그때 당시의 시대상을 다루고 있다. 23년동안 자신의 일생을 다 바쳐서 200권짜리 소설 <산해인연록>을 쓰고 있는 이 책의 줄거리를 이끌어가는 주인공 임두 작가님과 그의 문하생 수문과 경문은 친형제처럼 스승 밑에서 소설 쓰기 비법을 배워나가게 된다. 임두 선생의 손녀 임승혜와 두 문하생 간의 오묘한 관계가 소설 속에서 펼쳐지고 있었다. 


"소설인 '산해인연록'에선 소략하게 다루기 때문에, 폭포에서 서고까지 이르는 길을 알고 싶으면 대설을 보라고 적혀 있다네. 대설은 모두 2000권이라고 했고." (1권 231P)


보다시피 2000권 정도는 되어야 대설이라 부른다. 물론 하나의 이야기가 쓰여진 대소설은 재독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필사를 하는 것도 만만치 않다. 하지만 이렇게 이야기를 풀어나가는 작가가 18세기에 있다면, 그걸 필사하는 사람도 있을 것이고, 읽는 사람도 있다. 이 소설에서 눈여겨 볼 부분은 바로 조선시대 지식인들의 욕구이다. 지금처럼 일만권의 책을 읽는 건 거의 불가능한 현실 속에서 박제가,박지원, 이덕무와 같은 불세출의 지식인들의 욕구는 그 시대의 양반들의 상식을 뛰어 넘는다. 그래서 18세기를 대소설의 시대라 감히 부를 수 있는 건 아닌가 생각하게 되었다. 김탁환작가의 소설이 허구이지만, 허구로 느껴지지 않는 이유는 여기에 있다. 수요가 있으면 공급이 있는 법, 대소설을 쓰는 작가가 현존하려면, 그걸 흥미진진하게 읽는 독자층이 있어야 한다. 책에는 22권의 한글 소설이 등장하고 있는데, 알다시피 낯설고 이질적이다. 그건 18세기 한글 소설은 천시받았지만, 대중들에게 널리 퍼져 있었기 때문이다. 널리 읽혀졌지만, 사람들은 한글 소설에 주목하지 않았다. 사대부들,궁궐 여인들, 세책방 주인들, 여타 책을 읽을 수 있었던 양반들까지, 암암리에 소설을 즐겨 읽었음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조선시대 곳곳에 세책방이 널리 퍼질 수 잇었던 이유는 이처럼 그 시대에 책을 좋아하는 수요층이 존재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23년동안 글을 쓰는 작가는 언제나 자신을 관리할 수 있어야 하고, 이야기를 쓰는 과정에서 독자들에게 스토리가 유출되지 않아야 한다. 그러한 장치가 이 책 곳곳에 숨어있다. 또한 그 시대에 나라에서 금지하는 불온서적도 분명 있었을 것이다. 그 불온서적물로 인해서 김탁환의 <대소설의 시대>의 주인공들의 운명은 뒤바뀌게 된다. 보지 말아야 하는 칙들이 보여짐으로서 생기는 파장들은 그 당사자에게 책임을 묻기 마련이다. 뒤주에서 죽어야 했던 사도세자와 그 시간에 동시에 죽임을 당했던 그 누군가의 이야기가 흥미진진하게 펼쳐지고 있다.


"소 설 가 임 두 가 23 년 이 나 나 와 또 여 기 있 는 의 빈 에 게 큰 기 쁨 을 주 었구 나. 손 녀 가 있 단 얘 긴 진 작 들 었 는 데 ,이 제 이 렇 게 보 니, 내 가 그 동 안 제 대 로 챙 기 지 못 하 였 음 이 야 .지 난 두 달 동 안 마 음 고 생 이 특 히 심 했 겠 구 나."(2권 P15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