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퇴직미않 - 나는 퇴직을 미루지 않기로 했다
김석 지음 / 유심(USIM) / 2019년 4월
평점 :
2014년은 제 인생의 큰 전환점이 되었습니다. 그해 4월 초 회사는 노사 상생의 방법이라며 특별 명예퇴직 시행을 발표했습니다.너무 갑작스러운 일이었지만, 저는 당황하지 않고 때가 왔음을 직감했습니다. 대규모 인원이 대상이었고, 많은 직원들이 신청을 할 것이라는 소문이 파다했습니다.(p25)
퇴직은 결과의 산물이 아니라 하나의 과정이라는 것입니다. 즉 삶이라는 여행의 종착지가 아니라 중간에 거치는 하나의 장소일 뿐이라는 것입니다. 두번째는 절대 정년퇴직을 하지 않겠다는 결심이었습니다. 세번째는 '일이 싫고 힘들 때가 아니라 내가 좋아하는 일이 생겼을 때 떠나야 한다'라고 생각했습니다. (p42)
어떤 사람이든 변화는 두렵습니다.익숙함이 주는 기득권을 포기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누구나 변화는 하고 싶습니다. 변화는 나로부터 시작하고 익숙함과의 이별에서부터 먼저 실천되어야 합니다. (p85)
"그러나 하루에 한 시간이라도 나의 삶을 즐길 것이다.언젠가 그 하루 전체를 즐길 수 있기를 바란다. 어쩌면 삶은, 온통 자유로운 시간으로 이루어진 하루를 얻기 위한 싸움과 인내인지 모른다. 그리고 그 속에서 건져낸 슬픔과 깨달음 그리고 행복인지 모른다. 나는 오직 내가 되어, 60억 인류 속에 서로 같지 않은 하나로 살다 가고 싶다. 그때 신은 나에게 '자신이 허락한 유일한 인생을 낭비한 죄'를 나에게 묻지 않을 것이다."(p156)
많이 바쁜가요? 정말 많은 일이 나의 삶을 지배하고 있다면 일의 다이어트를 해야 합니다. 일을 줄이는 생활을 하면서 자신과 가정을 돌아볼 수 있는 여유를 가져야 합니다. 일은 많지 않지만 남들에게 인정받기 위해 일부러 바쁜 듯 살아가고 있다면 삶의 방식을 바꾸기 바랍니다.바쁜 삶이 인생의 행복을 가져다주지는 않습니다. 삶의 질은 즐겁게 일과 여가 생활을 함께할 때 높아집니다. (p211)
일과 삶이 균형을 이루는 것,지금 현대인들에게 필요한 요소이다.직장내에서 열심히,그리고 성실하게 살아간다는 것은 과거에는 평생직장 개념이 있었던 그 시대에는 통용되었지만, 지금은 그렇지 못하다. 성과를 중시하고, 나이가 들어가면 언젠가는 스스로 나와야 할 때가 온다. 내가 나가지 않으면, 밀어내는 자본주의 사회구조 안에서 우리들은 어떤 선택을 해야 하는지 고민하게 되고, 성찰하게 된다.이 책을 읽는 이유는 여기에 있다. 직장에서 열심히 하다가 밀려날 때 새로운 변화를 추구하고, 준비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야 한다.자칭 오륙도라 부르는 이들이 직장에서 밀려날 수 밖에 없을 때, 그 순간을 기회로 잡아가는 것이다. 스스로 강제 은퇴를 하는 것이며, 새로운 길을 찾아가는 것이 이 책을 통해 배워 나갈 수 있다.
직장인으로서 워라벨이 무엇인지 고민해 볼 수 있다. 책에서 저자는 20여년간 일을 해왔고, 명예퇴직에 몰리게 된다. 스스로 그 순간을 변화의 출발점이라 생각해 왔으며, 그동안 배웠던 것들을 써먹는 기회로 삼았다. 정보통신기술사와 학교에서 석박사를 따내 엔지니어링 회사의 정보통신 감리로 일하게 된다. 남다른 도전이라 말할 수 있지만 그의 횡보는 특별한 건 아니었다. 일의 포트폴리오에 대해서 남이 아닌 스스로가 만들어 나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저자의 삶의 변화였고, 일에 대한 가치관을 새로이 설정하게 된다.자신이 배웠던 일에 대한 관점과 전공에 대한 지식들을 사회에 환원하기로 결심하였고, 그 과정에서 새로운 기회가 나타나게 된 것이다. 마음먹은 대로 된다는 것, 그것의 모범적인 사례가 이 책을 쓴 김 석님이 아닐까 생각하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