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소전기차 시대가 온다 - 세계가 주목하는 대한민국 수소전기차 기술 개발 풀 스토리
권순우 지음 / 가나출판사 / 2019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014년 ,토요타는 세계 최초의 양산형 수소 연료전지 세단 '미라이'를 출시했다. 미래라는 이름에 걸맞는 디자인으로 눈길을 끈 미라이는 전기자동차 구동모터와 수소 연료 전이 시스템을 하이브리드에 사용한다. (p44)


수소사회를 여는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요인은 수소 가격이다. 수소전기자동차 자체나 충전소 설치비용, 연료전지도 비싸지만, 수소 가격이야말로 무엇보다 중요한 요소이다. 수소가 너무 비싸면 수소사회는 열리지 않을 것이다. (p88)


싼타페수소 전기자동차의 성공에 고무된 현대자동차는 IFC 에 공동 개발을 제안했다. 현대자동차가 만든 싼타페에 IFC가 만든 연료전지를 탑재하는 수준을 넘어 아예 현대자동차 전용 수소전기자동차를 개발하기로 한 것이다. (p183)


현대자동차가 아우디와 수소전기자동차 동매을 맺은 또 하나의 이유가 중국시자이다. 중국 자동차 시장에서 가장 많은 자동차를 만매하는 업체는 폭스바겐의 합작사 상하이폭스바겐이다. 상하이폭스바겐은 연간 200만대가 넘는 자동차를 중국시장에서 판매한다. 현대자동차의 부품을 탑재한 폭스바겐의 수소전기자동차가 중국에 팔린다면 ,현대자동차와 현대자동차의 협력업체는 많은 부품을 팔 수 있게 된다. (p284)


한국 사회는 수소에 대한 편견이 있다. 수소와 산소가 결합게 물이되는 화학적 반응을 이해하지 못하고, 수소 하면 수소폭탄을 떠올리는 사람들이 많다. 하지만 수소는 인간의 편견에도 불구하고, 과학기술 발달, 미래 가치가 충분한 에너지 원천이다. 기존의 인간이 널리 써왔던 자동차들은 석유와 가스를 기반으로 한 제품들이며, 석유는 정제하여 자동차 에너지 원천으로로 독보적인 역할을 하게 된다. 석유가 가지고 있는 단점 들 중에는 환경유발 오염이 있으며, 석유는 원자력 에너지 다음으로 널리 쓰여지고 있다. 또한 수소 전기 자동챀는 내연기관을 갖추고 있는 기존의 자동차에 비해 내구성이 떨어진다. 지금 우리가 타고 다니는 자동차는 석유에너리를 통해서 달리는 내연기관을 갖추고 있다.


여기서 석유에 대해 주목해 보면 석유으 특징은 분명하다.먼저 지구상에서 석유는 유한적이다. 지금껏 사람들은 자동차산업 발달 과정에서 석유를 펑펑 써왔다. 하지만 석유가 환경오염의 주범이 되면서, 석유에너자를 대체할 에너지를 모색하는 과정에서 수소에너지가 그 대안이 될 수 있었다. 먼저 환경오염을 일으키지 않으니, 이산화탄소 배출 국가에서 자유로워질 수 있다. 책에는 바로 그런 치명적인 단점을 안고 있는 화석에너지를 대체할 에너지로 수소 에너지를 주시하고 있다. 일본에서 전세계 최초로 상용화 단계에 있는 수소 전기 자동차의 특징에 대해서 설명하였고, 수소 전기 자동차가 널리 쓰여지기 위해서는 수소자동차 한대의 원가가 사람들이 납득할 수 있는 수준으로 낮아져야 한다.내연기간이 가지고 있는 장점을 보완할 수 있는 방법들을 찾아나가야 수소 자동차를 찾는 인구가 증가된다.


문제는 대한민국 사회적 인프라가 수소전기 자동차를 받아들일 없는 상태라는 데 있다. 수소전기자동차의 에나지 원천이 되는 수소 에너지를 충전하기 위한 주유소가 다른 에너자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으며, 충전할수 있는 시간도 제한적이다. 또한 수소전기 자동차는 기존의 자동차보다 내구성에 있어서 떨어진다. 수소 전기 자동차 대부분은 각 읍면동사무소에 보조사업의 형태로 사들였으며, 대다수 관용차로 널리 쓰여지고 있다. 이처럼 수소 자동차를 대중화하기 위해서 수소 전기 자동차의 낮은 가격, 에너지 원천이 되는 주유소가 지역 곳곳에 확보되어야 하며, 국민들에게 이해와 설득으로 다가가야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