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세기 프랑스 지식인이 쓴 고조선, 고구려의 역사 - 18세기 초 프랑스 레지 신부가 전하는 고조선, 고구려의 역사
쟝 밥티스트 레지 지음, 유정희.정은우 해제 / 아이네아스 / 2018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꽤 오래전부터 궁금했던 것이 고조선의 역사였다. 조선이라는 이름이 고대의 왕조 고조선에서 따왔다는 사실만 역사 교과서에 언급되어 있을 뿐 고조선에 대해서 명확한 역사적 사실조차 알 수 없었기 때문이다. 단군 조선에 대한 이야기들, 기원전 2333년과 고구려, 신라, 백제 , 세 나라 로 이뤄진 삼국시대는 시간적으로 멀찌감치 떨어져 있었고, 그 간격이 채워지지 않은 채 방치되어 있는 것이 이상했다. 고조선을 신화적 관점으로 바라보는 것에 대해 우려하고 있다. 이 책을 읽은 이유도 역사에 대한 인식과 결핍 때문이었고, 한민족의 역사 중에서 기원후의 역사들보다는 기원전의 역사에 더 관심 가지고 있다.


고조선의 역사를 다룰 때, 역사가들은 소고조선과 대고조선의 관점에서 역사를 다루고 있다. 지금 고대사를 연구하는 역사가들은 소고조선사를 우선하고 있다. 하지만 프랑스 출신 레지 신부는 대고조선사의 관점에서 바라보고 있으며, 그가 남겨 놓은 책을 번역하는데 어려움을 겪는 이유는 그 당시에 쓰여진 역사서들이 현존하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원전 그대로 읽어야만 그의 고조선사에 대한 관점을 읽을 수 있으며, 이 책이 쓰여진 시점은 임진왜란이 끝나고 100년이 흐른 그 시점이다. 책에서 언급되고 있는 역사서 중에는 지금에는 현존하지 않은 책들이 있다.그로인해 이 책을 온전히 이해하는데 한계가 있다. 



서양인들은 고조선의 역사에 대해서 서양보다 더 낮게 보고 축소하려 한다. 이집트 왕조, 메소포타미아 문명, 그들이 남겨 놓은 역사적 사료들은 현존하지만 우리는 우리의 역사를 온전히 파악하는데 필요한 역사적 사료들이 거의 남아있지 않기 때문이다. 물론 중국의 하상 왕조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며, 하물며 단군조선의 역사에 대해서도 비슷한 입장이다.


이 책을 읽는다면, 우리의 고조선의 역사에 대해서 좀 더 깊이 관심 가지게 된다. 책은 프랑스어로 쓰여져 있고, 영어와 함께 되어 있다. 지금 현재 신단민사,신단실기,단군사고는 고조선의 역사를 이해하는데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반면 저자는 환단고기, 단기고사, 규원 사화를 위서로 규정짓고 있으며, 고조선의 역사를 왜곡할 여지가 있다고 분명하게 남겨 놓고 있다. 또한 일연의 삼국유사를 프랑스 레지 신부가 봤을 가능성이 낮다고 말하는 이유는 저자의 역사적 서술 방식이 중화 사상을 기초로 쓰여졌기 때문이며, 중국의 역사서를 참고했을 가능성이 크다고 말한다.즉 한반도에 직접 들어가 보지 않은 상태에서 중국에서 중국에 남겨진 한반도 역사서를 기초로 이 책을 써내려 갔다는 걸 추측하게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