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서 이불과 논어 병풍 - 이덕무 청언소품
정민 지음 / 열림원 / 2018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에는 간서치 이덕무가 남겨 놓은 문학과 그의 발자취를 들여다 본다. 박지원, 박제가,유득공, 책을 좋아하는 어진 임금 정조까지, 가난한 삶에서 벗어날 수 없었고, 추위와 더위 속에서도 책에 집착하는 이덕무는 시대를 타고난 행운아가 아닐까 싶다. 동상에 걸려가면서도 책을 놓지 못하는 그가 보여주는 책에 대한 집착은 지금 현재 정보를 실시간으로 받아들이면서 살아가는 우리의 정서로도 무언가 이해하지 못하는 부분이 있다. 하지만 이덕무의 삶은 치우치지 않았다.. 책만 보는 바보, 멍청이라 불리지얼정, 자신의 뜻을 굽히지 않았고, 자신을 내세울 줄 알았다. 왜 겸손하게 살아야 하는지, 새상 속에서 소중한 가치는 무엇이며, 책을 읽어야 하는 이유를 간서치 이덕무의 삶 그 자체에 오롯히 기록되어 있다. 


서얼 출신이라서 간서치 이덕무는 책에 유난히 집착했는지 모른다. 출세길이 끊어지면서 책을 통해 지식을 채워 나갔지만, 세상에 써먹을 길이 막혀 버렸다. 하지만 간서치 이덕무는 책 읽는 걸 포기 하지 않았다. 추운 날 한서를 이불 삼아서, 논어를 병풍삼아서 책을 읽는다는게 보기엔 고고하게 느껴질 수 있지만, 현실은 비참하다. 동상에 걸리면서도 책을 읽고 그것도 부족해서 책을 빌려서 ,빌린 책을 통해 직접 필사를 했던 이덕무의 고고하고 드높은 이상은 지금 현재 살아가는 우리에게 특한 롤모델로서의 지식인의 자세를 추구하게 된다.


간서치 이덕무는 부끄러운 삶을 살았다. 가난해서 부끄러웠던 게 아닌, 알고 있음에도 행하지 않은 것에 부끄러웠다. 비교하지 말고 , 험담하지 않는 것, 나답게 살아가고 욕심 부리지 않고 살아간다는 건 군자로서 마땅히 해야 하는 일이건만, 행동으로 옮긴다는 건 쉽지 않은 여정이다. 하지만 이덕무가 남겨놓은 선귤당농소와 이목구심서에는 스스로의 삶에서 부끄러움을 잊지 않았고 , 기록해 나갔다. 선현들의 큰 깨우침을 자신의 삶으로 채워 나가려 했던 이덕무의 삶은 가난하지만 행복을 놓치지 않았으며, 스스로 나답게 살아가기 위해서,그 시대에 지식인으로서 살아가야 하는 기본을 잃어버리지 않았다. 물질에 치우친 삶을 살아가면서 젠체하고 살아가는 우리들의 현실과 비유하자면 이덕무의 삶은 너무나도 그런 삶에서 벗어나 있다. 하지만 그의 삶은 우리가 꿈꾸는 이상이며, 그의 삶이 300년이 지난 지금에도 귀감이 되는 이유는 여기에 있다. 이덕무처럼 책만 보고 살아갈 순 없을까.다시금 생각해 본다.


떳떳한 삶을 살았으되, 그것이 남들이 알아주지 않을까 염려하여,스스로 비석을 새겨 물 속에 잠가두었구나. 그게 무슨 마음이었을까? 그 물속 비석 때문에 그는 세상 사람들의 웃음거리가 되었다. 재주가 승하여 가벼웠던 두목, 그는 삶의 끝자리에서 무엇이 부끄러웠던지 평생 지은 자기 원고를 불에 태웠다. 그래도 그의 시를 아끼던 이들이 주워모아 그의 문집은 그 면모가 고스란히 지금도 전해진다. 한 사람은 자신을 남기려다 잃었고, 한 사람은 자신을 지우려다 남았다. (P8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