랑야방 : 풍기장림 2 랑야방
하이옌 지음, 전정은 옮김 / 마시멜로 / 2018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소설 량야방은 중국 양나라를 배경으로 하고 있으며, 50여년간 중국의 역사속에 등장한 양나라 양무제의 일대기를 바탕으로 쓰여진 소설이다. 하이옌이 쓴 랑야방이 매장소 임수와 정왕 소경염을 주인공으로 내세웠다면, <랑야방 : 풍림장림>은 임수의 제자 소정생과 소정생의 두 아들 소평장과 소평정이 등장한다. 또한 양나라는 정왕 소경염의 아들 소흠 황제가 다스리는 국가체제로 바뀌게 된다.


이 소설은 바로 권력과 복수를 그리고 있다. 양나라의 국경을 지키는 정림왕부의 정림왕 소정생과 소흠 황제의 관계는, 매장소 임수와 정왕과의 관계처럼 끈끈한 관계를 형성하고 있으며, 믿음과 신뢰를 주는 깊은 관계였다.과거의 국가체제에서 국경 수비를 맡는 인물은 왕과 가장 가까운 존재가 당연한 게 아니었을까, 국가의 흥망성쇠는 국가의 존망은 외세의 침입을 잘 막아주고 내부의 적을 잘 다스리는 데 있기 때문이다. 소설 속에서 소흠 황제와 장림왕 소정생의 관계는 작가가 별도로 언급하지 않더라도 깊은 신뢰와 믿음을 느낄 수 있다.하지만 왕의 주변 인물들은 그렇지 않을 수 있다. 국경 수비대는 어쩌면 왕의 주변 인물들이 권력을 가지려 할 때 악영향을 줄 수 있는 인물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나라가 크게 흔들릴 때 국경 수비를 맡았던 이성계가 위화도 회군을 해서 고려를 멸망시키고, 조선을 세웠던 것처럼 말이다. 바로 랑야방에서 소흠 왕제의 부인 황후 순씨의 일가들은 정림왕과 두 아들의 횡보를 탐탁하게 여기지 않았다.


이렇게 서로가 물고 물리는 관계를 이용하는 존재가 바로 야진국 출신 복양영이라는 인물이다. 이 소설에서 복양영은 상당히 중요한 인물이다. 자신을 파괴해서라도 복수를 원했햇던 복양영이라는 인물을 관찰한다면 우리에게 정의란 무엇이며, 그 실체가 자신의 생각과 가치관에 따라서 얼마든지 바뀔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여기서 복양영이 멸망한 야진국 출신이라는 것에 대해서 주목할 필요가 있다. 그는 백신교의 존자로서 종교를 활용해 순왕후를 구워 삶았다. 황실을 꽉 잡음으로서 자신이 30년전 느꼈던 잔혹한 현실을 복수로서 되갚으려 한다. 복양영에게 정의란 바로 복수와 동일한 것이며, 장림왕부와 순왕후 관계가 불편지는 관계가 형성되어야 자신의 야욕과 복수를 현실로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


복양영의 계략 뒤에는 종교라는 도구와 역병이라는 수단이 있었다. 그 시대에 역병은 하늘이 내려준 병이며, 야진국이 멸망하게 된 결정적인 이유가 되었다. 복양영은 역병을 양나라 수도 금릉에 퍼트리기 위햐서, 역병을 치료할 수 있는 약재들을 미리 대량으로 사들였다. 전염병이 성 주변에 돌게 되면, 수도를 지키는 성이 텅텅 비게 되며 , 나라가 순식간에 사라질 수 있다. 야진국의 멸망이 양나라 때문이라 생각했던 복양영의 복수의 시작은 자신의 쌍둥이 동생을 죽이고, 새로운 계략을 만들어 나가는 과정에 있다. 결국 장림왕부 세자라 부르는 소평장을 죽이기 위해서 남다른 총명함과 뚜어난 무술 실력을 자랑하는 소평정을 끌여들이게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