틈새 경제 - 소비자의 틈새시간을 파고드는 모바일 전략
이선 터시 지음, 문세원 옮김 / 한국능률협회컨설팅(KMAC) / 2018년 5월
평점 :
품절


2007년 애플의 아이폰이 등장하면서 우리 삶은 큰 변화를 맞이하였다. 사회적 인프라가 pc 기반 체제에서 pc기반 체제와 모바일 기반 체제가 공존하는 새로운 사회적 인프라를 추구하게 되었다. 여기서 스마트폰이 있음으로서 시간적 공간적 이동이 자유로워 졌으며, 언제 어디서든 정보를 얻을 수 있게 되었다. 과거 여행을 떠나면 지도나 지도 책자가 필수였지만, 이젠 스마트폰 하나로 모든게 해결되었으며, 일반인의 입장으로 보자면 캠코더, 카메라,MP3 등등등 별도로 구비해야 하는 수많은 장비들이 이젠 필요하지 않게 되었다. 물론 이런 경우는 일반인에 해당되는 경우이며, 잔문가용일 땐 다른 특징을 가진다.


이 책은 바로 모바일 기기가 가져다 주는 우리 삶의 변화와 함께 모바일 수용자의 특징을 들여다 보고 있다. 그들의 시간의 틈과 틈 사이의 여유시간을 기업들은 새로운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기회라 생각하였고, 비즈니스로 연결하려고 한다. 과거 규모의 경제에서 틈새 경제로 전환하고 있다. 1시간 이상의 시간을 필요로 하는 동영상이나 영화, 드라마 대신에 10분 안팎의 시간을 소요하는 동영상이나 그림으로 새로운 컨텐츠 문화가 형성되고, 그 컨텐츠를 활용하는 이들에게 개인화된 정보를 제공함으로서 남아있는 시간을 소비할 수 있는 새로운 경제 체제로 전환하고 잇었다. 점심 시간이나 출퇴근 시간,누군가를 기다리는 시간, 거실에서 tv 를 보면서 다른 일을 할 수 있는 그 시간이 바로 틈새 경제의 주축이 되고 있으며, 기업들은 모바일 기기 수용자들이 그 시간에 무엇을 하는 관찰하고 분석하면서 새로운 아이디어를 활용한 컨텐츠를 다양한 형태로 만들어 나가고 있다.


유투브를 활용해 동영상을 보고, 웹툰을 보는 것,sns 를 이용해 서로 소통하고 정보를 얻는 노력들은 바로 사람들의 틈새 시간을 적절하게 활용한 새로운 비즈니스플랫폼이다. 또한 과거보다 사람들의 삶의 패턴이 조급해지고, 바빠지고, 불안하고, 불만가득한 생각을 가지게 된 이유는 여기에 있다. 모바일이 우리의 여유시간을 빼앗아 가지 때문이며, 주변 사람들을 의식하지 않고 , 모바일 기기를 들여다 보는 사람들이 점점 더 늘어나는 형국이다. 이런 변화에 대해서 공공기관은 부정적인 시선을 드러내는 반면에 기업들은 긍정적인 시선을 나타내고 있다. 정부와 기업의 이러한 입장 차이는 기업은 그들에게서 이익을 얻기 위한 아이디어를 창출하고 그것은 앱이나 게임,엔터테인먼트 산업으로 연결시킨다. 하지만 공공기관은 그렇지 않다. 그들은 부정적인 시선으로 모바일 기기 수용자를 바라보기 때문에 관리하고 통제해야 하는 존재로 보고 있으며,그들의 삶의 양식을 바꾸려 한다. 디지털 기기 사용시간을 줄이도록 하는 앱을 만들고,정신적 육체적 건강을 우선하는 앱을 공공기관이 개발하는 여기에 있다. 책에는 이외에도 모바일 기기가 가져다 주는 긍정적인 변화와 부정적인 변화를 상호 비교하고 있으며, 모바일 기기가 마냥 부정적인 문제를 양산하는 기기는 아니라는 점을 분명하게 드러내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