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Book] 미국의 반지성주의
리처드 호프스태터 지음, 유강은 옮김 / 교유서가 / 2017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을 읽고 싶었던 건 미국 사회에 불고 있는 트럼프 현상 때문이다. 내가 모르는 미국 사회와 미국인들의 은밀한 정서, 그들 사회 안에 감춰진 사회적인 모습을 들여다 보고 싶었다. 영국에서 미국으로 넘어 오면서 미국 사회는 청교도 주의를 미국 사회의 밑바닥에 채워 나갔다. 지금까지 미국 대통령 중에서 케네디 대통령을 제외한 나머지 대통령이 전부 독실한 개신교 신자였으며, 그들에게 종교가 가지는 의미는 우와 다른 정서를 가지고 있다. 또한 영국에서 건너와 미국을 세웠던 선교사와 목사들은 지성인이다. 선교사와 목사를 만들기 위한 교육기관 하버드 대학을 만든 이유는 그들이 영국에서 넘어온 엘리트 귀족주의 출신이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 이후 미국 사회는 자식인을 배척하고 반지성주의가 점차 뿌리내리고 있었다. 특히 토머스 재퍼슨과 해밀턴의 선거에서 재퍼슨이 선택한 선거전략은 바로 반지성주의였으며, 지성과 지식인을 배체하는 정서가 만들어지게 된다.행동하지 않고 책임지지 않은 , 그러면서 사회에 대한 비판과 개혁을 외치는 지식인들의 이중적인 모습에 혐오감을 드러내기 시작했다. 미국 사회의 교육은 실용성을 강조하고 있으며, 교육 방식 또한 실생활과 연계되어 있는 교육을 추구하게 된다. 프랑스어와 라틴어를 배워야 하는 지식인의 정서와 다른 길을 걸어가게 된다.


이 책은 1950년대 ~1960년대 미국 사회의 모습을 비추고 있으며, 초대 대통령 워싱턴부터 1950년대까지의 미국의 사회와 정치 지형의 실체를 보여주고 있다. 특히 미국 정치인들이 지성과 지식인을  배제시키면서 미국인들에게 반지성주의를 자신의 선거 전략을 적극 활용하였고, 그 정서가 미국인들의 정서와 일치하였기 때문에 그들의 선거전략이 통할 수 있었다. 그들은 지성인에 대해서 전문가의 역할에서 벗어나 젠체하고 오만하며, 변덕스럽고 현실적인 문제들을 해결하지 못하는 존재라 생각하게 된다. 미국 사회에 필요한 존재이며, 학자로서 가치는 가지고 있지만, 그들을 미국 사회의 주류에 편입하기엔 위험한 존재였다. 정치인들을 비판하고, 그들의 생각과 일치하지 않음으로서 생기는 갈등 문제들, 서로 거리를 두면서 미국 사회가 지금까지 이어져 온 이유, 정치인들이 대중적인 친밀감을 드러내면서 미국인들에게 나서는 이유는 여기에 있다.



반면 미국 사회와 우리 사회는 차이가 난다. 대한민국은 여전히 지성주의를 지향하고 있다. 미국의 정규 시험에서 계산기를 들고 수학문제를 푸는 것이 우리 사회엔 나타나지 않는다. 어릴 적부터 구구단을 달달 외우고, 수포자가 발생해도 마찬가지다. 서울대, 하버드 대학교와 같은 유수의 대학교를 나온 이들에게 교양과 지성을 갖춘 사람이라 생각하고 대접하는 사회적 풍토가 여기에 있으며, 미국의 기업가들이 대학을 중퇴하고 회사를 차릴 수 있는 그런 사회적 토양이 우리에겐 없다. 기업을 물려 받기 위해선 좋은 대학교에 나와야 하고, 더 나아가 해외 유학까지 다와야 하는 모습은 미국사회와 비교된다. 이 책은 60년전의 미국사회를 그려내고 있기 때문에 지금의 미국 사회와 차이가 날 수 있지만, 19세기 미국 사회의  실체를 들여다 볼 수 있기 때문에 그 가치가 돋보인다.


그들은 극히 세련된 젠틀맨이며, 정치의 부패를 개탄하면서 응접실이나 거실에서 토론을 거듭했다. 그러나 실생활에서의 사람들의 마음은 조금도 알지 못했다. 그들은 마치 개혁이 케이크 같은 구체적인 사물이라도 되는 듯이 절박하게 요구하기만 하면 마음대로 건네줄 수 있는 것인 양 툭하면 큰 소리로 "개혁'을 외쳤다. 이 거실 개혁가들은 행동력의 부족을 비판의 열정으로 메웠던 것이다. (p26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