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초정의 本草正義
산뢰 장수이 지음, 안세영.김순일 엮음 / 청홍(지상사) / 2009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의학을 전공하지 않은 사람이 한의학 전문 서적을 읽는 다는 것은 어떻게 보면 양날의 검일 수도 있다. 무엇보다 한의학은 중국에서 시작 되었고 그리고 중국 문화의 영향을 많이 받은 우리나라로써 한자를 모르고는 쉽게 한의학 책을 접할 수 없다.
나도 한자에 대하여 워낙 자신이 없는 사람이라서 다른 책보다 한약학에 대해서 나의 무지에 놀라울 수 밖에 없었다.


본초정의는 말 그대로 한의학에서 침, 뜸, 부황처럼 직접적인 시료보다는 우리가 일상에서 접하는 약초 즉 식물들에서 장기적인 시료를 할 때 쓰는 약물학이다.
사실 한의학을 전공하는 사람을 위해서 나온 책이라서 몇 가지를 제외한 (그 몇 가지도 일상에서 쉽게 접하고 많이 알고 있는)나머지 식물들은 무엇인지 잘 알지도 기억하지도 못하겠다.
그렇다고 해서 겁낼 필요는 없다.
내가 본초정의를 보고 직접 산에서 약초를 해다가 시료 할 일은 없으니까.
나는 아직 한의원을 한번도 가본적이 없고 또 한약도 한번 먹어 본적이 없다.
건강을 자만하는 것은 아니지만 한의학의 중요성이나 인지가 최근 들어서 급상승한 탓도 있다.
그만큼 경제개발과 선진문물 수입이라는 그늘아래서 우리의 한의학은 미개한 의학으로 치부 받은 탓이다.

 

그럼 본초정의의 내용을 살짝 들여다 보기로 하자.
저자인 장산뢰는 청말시기의 사람으로 원래는 유학을 공부하는 학자였다.
하지만, 어머니의 환후로 인해서 한의학을 공부하게 되었고 양학과 달리 체계적인 교육이 없던 중 의학을 보고 자신이 직접 자신의 재산을 털어 학교를 세운 사람이다.
그런 열정이 있는 사람이 자신의 노하우를 집대성한 것이 바로 본초정의다.
본초정의는 총 7권으로 되어 있는데 그가 직접 분류한 산초, 습초, 방초, 만초, 독초, 수초, 석초, 태로 나뉜다.
그리고 그 약물의 맛과 생김새, 효능, 약물에 따른 병의 종류, 만드는 법, 보관하는 법, 그리고 사용하지 말아야 하는 법에 관해서 아주 상세하게 나 와있다.
쉬운 예로 고려삼을 잘 못 사용하는 경우 오히려 해를 입을 수 있다고 한다.
삼이라고 해서 무조건 몸에 좋은 것이 아니라 환후와 병자의 상태에 따라서 그 효능이 곧 독이 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참 놀라운 것은 우리가 일상에서 지나치는 잡풀이 그냥 잡풀이 아니고 이름이 있으며 그 풀이 또 우리의 몸에 효능을 발휘한다는 사실이다.
속새(잔디밭에 기생하는 잡풀)도 약으로써 효능이 있으니 말이다.
단지 아쉬운 점이 있다면 사진이나 그림으로 직접 볼 수가 없어서 이 약초가 어떻게 생긴 약초인지 잘 모르겠다는 흠이 있다.
한의학을 전공하거나 또는 많이 접해 본 사람은 알 수도 있지만 무지한 나로써는 상상하기 힘들다.
하지만 양학과 다르게 한의학은 우리 몸에 상생을 가장 중요시 한다.
그 병의 근원을 고치는 것이다.
침술, 뜸, 부황 같은 직접적인 시료도 좋지만 우리가 잘 알고 있는 보약 즉 약초에 대하여 관심을 가져 보는 것이 어떨까?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