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가 쉬워지는 최소한의 수학 - 합리적 선택과 문제 해결력을 위한 수학적 사고법
오국환 지음 / 지상의책(갈매나무) / 202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제목 : 경제가 쉬워지는 최소한의 수학

지은이 : 오국환

펴낸 곳 : 지상의 책

출간연도 : 2024.5




지은이 오국환 님은 서울대학교 수학교육과와 동대학원 졸업. 박사과정을 수료. 현재 파주 운정고등학교 수학 교사.




그동안 몰랐던 경제 속 수학 이야기





인간은 3차원 공간을 수월하게 다룰 만큼 직관이 발달하지 않았기 때문에 벡터라는 논리적 도구를 이용해 고차원의 공간을 탐색하는 것 같다

 

수학이라는 언어를 이용하면 직관을 넘어서는 영역을 탐구할 수 있다.

수학과 언어는 모두 인간이 더 자유롭게 생각을 펼치도록 문을 열어주는 열쇠가 아닐까요?

(3232p 내용 중에서~)



  

【책소개】

여러가지 수학적 도구를 이용하여 경제를 설명하는‘수학적 사고법 을 제안한다.

4장으로 구성된 이 책은 1장 돈의 흐름 변화와 규칙성을 수열로 경제적인 상황을 표현, 2장 경제 지표의 복잡한 변동에 있어 상대적인 크기를 비와 비율로 나타내는 방법을 3장 경제 현상을 단순하게 설명할 모델링을 수학적 모형으로, (함수와 미분, 행렬을 이용하여 경제 개념 설명) 4장 여러 경제적 상황에서 가
비 의사결정을 위한 합리적 선택을 최적화로 풀어 낸다.




직관을 넘어서는 영역 탐구를 위한 수학적 사고법이란 무엇일까?

궁금해졌다.

 

저자는 수학은 복잡한 상황을 간단한 표현으로 명확하게 나타내는 데 효과적인 언어다. 수학에서도 논리, 개념, 정의, 용법, 규칙을 명확히 알아야만 자신이 뜻하는 바를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으며 이 지점이 수학을 공부하는 의미라고 생각한다타인과 합리적인 의사소통 하고 싶다 는 욕구도 얼마든지 수학을 공부할 이유가 된다고 이야기 한다.

 

마지막으로 수학은 실용미와 심리적 아름다움을 갖고 있다고 이야기한다. 수학자로서 수학을 가르치는 선생님으로서 얼마나 수학에 대한 애정을 가지고 있는지 얼마나 더 알려주고 싶은지 느껴지는 대목이다.

 

 

글쓴이는 수학을 좋아하긴 하지만 이게 현실과 어떤 지점에서 맞닿는지가 궁금했던 독자, 경제를 좋아하긴 하는데 수학이 부담되어 벽을 느낀 독자, 경영경제 공부 할건데 어려운 수학을 뭐 하러 배워야 하느냐고 생각했던 독자들이 사고의 확장을 함께 느끼면 좋겠다고 한다.

 

이 책은 고1 수학 까지만 알아도 쉽게 읽을 수 있다고 한다. 너무 오래 전의 일이어서 일까? 내가 좋아했던 수학은 중학교 과정 까지었던가? 기억나지 않는 개념이나 공식 등을 찾아가며 읽어야 했다. 수요와 공급, 환율과 세금 등 경제 생활에서 꼭 알고 있어야 하는 내용은 더욱 또렷하고 확실하게 짚어주어 빠르게 읽을 수 있었다. 독서를 사랑하는 독자로서 가장 흥미로웠던 점은 장 마다 읽는 속도가 달랐다는 점이다.  (직접 읽고 느껴 보시기를)

 

 

 

 







<이런 분들에게 추천>

★ 홈쇼핑 상품을 구매할 때 12개월 무이자로 살 것인가? 일시불 현금으로 5만원 할인 받아 살 것인가? 어떤 구매 방법이 더 싸게 살 수 있는 것일까요?

★ 예금을 들까요? 적금을 들까요? 어떤 선택이 돈을 더 모을 수 있게 할까요?

 

모르시겠다면 이 책을 권합니다.








#경제가쉬워지는최소한의수학 #지상의책 #오국환 #경제수학 #경제 #경제적자유 #수학 #고등수학 ##독서 #추천도서 #책추천 #직장인책추천 #청소년추천도서 #경제책추천 #수학책추천 #갈매나무서포터즈



서로 다른 상황에서 공통된 구조를 찾아내어 같은 방식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음을 알게 되는 것이 수학의 힘입니다. - P75

이론을 만들기 위해선 현실의 문제에서 복잡한 맥락을 제거하고 핵심적인 부분에만 주목하는 사고방식이 필요합니다. 이러한 사고방식을 ‘추상화’라고 합니다. 수학은 추상적 사고방식이 깊게 스며들어 있는 학문이지요. 탄력성을 정의할 때 다양한 수학 개념을 적용한 것처럼, 수학이 가진 추상화의 힘은 어떤 현상을 간결하게 이론으로 표현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 P21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