냉소주의는 눈을 가리고, 분석은 눈을 뜨게 한다고 설명했다. - P221

그렇다면 게으름의 치료법은 무엇인가? 그 답은 약간의 욕심이다. - P225

<나로서는 할 수가 없어요>라는 말은 머리를 닫아버린다고 설명했다. 그 말을 하면 더 이상 생각할 필요가 없는 것이다. - P226

<어떻게 하면 내가 그것을 할 수 있을까요?>라는 말은 머리를 열어준다. 그러면 우리는 생각할 수 밖에 없고 답을 찾을 수 밖에 없다. - P226

사람들에게는, 삶에서 얻을 수 있는 더 좋은 것을 갖고 싶은 욕망이 있다. - P228

약간의 욕심, 더 좋은 것을 갖겠다는 욕망이 없으면 발전은 불가능하다. - P228

우리의 삶은 교육보다 습관의 반영이다. - P229

하지만 돈에 대해서는 그런 <실수를 하겠다.>는 결심이 중요하다. - P234

그렇게 하는 이유 혹은 목적은 원함과 원하지 않음의 결합이다. - P237

우리의 지출 습관은 우리가 누구인지를 반영한다. 가난한 사람들은 가난한 지출 습관을 갖고 있다. - P238

마은은 우리 스스로가 지배력을 행사할 수 있는 가장 강력한 도구이다. - P239

대부분의 사람들은 먼저 투자에 대해 배우는 것보다 투자하기보다 그냥 투자 상품을 사기만 한다. - P239

나는 하나가 아닌 두 가지 사고를 갖고 있다. - P240

그때 우리는 실수를 해야만 배운 것을 완전히 이해하기 때문이다. - P241

듣는 것이 말하는 것보다 더 중요하다. - P241

하지만 가장 큰 자산인 마음에는 투자하지 않는 사람들을 보면서 놀라곤 한다. - P242

자신의 마음을 열어야 한다. - P243

그들은 하나의 파도를 놓칠 때 다음 파도를 기다리고 제대로 포지션을 잡는다. - P244

복권 등 당첨자가 많은 돈을 받은 후에 금방 알거지가 되는 것도 이와 같은 자기 통제가 부족하기 때문이다. - P247

각각의 개인에게 내적인 통제력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 P247

자기 통제의 힘과 내적인 의지의 힘이기 때문이다. - P251

힘든 것을 극복하지 않으면 세상이 당신을 내두르고 만다. - P253

관리 기술의 한 가지는 사람의 관리이다. - P256

레이 크록이 햄버거 체인점을 판 것은 햄버거를 좋아해서가 아니라 그렇게 해서 얻어지는 공짜 부동산을 원했기 때문이다. - P258

내가 보기에는 돈이 자신을 위해 일하게 하는 법을 배우는 것도 중요하다. - P261

쉬운 길은 종종 어려워지고 어려운 길은 종종 쉬워짐을 기억하라. - P262

같은 것을 하면서 다른 결과를 바라는 것은 미친 짓이다. 안 되는 것은 더 이상 하지 말고 새로운 것을 찾아라. - P269

당신이 하고 싶은 것을 먼저 한 사람을 찾아라. - P269

주식 시장이 하락세를 보일 때, 대부분의 사람들은 종종 붕괴나 조정을 이야기하고, 소비자들은 그곳에서 도망을 친다. - P273

나는 그 사람에게 이득은 팔 때가 아닌 살 때 만들어진다고 얘기했다. - P274

작은 사람들이 여전히 작은 이유는 작게 생각하기 때문이다. - P275

행동은 늘 아무 행동도 하지 않는 자를 이긴다. - P275

작은 아이디어로 시작해서 그것을 뭔가 큰 것으로 바꾸었다. - P280

일찍 시작하라. 책을 사라. 강연에 가라. 실천하라. 그리고 작게 시작하라. - P281

그것을 마음에 투자하고 자산을 얻는 법을 배우면 부자가 되기를 선택하는 것이다. - P282

오늘 당신이 하는 선택으로 결정된다. - P28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부자 아빠 가난한 아빠 1 - 부자들이 들려주는 '돈'과 '투자'의 비밀 부자 아빠 가난한 아빠
로버트 기요사키, 샤론 레흐트 지음 | 형선호 옮김 / 민음인 / 2000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몇 년 전에 읽었었지만 기억이 잘 안 나서 꼼꼼하게 다시 읽게 되었다. 그때는 보이지 않았던 내용들이 이제는 어느 정도 공감이 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성적 사고를 하려면 시간을 갖고 스스로 질문을 던져야 한다. 이를테면 "이렇게 더 열심히 일하는 것이 이 문제를 해결할 최상의 방책인가?" - P82

우리는 돈이 우리를 위해 일하게 하는 법을 배운 것이다. - P87

우리의 자산은 스스로 자랄 만큼 충분히 많다. 그것은 나무를 심는 것과 비슷하다. 몇 년 동안 꾸준히 나뭬 물을 주면 어느 날 그럴 필요가 없어진다. - P90

자산은 주머니에 돈을 넣는 어떤 것이다. 부채는 주머니에서 돈을 빼내는 어떤 것이다. - P99

대부분의 사람들은 일을 계속하면서 돈을 모아 자산을 사야만 한다. - P122

"내가 만약 오늘 당장 일을 그만둔다면 나는 며칠을 더 살 수 있을까??"라는 것이 부의 척도라는 것이다. - P123

그런 수입 증가가 자산 획득에 사용되지 않으면 다른 사람만 더 부자로 만들 뿐이다. - P130

보스턴 항구에서 유명한 차 사건이 일어난 것도 차에 부과된 지나친 세금 때문이었다. - P138

돈이 우리를 위해 일하게 만들 때에는 우리가 그 힘을 관리하고 통제한다. - P145

직원들은 돈을 벌고 그 후에 세금을 내며 남은 돈으로 살려고 애를 쓴다. 하지만 기업은 돈을 벌고 지출을 한 후에 남은 돈으로 세금을 낸다. - P151

너무도 많은 사람들이 낡은 사고에 매달리기 때문에 더 열심히 일하면서도 고생하는 것을 본다. - P157

돈을 실제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다. - P163

실수를 하고, 고치고, 또 실수를 하고, 또 고치고, 그러면서 실력이 나아진다. - P181

교육을 많이 받은 내 아버지에게는 안정적인 직장이 가장 중요했다. 내 부자 아버지에게는 배움이 가장 중요했다. - P190

회사를 운영하는 데 가장 힘든 부분이 사람들을 관리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 P191

배움을 얻을 목적으로 직장을 찾으라고 권유한다. - P193

두려움을 다루는 방식이 문제이다. 잃는 것을 다루는 방식이 문제인 것이다. - P208

당신에게 돈이 별로 없는데 부자가 되고 싶다면 균형보다 초점을 추구해야한다. - P215

먼저 자신에게 다음과 같은 질문을 해라. 나는 실패에 대해 어떻게 반응하는가? - P21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잠에서 깨어나라, 내가 네게 무언가를 가르치겠다. - P54

어떤 사람들은 삶이 그냥 자신을 내두르도록 내버려둬. (중략) 그들은 삶이 자신을 내두른다는 점을 모르지. - P54

이런 사람들은 자신들을 내두르는 것을 환영해. 이런 사람들에게는 그것이 무엇인가를 스스로 배워야 함을 의미하지. 그들은 배우면서 계속하지. - P56

대부분의 사람들은 다른 사람은 변하기를 원하면서 자신은 변하려 하지 않는다. 다른 사람보다 자신을 바꾸는 것이 더 쉽다. - P56

나는 오히려 사람들이 스스로 착취한다고 얘기한다. 그것은 그들의 두려움이지, 나의 두려움은 아니다. - P60

어떤 일을 억지로 계속하는 것은 두려움 때문이라는 것을 알기만 하면 된다. - P61

자신의 금융 지식이 부족한 것이 문제임을 아는 사람은 거의 없다. - P64

돈이 그들의 감정을 관리하고, 결국 그들의 영혼까지 통제하게 되는 거지(우리가 돈의 노예가 되면 안되고, 우리가 돈의 주인이 되어야한다.) - P71

돈을 피하는 것은 돈에 얽매이는 것만큼이나 잘못된 것이다. - P73

다만 감정에 반응하지 말고 그것을 관찰해라. - P74

사실 직장은 인생이라는 장기적인 문제의 단기적인 해결책에 불과하다. - P75

먼저 두려움과 욕망을 처리할 수 있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부자가 되어도 돈이 많은 노예가 되는 거야. - P76

너희는 감정에 굴복하지 않음으로써 즉각적인 반응을 늦추고 이성적으로 생각할 수 있었다. - P77

우리의 삶은 무지와 깨달음 사이의 투쟁이라고. - P7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세상은 변했건만, 부모들의 말은 변하지 않은 것이다. - P9

금융 재정 분야와 돈에 대한 지식이 없는 상태에서, 아이들은 현실 세계에 대한 준비를 못하고 있다. 현실 세계에서는 저축보다 소비가 강조되고 있다. - P10

아이들이 재정적으로 안정적인 미래를 살려면 낡은 규칙을 버려야 하기 때문입니다. - P17

자신의 운명을 스스로 통제하는 것과 자신의 운명을 남에게 맡기는 것의 차이이기도 했다. - P18

아이들에게 안전하게 살라고만 가르치는 대신 영리하게 살라고 가르치는 것이 훨씬 더 낫다고 결심했다. - P19

어떤 일이 일어나건, 우리에게는 두 가지 기본적인 선택이 있다. 즉, 안전하게 살거나 현명하게 사는 것이다. - P22

하나는 진술이었고, 다른 하나는 질문이었다. 하나는 부정적인 생각이었고, 다른 하나는 긍정적인 도전이었다. - P2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