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호라이즌
배리 로페즈 지음, 정지인 옮김 / 북하우스 / 2024년 12월
평점 :




나는 먼저 만조선부터 찾기 시작한다. / p.95
이 책은 배리 로페즈라는 작가의 에세이다. 여행을 좋아하지만 별로 선호하지 않는, 조금 이상한 타입의 사람으로서 호기심이 들었던 책이다. 보통 여행 에세이를 읽는 것은 나름 꽤 좋아했고, 많이 읽었다. 발로 가지 못했던 나라와 풍경들을 활자로 읽는 것이 흥미로웠다. 그들의 여운을 직접 받은 것처럼 설레기도 했다. 대리 여행의 느낌이 좋아서 여행 에세이라는 점 하나로 선택했다.
작가는 북극과 북태평양, 갈라파고스 제도, 아프리카 대륙, 호주, 남극에 이르기까지 지구 곳곳을 다닌 여행가이기도 한데 여행에서 보고 듣고, 직접 느꼈던 많은 것들을 집대성한 내용을 다루고 있다. 그 세월을 다시 되새기면서 떠올리기도 하고, 그저 웅장함이 느껴지는 자연들 속에서 인간으로서 살아가야 하는 이유와 사람들과의 관계, 그동안 잊고 지냈던 지구의 역사들도 함께 성찰하게 만드는 이야기를 담는다.
조금 더디게 읽혀졌던 책이다. 언급했던 것처럼 그동안 여행 에세이를 종종 읽기는 했어도 이렇게 두꺼운 페이지 수를 가진 에세이는 처음이었던 것 같다. 대략 100 페이지가 약간 모자란 정도여서 책장을 넘기면서도 많은 걱정이 되었던 게 사실이다. 그럼에도 공감되는 부분과 함께 많은 여운이 남는 문장들이 있어서 곱씹으면서 읽었고, 대략 일주일 정도 걸렸다. 조금씩 틈이 날 때마다 손에 쥐고 완독했다.
읽는 내내 단순한 여행 에세이는 아니라는 생각이 들었다. 그래서 더욱 어렵게 느껴진 것도 있다. 단순하게 여행에 대한 기록이 아니라 종교, 역사, 철학을 막론하고 광활한 풍경 안에서 인간의 존재로서 탐구하는 저자의 성찰들이 너무 인상 깊게 남았다. 여행하는 대리 만족 정도의 수준을 넘어 나 자신도 되돌아 볼 수 있는 하나의 계기가 된 듯했다. 그만큼 내용 하나하나가 인상적으로 남았다.
저자가 보여 준 자연 환경에 감탄하고, 신념과 성찰에 반성하게 만드는 책이었다. 두꺼운 페이지여서 이 책을 온전히 다 이해했는지 묻는다면 그것 또한 확신이 서지 않는다. 그만큼 적어도 나에게만큼은 큰 책이라고 볼 수 있다. 발로 밟아보지 못했던 남극과 북극, 그 외의 다양한 나라에서의 깊은 여운을 전해 주어서 읽는 내내 벅차는 감정을 느낄 수 있는 시간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