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수의 여신 - 사납고 거칠고 길들여지지 않은 여자들의 이야기
마거릿 애트우드 외 지음, 이수영 옮김 / 현대문학 / 2024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경고한다. 이 책에는 사나운 글들이 모여 있다. / p.7

이 책은 마거릿 애트우드라는 유명한 작가님을 포함해 열네 분의 작가님께서 참여하신 앤솔로지 소설집이다. 그동안 앤솔로지 소설집을 자주 읽는 편이었는데 외국 작가로만 구성된 책은 올해 처음인 듯하다. 예전에 이야기를 주제로 한 스무 명 정도의 작가님들께서 참여하신 두꺼운 책이 있었던 것 같은데 그것 또한 적어도 이 년 전이지 않을까 싶다. 오랜만에 이렇게 외국 작가의 소설집을 접했다.

작품집을 선택하게 된 이유는 한 분의 작가님이 눈에 들었기 때문이다. '엠마 도노휴'라는 작가인데 예전에 장편소설 하나를 읽은 기억이 있다. OTT 영화로도 제작된 <더 원더>라는 작품이었다. 주인공이 아이를 간호하게 되는 이야기를 담았는데 여전히 아직도 머릿속에 선명하다. 주제 의식부터 스토리까지 지극히 사적인 기준으로 너무나 완벽했던 작품이어서 그 작가의 단편소설이 가장 기대가 되었다.

언급한 것처럼 열다 편의 작품이 실려 있다. 이 작품들의 공통점은 바로 여성을 비하하는 용어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는 점이다. 여성에 대한 안 좋은 의미를 담고 있는 단어를 문학적으로 표현했는데 '페미니즘 문학'의 선두자로 알려져 있는 마거릿 애트우드 작가님을 비롯해 개인적으로 기대하고 있는 엠마 도노휴 작가님 등 다양한 언어권에서 각자 하나씩 멸칭에 대한 이야기를 다룬다. 영국의 '비라고' 출판사에서 50주년 기획 작품집이라고 한다.

어렵게 느껴졌던 작품이었다. 'WARRIOR' 정도만 알고 있을 뿐 다른 용어들은 생전 처음 보았다. 거기에 신화나 문학적으로 숨겨진 의미를 찾아가는 부분들을 이해하는 데 오랜 시간이 걸렸다. 평소 영미권이나 다른 문화권의 작품들을 자주 읽었더라면 조금 수월했을지 모르겠지만 아시아 문학들, 그 중에서도 일본과 중국 작품들 위주로 읽었던 터라 소설에 드러난 문화적 배경들이 낯설었다. 대략 네 시간 정도 걸렸던 것 같다.

개인적으로 캐럴라인 오도노휴 작가님의 <포르노 배우의 우월함>이라는 작품이 가장 인상적으로 남았다. 주인공은 왕년에 포르노 배우로 이름을 알렸던 듯하다. 나이가 들어 그녀를 찾는 사람들에게서 잊혀지자 포르노 제작을 제작한다. 스토리는 모성을 강조하는 것인데 과거 포르노 배우 시절에 알게 된 데릭 허시라는 새로운 인물이 등장한다. 데릭 허시와 다시 재회하면서 생긴 이야기를 담고 있다.

사실 읽는 내내 주인공의 감정선이나 생각에 크게 공감이 되지 않아서 인상적인 작품이었다. 그러면서 사실적이고 직관적으로 다가오기도 했다. 아마 다른 작품들에 비해 조금 더 이해했다는 생각에 인물의 감정선을 그래도 따라갈 수 있지 않았을까 싶다. 주인공의 모습을 쭉 읽고 있으면 자아도취라는 단어가 자연스럽게 연상이 되었다. 직업에 귀천이 없다고 하지만 자신의 무언가에 빠져서 헤어나오지 못하는 사람처럼 보였다.

전반적으로 들었던 느낌으로는 이 작품집을 온전히 받아들였는지에 대한 스스로 의문이었다. 큰 주제 의식과 스토리 라인에 비해 작품의 이해도가 낮은 듯하다. 아마 여성학이나 페미니즘에 관련된 서적들을 읽으면서 지식을 쌓고 다시 재독하게 된다면 그때는 지금보다 더욱 풍부한 감상평을 남길 수 있지 않을까. 이 작품들을 마음만큼 와닿지 못해서 그게 조금 아쉬웠다. 이 부분은 어디까지나 개인적인 능력 부족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