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이먀콘 프로젝트 - 대한민국콘텐츠대상 우수상
허관 지음 / 팩토리나인 / 2024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청명한 하늘이라 유독 돋보이는 검은 점. / p.7

이 책은 허관 작가님의 장편소설이다. 제목이 발음하기 어려워서 더욱 임팩트가 남았다. 그래서 선택한 책이다. 내용은 애초에 찾지 않고 그저 '오이먀콘'이 무엇을 의미한지 궁금증이 생겼기 때문이다. 거기에 마치 추운 겨울에서 살아가는 늑대나 시베리안 허스키 같은 종들의 그림도 관심이 갔다. 거기에 콘텐츠대상 수상작들이 나름 흥미를 주었다는 점에서 더욱 기대가 되었다.

소설은 한 명의 박사가 죽음을 당하면서 이야기가 시작된다. 호모 오비루나라는 인종에 대한 정보가 등장한다. 그리고 한국에서 독일로 입양이 된 엠마라는 인물이 등장한다. 이를 노리는 사람들이 많다. 암살자라고 불리는데 이들을 피해 목표를 이루어야 하는 듯하다. 처음에는 의심했지만 결국 자신을 돕는 어느 할아버지가 등장했고 그와 같이 시베리아의 오이먀콘으로 가는 이야기, 그리고 오이먀콘 프로젝트는 어떤 것을 의미할까.

전반적으로 어렵게 느껴진 작품이었다. 기상학뿐만 아니라 조금 생소하게 느껴졌던 과학 용어들도 많이 등장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스토리를 이해하는 일에는 큰 어려움이 없었다. 아무래도 과학적 소재를 다룬 sf 소설이다 보니 낯설게 느껴졌던 것은 어쩌면 당연했을지도 모르겠다. 소재나 표현적인 측면에서 어려웠지만 그래도 스토리의 매력이 있어서 그나마 다행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대략 세 시간 넘게 걸렸던 것 같다.

초반에는 소수의 희생으로 다수의 이익을 추구하는 이들과 한 사람의 희생도 용납할 수 없는 이들의 대립, 또는 오이먀콘 프로젝트를 성사시키려는 이들과 이를 막으려는 이들의 이야기로 보였다. 그냥 권력자와 연구하는 이들의 구도. 어떻게 보면 인간 대 인간의 이야기처럼 읽혀졌다. 그래서 어떻게 보면 생각하는 전개로 흘러가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들었다. 아마 그렇게 흘러갔더라면 실망했을지도 모르겠다.

그러다 인간의 욕망이 눈에 들어왔다. 완전 무구한 피해를 받는 사람은 오이먀콘에서 희생당할 이들이 아닌, 거기에 국가 권력을 가지고 있는 이들도 아닌, 연구자들은 더더욱 아니었다. 오히려 어떤 것도 하지 않았지만 결국 인간에 의해 피해를 받게 되는 것은 지구, 그리고 인간을 노렸던 늑대들이었다는 점을 새삼스럽게 느꼈다. 인간에 의해 희생을 받는 그들이 눈에 보였던 것이다.

그동안 환경에 대한 책들을 읽었지만 이 작품이 유독 강하게 다가왔다. 시베리아에서 오이먀콘 프로젝트라는 게 있을 리가 없고, 엠마처럼 쫓기는 일은 더더욱 없을 것이라고 생각하지만 작가의 말처럼 지구에서 벌어지는 환경적 변화만큼은 진실이라는 그 문장이 너무나 강렬하게 와닿았던 작품이었다. 서두에 언급했던 것처럼 참으로 어려웠지만 그게 단순하게 단어의 이해였는지 의문이 들었다. 어쩌면 인간이기에 느꼈던 무거움이 아니었을까.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