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라부카를 위한 소나타
아단 미오 지음, 김은모 옮김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24년 5월
평점 :



음악의 권리 구조는 복잡하다. / p.18
이 책은 아단 미오라는 일본 작가의 장편소설이다. 사실 주제로만 본다면 조금 취향과 거리가 멀었는데 번역가님을 보고 선택하게 된 책이다. 그동안 흥미롭게 읽었던 일본 작품들에서 자주 보이는 번역가님들이 계시는데 그 중 한 분이었다. 최근에만 보더라도 법정의 이야기를 다룬 작품과 마을에서 벌어지는 일을 다룬 작품 등 생각보다 많이 읽었고, 그만큼 만족도가 놉았다. 이번 작품도 그런 의미로 기대가 되었다.
소설의 주인공은 다치바나라는 인물이다. 어렸을 때에는 첼로를 배웠지만 현재는 일본 저작권 연맹 소속의 직장인이다. 무슨 이유에서인지 몰라도 어느 순간부터 첼로를 멀리하는 듯하는 느낌도 주었는데 그런 그가 상사의 비밀 명령으로 다시 첼로를 연주하게 될 순간이 찾아온다. 다치바나에게 주어진 업무는 미카사 음악 교실에 수강생인 것처럼 잠입해 불법 정황을 찾아 보고하라는 점이었다. 그는 미카사에서 첼로를 연주하면서 점점 변해가는 것을 느낀다.
일본 소설을 자주 읽는 독자이기 때문에 술술 읽혀졌다. 그러나 음악에 대한 관심과 지식 자체가 없어서 다른 작품들에 비하면 조금 더디게 읽혀진 감이 있었다. 첼로의 연주법이나 음악 용어, 저작권 관련 단어들이 조금은 낯설게 다가왔던 탓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스토리 자체는 지식이 없는 독자들에게도 충분히 이해할 수 있는 부분이어서 금방 이해할 수 있었다.
개인적으로 다치바나의 성장 측면에 더욱 공감하면서 읽었다. 불면증을 가지고 있던 다치바나가 자발적인 이유가 아닌 업무로 첼로를 가까이 두게 되면서 조금씩 긍정적으로 바뀌기 시작했다. 상사나 동료들과 이야기를 나누는 것에서는 크게 문제가 없었지만 은근히 거리를 두는 듯했는데 미카사 음악 교실을 다니면서부터 낯선 사람들과 합주를 준비한다거나 어울리는 등의 새로운 모습을 볼 수 있었다. 그 지점이 강하게 와닿았다.
거기에 가르쳐 주었던 스승에게 본의 아니게 자신의 업무를 언급하면서 틀어지는 부분이 후반부에 등장하는데 마음 아파하는 모습들이 오히려 더욱 공감되었다. 그동안 다치바나에게 미카사 음악 교실이, 그리고 자신과 함께 첼로를 함께 나누던 시간들이 그냥 업무적인 이야기로 끝나지 않았다는 게 활자를 통해 느껴졌기 때문이다. 어쩌면 다치바나에게 단순한 존재는 아니었던 것 같다는 느낌이 들었다.
그동안 스파이로 들어갔다가 오히려 마음의 동요를 일으키거나 음악이라는 매개체로 성장하는 스토리는 종종 읽었던 적이 있다. 영화의 소재로 등장하기도 했는데 대부분 이성 간의 사랑이라는 소재에 초점이 맞추어 졌다는 점에서 조금 거리감이 있었다. 반면, 이 작품은 마무리까지 다치바나라는 인물 자체의 성장으로 쭉 스토리를 끌고 간 부분이 너무나 만족스러웠다.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