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고이스트
다카야마 마코토 지음, 유라주 옮김 / 민음사 / 2023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나이가 되어서야 나는 마침내 이 시골에서 웃을 수 있었다. / p.9

이 책은 다카야마 마코토의 장편소설이다. 책을 고르게 된 계기가 조금 특이하다. 예전에 유튜브에서 이 출판사의 한 소설을 봤던 기억이 있는데 그 책과 판형이 똑같아 보여서 선택하게 된 것이다. 하나의 시리즈로 생각을 했었다. 보통 시리즈로 나오는 책들은 모아두면 나름 괜찮은 모습을 보였다는 점에서 작품을 읽고 괜찮다면 그 유튜브에서 본 소설도 구매할 계획이었다.

소설의 주인공은 고스케이다. 어린 나이에 어머니께서 돌아가시고, 십대 시절을 괴롭힘을 보낸 인물인 듯하다. 도망치듯 살던 동네를 떠나 도쿄에서 거주했고, 어느 정도 나이가 되어 다시 고향을 찾았다. 물론, 고향을 찾은 이유는 명품으로 치장된 옷을 보고 괴롭힘 가해자들의 눈빛을 보기 위함이다. 지나가다 본 동창들은 그의 모습을 보았고, 그들의 눈을 보자 고스케는 승리감이 들었다.

나이가 들면서 조금씩 배가 나오기 시작했는데 지인으로부터 류타라는 이름의 한 개인 트레이너를 소개받는다. 고스케는 동성애자였는데 류타 역시도 같은 성적 취향을 가지고 있었다. 류타의 몸매에 고스케는 호감이 생겼고, 두 사람은 급속도로 가까워지면서 결국 연인이 되었다. 그런데 류타가 다른 직장을 알아보면서 고스케에게 이별을 고했지만 다시 만났다. 소설의 내용은 두 사람의 이야기를 따라간다.

얇고 작은 판형이어서 점심 시간을 이용해 읽었고, 큰 사건보다는 잔잔한 일상적 내용들로 전개가 되다 보니 쉽게 몰입할 수 있었다. 두 주인공이 동성 연인 관계이기에 이러한 지점에 크게 거부감이 없다면 무리없이 읽지 않을까. 아무래도 많은 퀴어 문학들을 접했고, 직전 작품 역시도 성소수자들이 등장했던 터라 어디까지나 개인적인 측면에서는 읽는 것에 크게 문제가 될 것은 없었다.

읽으면서 두 가지 지점을 생각했다. 첫 번째는 제목이다. 에고이스트의 사전적 정의로는 자신의 이익만을 생각하는 태도를 가진 사람을 뜻한다. 겉으로 보기에 고스케가 류타를, 그리고 류타의 어머니는 챙겼다는 측면에서 거리가 멀게 느껴지기도 한다. 물론, 두 사람이 연인이라는 특별한 관계에 있기에 이타적인 사람이라고 보기에도 무리가 있을 것이다. 그렇다고 하면 에고이스트라는 제목은 무엇을 의미할까. 그러면서 느끼게 되었던 점이 고스케가 류타를 연인 관계 그 이상으로 자신과 동일시했다는 것이다. 원래의 뜻과는 다르지만 자아라는 뜻을 가진 ego와 비슷하게 고스케가 류타에게 하나의 자아로서 의미를 가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두 번째는 고스케와 류타의 관계이다. 약간 첫 번째 지점과 연결이 되는 부분이기는 하지만 두 사람이 보통 연인 관계라고는 보이지 않았다. 어떻게 보면 물주로 오해가 될 듯하다. 사랑하는 사람이 힘들어하는 모습을 보고 싶지 않으니 물질적으로 지원을 해 주고 싶은 마음은 너무나 이해가 되지만 너무 지나쳤다. 그런 면이 오히려 류타로 하여금 마음의 부채처럼 쌓였을 것이고, 사회에서 살아가고자 하는 방법을 잃게 만들었을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고스케는 사랑하는 방법이 서툴었다. 결국은 그게 죄책감이 되어 두 사람에게는 돌이킬 수 없는 결말을 주었던 것 같다.

가까이에서 보면 구구절절 마음 아픈 사랑 이야기처럼 보이겠지만 더 나아가 사람들이 세상에서 살아가는 방법을 찾는 이야기처럼 보였다. 고스케의 반성과 죄책감을 통해 성장이 되는 것처럼 느껴졌는데 그 부분을 보면서 배경이 같다고 해도 막연하게 자아를 투영해서는 안 되는 일이며, 너무 퍼주는 것 또한 어떤 면에서는 사랑이 아닐 수도 있다는 점을 새삼스럽게 깨닫게 되었던 작품이었다.

<출판사 '민음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