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와 퓨마의 나날들 - 서로 다른 두 종의 생명체가 나눈 사랑과 교감, 치유의 기록
로라 콜먼 지음, 박초월 옮김 / 푸른숲 / 2023년 8월
평점 :


날이 막 어두워질 참이고, 나는 홀로 정글에 있다. / p.20
한참 호기심이 왕성해 동물을 좋아할 시기에는 동물의 왕국이 그렇게 재미있을 수 없었다. 사자와 호랑이, 고래와 상어 등 일상생활에서 볼 수 없는 동물들이 등장하니 신기했다. 물론, 실제로 본다면 무서워서 부모님 뒤로 숨었겠지만 어쨌거나 브라운관 너머의 동물들은 나에게 해를 가하지 않으니 참 흥미로웠던 것 같다.
그때는 커서 사파리 여행을 가는 게 커다란 꿈이었다. 혼자 여기저기 다닐 수 있는 어른이 되면 꼭 가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마치 장래희망을 묻는다면 과학자라고 대답하는 것과 같은 이치라고 할까. 그러나 성인이 되어 지금 똑같은 질문을 듣게 된다면 사파리는 전혀 예상에도 없을 것이다. 세상이 더 무섭지만 아직 경험하지 않은 사파리는 그만큼 무서운 존재가 되었기 때문이다. 삶도 정글이지만 그곳도 정글이다.
이 책은 로라 콜먼의 에세이이다. 사실 퓨마와 치타를 구분하는 법조차 모르는 동물의 문외한이다. 차라리 시베리안 허스키와 아메리칸 말라뮤트를 구분하는 게 더 쉬울 정도로 개는 좋아하지만 쉽게 볼 수 없는 야생의 동물에게는 큰 관심이 없다. 그저 무서운 동물이라고 각인이 되어 있을 뿐이다. 그런데 인간과 퓨마가 친구가 된다는 내용이 참 흥미롭게 와닿았다. 가장 먼저 든 생각은 '인간의 안전은?'이라는 물음이었는데 그에 대한 해답을 얻고 싶어 선택하게된 책이다.
저자는 영국에서 무료한 삶을 보냈다. 어느 하나 정착한 직업이 없이 여러 일을 하면서 자신이 살아갈 이유를 찾는 것 같았는데 뭐 하나 해답이 나오지 않았다. 그러다 갑자기 볼리비아로 여행을 떠난다. 그것도 생츄어리 자원봉사자 공고를 보고 말이다. 여기에서 말하는 생츄어리는 보호소 같은 개념으로 보이는데 야생동물을 보호하는 구역을 뜻한다. 그동안 야생동물에 대한 관심이 없었는데 그것도 즉흥적으로 자원봉사자로서 그곳에 머문다.
생츄어리는 그야말로 열악한 환경이었다. 갑자기 소리를 내면서 돼지가 뛰쳐나오고, 흔히 말하는 푸세식 변기의 위생은 말할 것도 없었다. 심지어 자는 공간마저도 원숭이들과 함께 보내고, 거머리를 비롯한 다양한 벌레들이 사람들의 피를 노린다. 또한, 담당하게 된 동물은 와이라라는 이름의 퓨마이다. 지금까지 본 적도 없던 맹수를 산책시키게 된 것이다. 어차피 짧게 머물 계획이기는 했지만 비위생적인 주변 상황과 와이라를 본 순간 하루라도 빨리 생츄어리에서 탈출하고 싶었다. 그러나 그녀는 왜 돌아가지 못하고 연장했을까. 돌아갔지만 왜 다시 이곳을 오게 되었을까.
개인적으로 읽으면서 두 가지 생각이 들었다. 첫 번째는 인간과 동물의 교감이다. 저자는 생츄어리에서 원숭이, 새, 퓨마 등 다양한 동물들과 교감을 한다. 같이 잠을 자기도 하고, 밥을 먹고, 더 나아가 볼일을 볼 때에도 동물들이 옆에서 본다. 모든 것을 다 본 것이나 다름이 없다. 무섭게 느껴졌던 동물들은 어느새 친구가 되어 있었고, 여러 이유로 세상을 떠난 동물들의 소식을 들으면서 울기도 했다. 그러나 약간 의아한 점은 그런 동물들에 비해 막상 와이라와는 거리가 있는 것처럼 보여졌다는 것이다. 와이라는 저자를 물어버린다거나 으르렁대는 등 적대적인 모습을 보이기도 했는데 생각했던 것처럼 가깝게 느껴지지는 않았다. 오히려 저자의 일방적인 짝사랑처럼 보이기도 했다.
두 번째는 환경이다. 이 책에서는 환경을 보호하자는 강력하고도 직접적인 메시지는 다루지 않는다. 그저 생츄어리에서 벌어진 일을 사실적으로 표현했을 뿐이다. 심지어 저자의 감정과 생각이 담기기도 하지만 환경에 대한 부분에서만큼은 최대한 절제한 듯 보였다. 생츄어리의 현실적인 이야기를 읽고 있으면 환경에 대한 경각심이 생긴다. 나라의 발전은 좋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인간의 욕망으로부터 비롯되어 동물들의 터전인 자연을 훼손하는 일이기에 진지하게 생각할 필요성을 느꼈다.
드라마틱하게 '나와 와이라는 친구가 되었어요.'라는 메시지로 와닿았다면 오히려 소설의 이야기처럼 느꼈을지도 모르겠다. 그러나 저자가 인생을 살아가고자 하는 이유와 목적으로 생츄어리에서의 자원봉사로 찾아 조금씩 긍정적으로 변화되는 부분, 환경보다는 동물에 대한 사랑 하나로 비위생적인 생츄어리를 잊지 못하는 부분들이 흥미로우면서도 인상 깊게 다가왔던 책이었다.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