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칼럼 레시피 - 논리와 감성을 버무린 칼럼 쓰기의 모든 것
최진우 지음 / 한겨레출판 / 2023년 8월
평점 :

우리 삶은 원래 사방으로 삐죽삐죽 난 돌기투성이 아닌가요. / p.17
학교 다닐 때에는 나름 신문을 읽는다거나 인터넷 기사를 읽었는데 사회생활을 하고 난 이후로부터는 뉴스를 거의 끊다시피 했다. 항상 들려오는 부정적인 소식들에 대한 피로도가 높아졌기 때문이다. 중요한 이슈들이나 관심 분야만 찾게 된다. 보통 이슈들이라고 하면 국제나 사회 면이 될 것이고, 관심 분야라고 하면 국내 프로 야구 정도가 될 듯하다. 이외에는 그냥 보이면 보는 수준이다.
그렇다 보니 자연스럽게 멀어진 장르가 하나 있다. 그게 바로 칼럼이다. 신문을 읽었을 때에는 다른 사람들의 생각을 읽자는 느낌으로 먼저 찾아서 보기도 했었는데 이제는 종이 신문을 보지도 않고, 인터넷 기사로는 자극적인 내용들이 가장 메인에 들어와 있다 보니 직접 찾아서 보지 않는 이상 볼 일이 점점 사라져 가고 있다. 예전에는 그래도 칼럼을 읽는 재미가 있었는데 말이다.
이 책은 최진우 작가님의 칼럼 글쓰기 서적이다. 칼럼을 보는 것도 어렵다 보니 쓰는 것은 더욱 거리가 먼 일이라고 생각이 든다. 글을 쓰고 싶다는 막연한 생각도 소설이나 에세이 정도의 선이었을 뿐 칼럼은 특정 분야의 전문가 시선에서 작성된 글이라는 생각이 들어 더욱 어려운 장르라는 생각이 들었다. 칼럼이라는 소재 자체가 새롭게 와닿았고, 칼럼 자체보다는 글쓰는데 도움이 되지 않을까 하는 느낌으로 선택하게 됐다.
책에서는 칼럼 쓰기를 요리에 비유한다. 단순하게 재료를 글감, 문체가 플레이팅 이라는 흔한 비유에서 그치지 않고 요리와 마찬가지로 글감도 발효를 한다거나 조리법을 다양한 글쓰기 방법으로 표현하는 등 요리의 디테일한 부분까지 칼럼 글쓰기와 연관지어 하나씩 설명해 준다. 이 지점이 칼럼이라는 장르가 낯선 독자들에게는 참 많은 도움이 되었다. 전반적으로 이해하기 쉽게 읽혀져 있다 보니 결론적으로 칼럼에 대한 흥미가 생기기도 했다.
개인적으로 두 가지 지점이 가장 인상 깊게 와닿았다. 첫 번째는 저자의 이력이다. 칼럼 글쓰기를 알려 주는 서적이기에 처음에는 칼럼리스트일 것이라고 예상했었다. 그러나 저자께서는 전문적인 칼럼리스트가 아닌 칼럼을 너무나 사랑하는 글쓰기 관련 직종에 종사하는 분이었다. 들어가는 말에도 이에 대한 우려가 드러나 있다고 느껴졌는데 오히려 비전문가 입장에서 칼럼을 하나하나 소개해 주는 글이었기에 이해하기 쉬운 측면이 있었다. 아마 칼럼 자체에 깊게 파고들었다면 안 그래도 칼럼 자체에 느끼고 있는 장벽이 더욱 높아지지 않았을까 싶다.
두 번째는 칼럼이다. 칼럼 글쓰기 방법을 설명하면서 좋은 칼럼이 예시로 실려 있었다. 서두에 언급했던 것처럼 칼럼을 그렇게까지 찾아서 보는 스타일이 아니기 때문에 하나하나 새롭게 느껴졌다. 이름조차 생소한 분들의 칼럼들도 있었지만 소설가로 익숙한 분들의 칼럼도 실려 있어서 더욱 신기했다. 너무나 익숙한 비틀즈 애비 로드의 자켓 사진으로부터 시작된 이야기가 횡단보도에서 자식을 기다리는 아버지의 장면으로 그려지게 했던 칼럼은 참 재미있었다. 그밖에도 좋은 칼럼들을 하나씩 읽을 수 있었다.
아무래도 칼럼 자체에 무지하기에 칼럼 자체를 사실이나 논지와 상관없이 그대로 받아들이는 오류를 범할 수 있을 텐데 그런 지점에서 많은 도움을 받았다. 책의 논지나 초점은 누구나 칼럼을 쓸 수 있다는 것에 맞추어져 있지만 읽는 내내 좋은 칼럼을 찾는 방법, 그리고 칼럼을 보는 방법을 알려 주는 서적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덕분에 칼럼이라는 먼 친구가 조금은 가까워진 듯한 느낌을 주었던 책이었다.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