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베이츠
이아타 지음 / 메타 / 2023년 5월
평점 :

사람들은 다시 굶주림의 시대로 돌아가는 걸 가장 두려워했다. / p.16
예전 기억을 돌이켜 보면 한때 식량에 대한 두려움이 클 시기가 있었던 적이 있다. 어떤 때에는 식량난이, 또 다른 때에는 유전자 공학 식품에 대한 위험성이 그랬다. 전자는 전쟁이나 재난으로 인해 식품들이 고갈될 것을 우려했던 이야기였던 것 같다. 그리고 후자는 유전자 변형 식품이 사람의 몸속에 들어가게 되면 희귀병이나 질환들을 일으킬 수 있다는 것이었다.
지금은 그렇게까지 크게 관심을 가지지 않기 때문에 식량에 대한 걱정은 없는 듯하다. 오히려 세상에는 먹을 것이 참 많다는 생각까지 들 정도인데 최근에 수급난이 맞물려서 아주 오랜만에 식량에 대한 걱정이 들었다. 물이 없다면 위생적인 것은 물론이고, 식물이 제대로 자라지 못해 쌀을 비롯한 곡식들의 재배량이 줄어들 것이기 때문이다. 올해 많은 비가 내려 다행스럽다는 생각이 들었다.
이 책은 이아타 작가님의 장편소설이다. 식량난을 다룬 소설이라는 점에서 가장 크게 관심이 갔다. 지금까지 읽은 소설들을 보면 식량 자체를 주제로 내세운 작품은 없었던 것 같다. 현실감이 있는 익숙한 소재들도 좋지만 SF 장르에서는 먼 미래에 벌어질 수 있을 법한 이야기를 다룬 작품들에 큰 흥미를 느끼는 편이었기에 그런 비슷한 맥락으로 이 작품에 대한 기대감이 생겨 읽게 되었다.
소설에는 태오와 지오라는 이름의 형제가 등장한다. 그리고 그들이 살고 있는 세계는 식량 전쟁으로 자연산 곡식을 취득하는 것 자체가 불법이다. 식물에 대한 소유권을 대기업이 모두 나눠서 가졌기 때문이다. 이들은 유전자를 연구해 슈퍼 곡식들을 개발해 납품하는데 그 중 하나가 베이츠에서 개발한 알파콘이라는 옥수수이다. 지오는 베이츠에서 알파콘을 재배하는 노동자로 취업한다. 취업하는 과정은 참 험난한데 누구보다 체력이 중요시되는 일이다 보니 다른 이들과 겨루고 또 선택을 받아야 가능한 일이다.
거기에서 지오는 당당하게 입사했고, AI나 기계로 할 수 있는 일을 제외한 가장 단순하고도 힘든 업무를 한다. 그렇게 형인 태오와 할머니를 생각하면서 일하던 중 갑자기 실종이 된다. 태오는 수소문하거나 베이츠에 동생의 행방을 물었지만 이미 퇴사했다는 답변을 받는다. 태오는 결국 베이츠에 입사해 동생의 흔적을 밟기로 한다. 그러면서 만난 다른 노동자와 마스터, 그리고 베이츠를 만든 이들 사이에 사건을 다룬 이야기를 담고 있다.
사실 최근에 읽었던 작품 중에서는 제일 이해하기 어려웠다. SF 소설의 특성상 과학적 지식이 많이 등장해서 늘 애를 먹기는 했지만 그동안 보지 못했던 유전자 공학 식품에 대한 내용을 다루고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지식을 이해하느라 조금 더디게 읽었던 것 같다. 거기에 나오는 이름 자체도 너무 생소하다는 생각이 들었기에 초반에는 스토리의 흐름을 하나씩 이해하려고 많은 노력을 했었고, 이후부터는 조금 그래도 수월하게 읽었다.
개인적으로 다른 작품들과 다르게 상상력에 집중했다. 어떻게 보면 터무니없게 느껴질 법한 비현실적인 내용이다. 대한민국으로 말하자면 삼성이나 엘지 등의 큰 대기업이 유전자 식품 공학으로 나라의 식량을 제어한다는 설정일 텐데 이게 이상하게 너무 가깝게 느껴졌다. 과연 우리나라에도 큰 재난 재해나 세계 식량 전쟁으로 지금 재배하는 곡식들을 키우는 게 불법이고, 마트에서 구입할 수 없다면 어떻게 될까. 무조건 대기업에서 만든 식량을 구입해야 한다면 어떤 미래가 펼쳐질까. 나름의 살을 붙여서 이리저리 상상했다. 결론적으로는 끔찍할 듯하다.
거기에 한동안 잊고 있었던 유전자 공학 식품의 안정성에 대한 문제들도 깊이 생각할 수 있는 기회가 되었는데 등장하는 인물들이 가장 두려워하고자 하는 부분이 아니었을까 싶다. 특히, 태오와 지오 형제의 할머니는 불법을 행하는 장면들이 등장하고, 태오는 베이츠에 부정적인 생각마저 가지고 있었다. 가장 현실감이 있다고 느끼는 부분이었다. 그밖에도 대기업이 중요한 무언가를 꽉 잡고 있는 것도 경계가 필요하지 않을까 싶다.
어려웠지만 그만큼 새로워서 흥미롭게 읽은 작품이었다. 아무래도 SF에 대한 지식은 늘 한계점을 보이는데 조금 더 잘 읽혔더라면 풍부하게 이해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아쉬움도 들었다. 조금은 독특하면서도 현실적인 주제를 다루었다는 측면에서 만족스러웠다.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