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암컷들 - 방탕하고 쟁취하며 군림하는
루시 쿡 지음, 조은영 옮김 / 웅진지식하우스 / 2023년 5월
평점 :

모성의 본능이라는 것이 있다면 나한테는 없는 게 분명했다. / p.216
이 책은 루시 쿡의 생물학에 대한 도서이다. 어디까지나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어디 가서 무엇을 읽냐고 물어본다면 섣불리 제목을 말할 수 없을 정도로 직관적이라고 느껴졌다. 심지어 부제는 더욱 부끄럽다는 생각까지 들었는데 그래서 더욱 관심이 갔던 것 같다. 조용히 혼자서 읽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책은 다윈과 도킨스 등의 생물진화론자들이 주장했던 암컷에 대한 편견을 다양한 동물의 예시와 함께 요목조목 반박하는 내용이 담겨 있다. 특히, 암컷은 수동적인 존재이며, 착취당하는 성이라는 일련의 내용들을 저자는 암컷을 연구하는 학자들을 만나 이러한 통념이 사실이 아니었다는 점을 증명한다. 크게 11 장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암컷의 정의부터 암컷이 배우자를 선택하는 것, 그동안 암컷에 대한 신화가 조작되었다는 점, 동족을 먹는 암컷 동물들의 사례, 동물들의 모성애와 우수한 정자를 받기 위한 암컷들의 싸움, 동물들의 완경, 동물들의 동성애까지 다양한 이야기들이 펼쳐져 있다.
읽으면서 암컷들의 이야기에 빨려 들어가는 듯한 느낌을 받음과 동시에 조금은 낯간지럽다는 생각도 들었다. 아무래도 책에서 말하고자 하는 중심 내용이 성별과 관련된 통념이기 때문에 그동안 읽었던 책에서 볼 수 없었던 직설적이고도 노골적인 용어들이 많이 등장한다. 성에 관련된 이야기들을 겉으로 표현하는 스타일이 아니다 보니 활자로 보는 게 개인적으로는 조금 부끄러웠다. 그러나 이러한 느낌과 별개로 내용 자체로만 놓고 보면 너무 흥미진진했기에 비문학, 그것도 생물학에 대한 이야기를 읽은 것치고는 굉장히 빠른 시간에 완독할 수 있었다.
개인적으로 인상 깊은 지점 중 하나는 암오리의 나선형 생식 기관에 관한 이야기이다. 오리는 원하지 않는 교미를 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특히, 수오리가 암오리에게 이를 실행하는 경우가 있다. 그동안 암컷의 통념을 보자면 수동적인 존재이기에 수컷의 정자를 선택하지 못하고 그냥 당하는 입장이 되는 것이다. 그런데 이를 연구한 학자가 암오리를 해부해 보니 생각하지도 못했던 결과가 나왔다. 오리의 교미 중 30 퍼센트 이상이 강제로 진행되지만 수정하는 경우가 채 10 퍼센트가 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이는 암오리의 나선형 생식관이 진로를 차단해 싫어하는 수오리의 정자를 막고 스스로 선택한다는 점이다. 알지 못했던 부분이기에 신기함을 느낌과 동시에 소름이 돋았던 부분이었다.
또한, 읽는 내내 동물들에 비해 인간이 편협하게 살고 있다는 생각과 동물에 대한 큰 편견을 가지고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우선, 이 책에서도 동물의 예시를 토대로 동성이 새끼를 키우는 이야기들이 등장하는 부분에서는 예전에 어느 책에서 '다른 종의 동물들에게 동성애는 흔하다.'라는 뉘앙스의 내용이 떠올랐다. 그리고 인간은 생각할 수 있는 동물이기에 이성적으로 살고 있는 반면, 동물들은 본능을 앞세워 번식만 생각한다고 착각하고 살고 있는 것은 아닌지 의문이 들었다. 어쩌면 그러한 점을 앞세워 틀을 가두고 판단하는 것은 아닐까. 인간으로서 복잡하고도 미묘한 감정들이 마음을 휘감았다.
진화론이나 생명과학을 고등학교 졸업 이후로 따로 공부하지 않아서 전체적으로 조금 어려운 부분이 있었던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인간들이 가지고 있었던 암컷에 대한 통념을 뒤집어 반박한다는 점에서는 마치 사이다를 마신 듯 통쾌함을 느낀 것은 분명하다. 갈수록 책장 넘어가는 시간이 아쉽다는 생각마저 들었다. 내용을 떠나 인간들이 생각하는 것처럼 암컷은 수동적인 존재가 아니며, 그들 스스로 운명을 만들어 간다는 사실 자체는 제대로 각인되었던 책이었다.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