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기 인간
알도 팔라체스키 지음, 박상진 옮김 / 문예출판사 / 2023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다른 정신은 아래로, 지옥으로 묻힙니다. / p.45

보통 생각을 했을 때 사람이라는 동물은 적어도 가시적으로 보이는 형체로 존재한다. 물론, 다른 동물과 식물들도 그렇다. 안 보이는 작은 미생물도 있겠지만 그것들은 너무 작기 때문에 인간의 눈으로 볼 수 없을 뿐이다. 형체하지 않는 사람은 곧 귀신이나 유령이지 않을까. 그러고 보니 예시로 든 두 물체는 우리가 흔히 말하는 인간의 범주에는 들어가지 않는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이 책은 알도 팔라체스키의 장편소설이다. 소재가 독특하게 다가와 선택하게 된 작품이다. 서두에 언급했던 것처럼 인간은 늘 형체로 보여야 한다고 생각하는 입장인데 연기로 이루어진 인간이라는 설정이 신기하게 다가왔다. 과연 연기 인간은 우리가 살아가기 위해 행하는 먹는 것과 자는 것, 그리고 위생과 욕구 등 다양한 무언가를 어떻게 해결할까. 보다 근본적인 호기심에 상상력을 달아 줄 것만 같았다.

소설의 주인공은 피렐라라는 이름의 연기 인간이다. 굴뚝에서 꽤 오랜 시간을 보내다 세 명의 노파가 피운 불로 세상에 나온다. 그러다 도시에서 피렐라를 본 사람들은 이를 신기하게 여겼다. 그렇게 나라의 왕에게 초대된 피렐라는 많은 사람들의 주목을 받았는데 그를 신성시한 존재로 여기기까지 한다. 심지어 국가의 중책을 맡기기도 한다. 그러다가 피렐라의 모습처럼 될 수 있다고 믿었던 한 사람의 죽음으로 여론이 뒤바뀌게 된다. 신성시했던 분위기는 곧 원인을 그에게 돌리고 책임을 묻는다.

읽으면서 두 가지 지점이 인상적이었으며, 반대로 난해한 느낌을 받았다. 첫 번째는 문체이다. 이 소설은 지금까지 읽었던 작품들과 다르게 대화체로 이루어져 있다. 이 지점이 처음에는 많이 당황스러웠다. 사실 종종 대본집도 읽기는 했었는데 그것과는 또 다르게 보였다. 지문이나 나레이션 등이 표시가 되는 대본집과 다르게 그저 큰 따옴표로 대화만 쭉 나열이 되어 있어 어떤 인물이 말하는지 인지하지 못해 어려움을 겪었다. 그러나 어느 정도 읽다 보니 흐름을 파악할 수 있었고, 이 색다른 문체가 매력으로 느껴졌다.

두 번째는 등장 인물들의 이중성이다. 줄거리에 언급했던 것처럼 중반에 이르러 여론이 바뀐다. 초반에는 피렐라의 모습을 보면서 신기함을 넘어 특별한 존재로서 대우한다. 보통 사람이라면 신뢰가 쌓인 이후에 국가의 중책을 맡길 텐데 마치 신이 만든 하나의 특이한 현상으로서 번갯불에 콩 구워 먹듯 쉽게 피렐라를 대한다. 지극히 현실적인 입장에서 보면 뭘 이렇게까지 신봉하는지 이해가 어려운 부분이었으며, 종교의 색이 느껴지기도 했었다. 사람의 믿음은 이렇게 난해하고도 가볍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었다. 사람들의 무지함이 보였다.

연기로 이루어져 있기에 세상에서 가벼운 사람이라고 칭했겠지만 이를 역설적으로 표현했다는 생각이 내내 머릿속을 떠나지 않았다. 어쩌면 세상에서 가벼운 사람은 피렐라가 아닌 군중이었으며, 그들이 진짜 변덕과 가벼움을 모두 가진 이들이 아니었을까. 연기처럼 가벼우면서도 쉽게 섞여 사라지는 연기와 같은 군중들 속에서 그저 피렐라는 희생양이 아니었을까. 그들이 연기 인간인 것처럼 보였다.

결론적으로 읽고 나니 인간의 악함을 정면으로 본 듯한 느낌을 받았다. 물론, 성선설보다는 성악설을 믿는 편이기에 이미 알고 있었던 사실이지만 그와 동시에 인간이어서 군중의 심리가 한편으로는 공감이 되기도 했었다. 묘하게 찝찝하면서도 답답한 느낌을 주었던 작품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