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종이로 만든 마을 - 에밀리 디킨슨이 사는 비밀의 집
도미니크 포르티에 지음, 임명주 옮김 / 비채 / 2023년 4월
평점 :

책은 사물에 대해 말한다. / p.71
가상과 현실을 가리지 않고 한 사람의 삶을 바라본다는 것은 참 여러 가지 생각을 하게 만든다. 마치 그 사람의 인생에 관찰자의 입장에서 보는 느낌이 들고, 당사자가 된 느낌도 든다. 일정한 사건과 시기를 다룬 이야기들도 좋지만 탄생과 죽음까지 모든 시대의 이야기들을 더욱 선호한다.
이 책은 에밀리 디킨슨의 이야기가 담긴 책이다. 사실 처음에 큰 착각을 하고 읽게 되었는데 소설인 줄 알았다. 에밀리 디킨슨이라는 주인공의 이야기를 다룬 가상 이야기라는 착각. 제목부터가 뭔가 호기심을 주었고, 주인공이 사는 비밀의 집이라는 내용일 것이라는 예상을 하고 읽었다.
에밀리 디킨슨은 미국의 시인으로 개인주의자로서 삶을 살았다고 한다. 또한, 겉으로 보면 바다의 잔잔한 물결과 같은 삶을, 하지만 내면적으로는 거친 파도와 같은 삶을 살았는데 책에서는 에밀리 디킨슨의 생애를 관찰자의 시점으로 일대기를 말한다.
약간 부끄러운 이야기이지만 에밀리 디킨슨이 시인이라는 사실을 읽으면서 처음 알았다. 시라는 장르 자체가 워낙에 장벽이 높은 탓에 상상력이 부족한 편인 나는 그렇게 즐겨서 보는 편이 아니다. 조금씩 읽고 있기는 해도 다른 장르에 비하면 미미한 수준이다.
읽는 내내 에밀리 디킨슨이 말하는 시와 살고 있는 고향에 대한 표현이 마치 미술 작품을 보는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시인이었기 때문에 에세이나 소설보다는 긴 호흡의 시를 읽는 듯한 느낌도 들었다. 물론, 에밀리 디킨슨이 직접 적은 자서전이 아닌 관찰자의 다른 대상의 입을 빌린 이야기이기는 하지만 문장 하나하나가 참 예쁘다는 생각이 들었다.
또한, 외부에서 보는 잔잔한 물결과 내면에서의 거친 파도가 너무나 잘 느껴졌다. 내용만 본다면 그렇게 특별한 이벤트는 없었다. 심지어 에밀리 디킨슨은 알려진 것과 같이 결혼을 하지 않았으며, 사람들과의 소통이 많지 않았기에 더욱 인생에 크게 떠올릴만한 사건들이 없었다. 기억에 남는다면 여자 학교를 다녔다는 것과 유일하게 만난 남자가 있었다는 것 정도일 것이다. 그게 또 특별한 일이라고 하기에는 조금 부족한 면이 없지 않아 있다.
반대로 내면의 거친 파도는 너무 인상 깊었다. 주님의 구원을 받고 싶은 사람 손을 들라는 학교 교장 선생님의 질문에 반기를 들고, 시에 대한 열망, 그리고 삶에 대한 고뇌 등 뭔가 문장으로 표현할 수 없는, 그런 강렬한 느낌을 받았다. 고립을 택하면서도 외롭지 않은, 오히려 평온하게 보이는 삶처럼 보이기도 했다.
세상으로부터 자신을 고립시키고 시에 몰입하는 에밀리 디킨슨의 모습들이 참 많은 생각을 들게 했다. 또한, 자신만의 린든을 만들고자 했던 내용도 기억에 선명하게 남았다. 제목에 등장하는 종이로 만든 마을과 에밀리 디킨슨이 사는 비밀의 집이 있었기에 거친 파도와 세상 안에서 평온하게 살지 않았을까. 그게 원동력처럼 느껴졌다.
많은 것을 표현하고 싶지만 그게 마음처럼 되지 않는다. 에밀리 디킨슨이라는 인물에 대한 지식이 조금 더 해박했더라면 책을 읽으면서 오는 감동의 파도가 더 크지 않았을까. 문장들이 마음에 와닿았지만 독자로서의 능력이 그만큼 따라주지 못해 개인적인 아쉬움이 들었던 작품이다.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