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종소리 ㅣ 수확자 시리즈 3
닐 셔스터먼 지음, 이수현 옮김 / 열린책들 / 2023년 2월
평점 :

모든 책임은 제게 있습니다. / p.11
유토피아를 꿈꾸기는 하지만 다른 사람들에 비해 그에 대한 환상이 더욱 강한 편이라는 생각이 든다. 인간의 영생과 평화를, 또는 모든 것이 완벽한 세계를 말이다. 아무래도 현실은 너무 냉혹하고 차갑다. 사람들 역시도 나의 뜻대로 움직이는 것이 아닌 각자의 개성과 생각을 가진 독자적인 존재이기에 마음처럼 좋은 관계만 유지가 되는 것도 아니다.
그런 의미에서 보면 유토피아가 현실이 아니기에 꿈으로만 남는 미지의 세계가 아닌가 싶기도 하다. 마치 손에 쥘 수 없는 신기루처럼 말이다. 소설에 자주 등장하는 소재라는 점에서 작가가 세운 유토피아에서 그나마 대리만족을 느끼기로 한다.
이 책은 닐 셔스터먼의 시리즈 마지막 편이다. 첫 편이었던 수확자와 두 번째 편이었던 선더헤드를 너무 인상 깊게 읽었다. 그동안 시리즈 소설에 큰 흥미를 못 느끼고 살았는데 그 편견을 확 깼던 작품이기에 마지막 편까지 무조건 읽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시트라와 로언의 수확자 일대기와 선더헤드의 이야기를 지나 종소리에 이르러 고더드는 고위 수확자가 되었다. 전편에서 드러난 것처럼 고더드는 초기 수확자의 패러데이, 퀴리와 조금 다른 인물이었다. 그저 수확을 하나의 게임처럼 느끼며, 잔인하고 극악무도한 인물이었다. 그가 최고의 자리에 오르자 그야말로 독재의 상태가 되었다. 자신의 이야기에 반기를 든 수확자에게 응징을 한다거나 다른 수확자에게 잘못을 뒤집어 쓰게 만들기도 한다. 이에 선더헤드는 참지 못하고 모든 사람들과의 소통을 끊는다. 결국 불미자 상태를 선언한 것이다. 물론, 그레이슨 단 한 사람은 예외였다.
인간의 영생과 유토피아, 권력이 쥐어주는 극악무도함 등 다양한 생각을 들게 했던 시리즈의 마지막은 더욱 큰 물음을 주었다. 다른 시리즈로 충분히 느낄 수 있는 문제이기도 했지만 말이다. 과연 유토피아는 존재하는 것인가, 그리고 인간의 영생은 실현 가능한 것인가 등의 물음이 다시 머릿속을 헤집었다.
또한, 고더드의 행동을 보면서 탐욕과 권력의 상관관계를 다시 생각하기도 했었다. 다른 수확자들의 모습을 통해 더욱 비교가 되는 부분이었으며, 양심이라는 것이 없을 수 있는지에 대한 생각도 들었다. 여러모로 무거움을 느꼈던 작품이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