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질문은 조금만 - 자부심과 번민의 언어로 쓰인 11인의 이야기
이충걸 지음 / 한겨레출판 / 2023년 2월
평점 :

시는 유통기한이 없다. / p.268
예전의 나라면 유명인들의 이야기에 전혀 관심이 없었을 것이다. 어차피 그들은 특별하기 때문에 읽는다고 해도 크게 와닿거나 공감할 내용이 없겠다는 어리석음을 달렸던 사람이었기 때문이다. 어떻게 보면 흔한 분위기의 가정에서 자란 사람과 부잣집이나 가정 환경이 유복했던 그들과는 거리가 있을 것이라는 착각이었을지도 모르겠다. 비슷한 맥락으로 자기계발서를 별로 선호하지 않았던 이유이기도 하다.
지금의 나는 조금씩 관심을 가지려고 노력한다. 성장과정은 다를 수밖에 없으니 공감할 수는 없겠지만 어른이 되어서 보니 비슷한 생각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인지하게 되면서부터이다. 어차피 그들 역시도 사람이기 때문에 나와 같은 사회인으로서의, 어른으로서의, 어느 한 울타리의 구성원으로서의 고민과 걱정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 그런 지점이 나름 살아가면서 큰 도움이 되었다.
이 책은 이충걸 작가님의 인터뷰집이다. 야구를 좋아하는 사람으로서 강백호 선수의 인터뷰를 그저 스포츠 뉴스의 기사나 수훈 선수 인터뷰로 짧게 보았는데 활자로 보여지는 선수의 또 다른 면이 기대가 되었다. 박정자 님, 진태옥 님 등 처음 뵙는 분들의 성함이 있었지만 강백호 선수와 차준환 선수, 강유미 님, 강경화 님의 인터뷰가 기대가 되어서 고르게 된 책이다. 자신의 분야에서 성공한 이름을 가지고 계신 분들의 이야기를 통해 스스로를 자극하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하루의 결과가 어떻게 되었든 일희일비하지 않지만 더 나은 타격을 위해 관찰하고 노력한다는 강백호 선수, 내적으로 가난한 이십 대보다 지금이 훨씬 좋은 삶을 살고 있다고 말하는 강유미 님 등 많은 인터뷰이의 이야기 하나하나가 마음에 와닿았다. 그 중에서도 법륜 스님과 장석주 시인의 인터뷰가 가장 인상적이었다. 법륜 스님께서는 즉문즉설이라는 프로그램을 진행하신 분으로 알고 있었는데 인터뷰 내용을 하나하나 읽다 보니 가지고 있던 생각이 깨지는 듯한 느낌이 들었다. 스님께서는 약자에 대한 차별과 사회가 나아가는 방향 등 어떻게 보면 우리가 흔히 말하는 속세에 큰 관심을 가지고 계셨다. 개인적인 시각으로는 종교인이 속세에 관심을 두는 것 자체가 부정적으로 보였는데 세상에서 일어나는 불합리함에 눈을 감고 종교적인 일만 하라는 건 어떻게 보면 모순이었다는 생각이 들었다. 누구보다 종교인이기 이전에 지구를 살아가는 한 사람으로서 애정과 관심이 보였던 인터뷰였다.
장석주 시인님의 인터뷰는 기존의 연을 깨트리면서 시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볼 수 있었다. 아무래도 사람이 모이는 곳에는 권력이라는 게 자연스럽게 있기 마련인데 장석주 시인님께서는 주류와 다른 부류에 속하신 듯하다. 인터뷰를 읽으면서도 나름의 굳건함과 쓰는 직업에 대한 애정이 느껴져서 대단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또한, 유독 인터뷰에서 시간이라는 단어가 많이 등장하는데 그 중에서도 시의 지식이 찰나의 지식이라고 표현하는 내용은 꽤 심오하면서도 인상적이었다.
어떻게 보면 특정 분야에서 이름을 남긴 분들의 이야기이지만 더불어 평범한 한 명의 대한민국 국민으로서의 이야기로도 느껴졌다. 그들도 스스로 가진 위치에서 더 나은 방향으로 나아가기 위해 많은 고민을 가지고 있었고, 이를 헤쳐나가고자 성실하게 자신을 다독이거나 채찍질을 하면서 나아갔다. 그런 부분에서 많은 공감이 되었다. 또 한 명의 어른이자 국민으로서 내 자리를 생각할 수 있는 기회가 되기도 했다.
인터뷰집이라는 문구를 처음 보았을 때 흔히 알고 있는 어떻게 보면 일정한 형식을 갖춘 글이라고 생각했다. 그래서 인터뷰이들의 다양한 이야기를 들을 수 있을 것이라는 생각과 함께 쉽게 이해가 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를 가졌으나 인터뷰어의 성찰 에세이 정도로 느껴졌다. 아무래도 사유가 담긴 책이어서 그런지 조금은 어렵게 느껴졌던 것도 사실이다. 그런 지점에서 읽는 내내 단어나 내용 자체를 하나하나 꼭꼭 씹어 음미할 수 있었고, 깊게 생각할 수 있었다. 열한 명이 가진 개개인의 역사를 통해 스스로를 돌아볼 수 있는 시간이 되어서 좋았다.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