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힘을 낼 수 없는데 힘을 내라니 - 잘 살려고 애쓸수록 우울해지는 세상에서 사는 법
고태희 지음 / 현대지성 / 2022년 11월
평점 :

나는 상담사 앞에서 울고 또 울었다. / p.95
주변 사람들에게는 터놓지 못한 이야기 중 하나가 나의 감정과 기분이다. 아무래도 개인적인 영역이기에 섣불기 희노애락을 말하기 조금 껄끄럽다는 생각이 든다. 거기에 나의 경우를 돌이켜 보았을 때 상대방이 우울하거나 슬프다고 했을 때에 어떻게 반응을 해 주어야 할지 난감하기에 섣불리 말할 수 없게 된다. 그래서 주변 사람들에게 생각보다 감정 표현을 하지 않는다는 말을 자주 듣는 편이기도 하다.
이 책은 고태희 작가님의 에세이이다. 힘들 때마다 힘을 내라는 말 자체를 이해하지 못하는 사람이기에 제목부터가 공감이었다. 요즈음 들어서 하게 되는 생각들 중 하나가 더 잘하고 싶어서 노력할수록 우울의 늪으로 빠진다거나 자책을 많이 하게 되는 일이었다. 감정의 폭이 그렇게 넓거나 깊은 편이 아닌데 이런저런 어수선한 생각으로 가라앉을 때가 많다 보니 도움이 될 수 있을 것 같아 읽게 되었다.
총 다섯 편의 큰 주제로 이루어져 있는데 어떠한 사건으로부터 시작된다. 이를 계기로 우울증이 찾아온 이야기, 병원에 찾아간 일, 우울의 원인, 우을증과 마주하게 된 것, 우울의 세계에서 스스로를 달래는 방법이라고 읽혀 졌는데 저자는 스타트업 회사를 다니던 중 회사 직원의 언행으로 마음의 병을 얻어 퇴사했다고 한다. 정신과에서 2형 양극성 정동 장애 판정을 받게 되었는데 과거 어렸을 때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저자의 이야기와 우울을 비롯한 관련 증상에 대해 적은 글이다. 저자가 걸어온 길, 그리고 그동안 받았던 부정적인 감정과 행동까지도 오롯이 와닿아서 읽는 내내 한편으로는 마음이 아팠으며, 다른 한편으로는 나 역시도 겪었던 감정이기에 어렴풋이 공감할 수 있었다.
읽으면서 두 가지 내용이 인상 깊었으며, 한 가지의 생각이 들었다. 인상 깊었던 점 첫 번째는 초등학교 시절 선생님으로부터 받았던 트라우마 에피소드이다. 초등학교 6학년 때 친구들의 추천으로 반장 선거에 나갔지만 낙선이 되었다. 바로 이어진 부반장 선거에도 추천을 받았으나 거절했는데 이후부터 선생님께서 저자를 미워하기 시작했다는 내용이다. 친구들이 가장 꺼려하는 자리에 저자를 앉히거나 체벌을 할 때에도 원인 제공자를 저자에게 돌려 친구들로부터 멀어지게 만들었다고 하는데 이러한 점이 어린 저자에게는 큰 상처이자 트라우마가 되었을 것이다. 교육자로서의 행동 자체도 마음에 들지 않았는데 이유를 보고 나니 더욱 답답한 느낌이었다. 어릴 때 상처는 평생을 안고 간다고 하는데 이 책을 본 선생님들이 계시다면 조금은 깊게 생각해 주셨으면 하는 생각이 들었다.
두 번째 인상적인 점은 블리스에 관한 내용이었다. 저자는 고등학교 때 아버지와의 갈등을 피하기 위해 외할머니 댁에서 등하교를 했다고 한다. 외할머니 댁에서 맡을 수 있는 향이 큰 안정을 주었다는 내용인데 회복 탄력성과 함께 블리스라는 단어가 등장한다. 책에서는 정여울 작가님의 말을 인용했는데 읽으면서 나의 블리스는 무엇일지에 대해 깊게 생각해 보았다. 사실 나의 마음을 다스리거나 불안을 경감시켜 줄 공간이 없었던 것 같다. 블리스를 만드는 것도 필요할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한 가지의 생각은 깊은 공감이었다. 저자의 가정 환경과 똑같지는 않겠지만 나름 비슷하게 지내왔던 것 같다고 느껴졌다. 가족의 첫째로서 부담감이나 책임감을 가지고 있었던 부분이나 어린 나이에 어른스럽게 행동해야 되는 부분이 그랬다. 또한, 아버지와의 불화 이야기가 자주 등장하는데 나 역시도 청소년기를 넘어서부터 아버지와 종종 트러블이 있었다. 아버지와의 거리를 멀리하고자 고군분투했었던, 그로부터 상처를 받았던 저자의 이야기가 너무 크게 와닿았다. 성인이 된 지금은 아버지와 서로 이해하려고 노력하기도 하고, 현재 따로 나와 살고 있기에 크게 부딪힐 일이 없지만 말이다.
우울증에 대해 다룬 책이지만 전문적인 지식보다는 우울증이라는 병을 앓고 있는 사람이 살아가는 이야기를 다루었다는 측면에서 책 자체가 크게 어렵지 않았다. 적나라한 기록이기 때문에 조금 답답함을 느낄 수 있겠지만 어떤 면에서 보면 현대 사람들이라면 피부로 와닿을 법한 내용이기도 했다. 아무래도 요즈음 시대에서 우울증은 감기처럼 흔한 질병일 테니까 말이다.
기껏 이 책 한 권으로 저자의 인생을 보았지만, 온전히 저자를 이해할 수는 없겠지만 그럼에도 우울증이라는 긴 터널을 보내고 있는 저자에게 응원을 보낸다. 또한, 한편으로 저자의 적나라한 고군분투기가 큰 도움이 되었다. 그것 또한 큰 용기일 테니 감사하다는 말도 함께 전하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용기를 내어 이렇게 날것의 이야기를 들려준 덕분에 우울증을 이해할 수 있는 기회였으며, 뜻깊은 독서 시간이 되었다.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