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세계 철학 필독서 50 - 플라톤부터 마이클 샌델까지 2500년 철학 명저 50권을 한 권에 ㅣ 필독서 시리즈 2
톰 버틀러 보던 지음, 이시은 옮김 / 센시오 / 2022년 11월
평점 :

철학이란 그리스어로 사랑과 지혜가 합쳐진 말이다. / p.10
철학은 늘 어렵다. 뭔가 깊이 이해하고 싶어도 지식과 내면이 그만큼 닿지 못하다 보니 머리로만 인식하고 넘어갈 때가 많다. 친해지고 싶지만 다가가기 힘든 친구와 같은 존재라고 표현한다면 그게 가장 정확할 듯하다. 어렸을 때부터 철학과 사회학, 심리학 도서는 늘 읽고 다녔기에 적어도 이십 년 이상은 읽었다고 자부할 텐데 그만큼 깊이보다는 넓이만 더욱 커진 느낌이 든다.
이 책은 톰 버틀러 보던의 철학 도서이다. 요즈음 읽는 철학 장르의 책은 예전과 많이 다르다. 내용만 좋으면 다 읽었던 과거의 습관이었다면 지금은 가치관과 비슷한 철학자를 찾는 느낌으로 책을 고르게 되는 것 같다. 그렇게 철학 도서를 고르던 중 많은 도움이 되겠다는 생각이 들어 고르게 된 책이다.
공자와 아리스토 텔레스 등 이름을 익숙히 알고 있는 고전 철학자부터 비교적 최근에 알게 된 마이크 센델, 아직은 어렵게 느껴지는 시몬 드 보부아르 등 오십 명의 철학 이야기가 흥미로웠다. 특히, 깊이 사유할 수 있는 철학자를 찾아가는 과정이기 때문에 무엇보다 더욱 반갑게 느껴졌다.
개인적으로 한나 아렌트와 에피쿠로스, 프랭크퍼트의 철학이 인상 깊었다. 한나 아렌트는 전에 읽었던 평전으로 알게 된 철학자인데 그때도 철학 자체가 기억에 남았다. 이 책에서는 '인간의 조건'에 대한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인간의 활동을 노동, 작업, 행위로 구분한다. 또한, 용서를 높은 차원으로 인식해 인간이 가진 창조적 행위로 해석했다는 내용과 사랑을 통해 공적 영역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내용은 새로우면서도 마음에 남았다.
에피쿠로스는 이 책을 통해 처음 접했던 철학자이다. '서간집'이라는 책으로 설명이 되는데 철학 자체가 참 마음에 들었다. 에피쿠로스는 간소하고 이성적으로 사는 것, 우정과 자연을 즐기면서 최소한의 수요가 충족된다면 이에 만족하는 것을 추구했다. 또한, 사유의 쾌락을 더 높이 평가했었는데 현재의 삶을 만족하고 행복을 얻는다는 점이 어떻게 보면 불안을 가지고 사는 현대인들에게 필요한 자세라는 생각이 들었다.
프랭크퍼트는 비교적 최근의 철학자인 듯하다. 개소리가 주제여서 가장 재미있었던 내용이었다. 거짓말과 개소리는 다르다고 정의한다. 개소리는 의도적으로 오해를 사게 만들지만 대놓고 속이지는 않는다는 점에서 허풍과 비슷하다는 게 조금은 인상적이었다. 사실 개소리와 거짓말의 차이점을 크게 생각할 일이 없었는데 전자의 경우에는 자신을 조금이나마 포장하는 의도로 한다는 점에서 이해할 수 있었다.
그밖에도 다양한 철학들에 대한 기초 지식을 얻는다는 측면에서 만족스러웠지만 가장 좋았던 책 구성은 각 철학자의 이야기 밑에 추천 도서와 더 알아 보기가 실린 점이었다. 아무래도 개괄적인 내용을 담고 있다 보니 매력적인 철학자의 내용의 경우에는 조금 더 알고 싶은 마음이 들 수 있다. 그러나 검색이나 정보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방향성을 제시해 주었다는 게 매력적이었다.
리뷰를 위해 처음부터 끝까지 쭉 읽게 되었지만 기회가 된다면 가치관에 맞는 철학자만 뽑아서 재독을 하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이 책으로 오십 명의 철학자들을 만날 수 있어서 좋았다. 철학과 가까이 하고 싶지만 조금은 멀게 느껴지는, 철학을 세우고 싶은 독자들에게 추천하고 싶다.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