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 인종, 계급 Philos Feminism 2
앤절라 Y. 데이비스 지음, 황성원 옮김, 정희진 해제 / arte(아르테) / 2022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성별만으로 작동하는 문제는 단언컨대, 없다. / p.15

여성학 관련 서적을 읽으면서 시각을 넓히고 있는 중이다. 대한민국에 살고 있는 여성이기 때문에 항상 살고 있는 곳에서의 차별적인 시선을 생각했는데 알고 있는 것보다 훨씬 넓다. 특히, 아프리카계 여성과 미국 사회의 차별에 대해 많이 보고 이해하게 되면서 배우는 게 너무 많다. 스스로 우물 안 개구리의 삶을 살고 있다는 반성을 하게 된다.

이 책은 앤절라 Y. 데이비스의 페미니즘 도서이다. 사실 그동안 페미니즘 도서를 많이 읽지 않다가 올해 들어서 조금씩 읽고 있다. 페미니즘을 주제로 두 권의 책이 전부 미국 사회의 아프리카계 여성이 집필한 논픽션 책이었다. 태어난 환경이 다르기에 온전히 그들을 이해할 수는 없었지만 분명히 느끼는 바가 많았다. 그래서 관련 도서를 찾다가 만난 책이다. 특히, 여성학자이신 정희진 님의 글이 실렸다고 해서 더욱 관심을 가지고 읽게 되었다.

지금까지 읽었던 도서들은 전부 미국 사회 내에서 벌어지는 차별 그 이상의 문화들을 다루었다. 백인 위주의 사회에서 아프리카계 사람들에 대한 프레임을 씌워 하나의 차별 사회를 만들었다는 내용들이다. 하층 계급에는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이 있으며, 백인 여성들이 원하는 페미니즘과 조금씩 다르다는 것. 예상했던 것처럼 이 책 역시도 아프리카계 여성들이 느끼고 경험했던 일들을 다루고 있다. 그러나 결은 다르다고 느껴졌다.

첫 번째는 미국의 역사에 대한 부분이다. 아프리카 사람들을 미국 땅으로 데리고 왔던 노예 제도부터 여성 참정권, 현대에 이르기까지 역사를 다루기는 했지만 범위가 달랐다. 조금 더 거시적이면서 정책적인 면으로 미국 사회의 페미니즘을 기술하고 있다. 보통 지금까지 읽었던 책들은 일상에서 현재 아프리카계 여성으로서 느꼈던 인종 갈등의 내용을 다루고 있다면 이 책은 과거 유색 인종으로서 노동의 권리나 공산주의, 여성의 참정권에 대한 투쟁의 내용을 담는다는 점이다. 아무래도 역사에 대한 이해도가 낮기 때문에 초반에는 이를 이해하는 게 조금 버겁기도 했다.

두 번째는 백인 여성과 남성에 대한 부분이다. 아프리카계 여성들이 원하는 페미니즘과 백인 여성의 페미니즘은 다르다고 이야기한다. 뿐만 아니라 개인마다 추구하는 페미니즘이 다르다. 처한 환경이 있기에 다를 수밖에 없다. 책을 읽으면서 놀랐던 점은 아프리카계 여성들의 권리를 위해 노력한 백인 여성들과 남성들의 이야기도 다루었다는 것이다. 연대해야 아프리카계 여성의 인권도 올라갈 수 있다는 내용을 가지고 있는 것은 똑같았지만 백인 여성과 흑인 여성의 자매애와 주류에 속한 사람들이 그들을 위해 함께 투쟁한 이야기도 기술이 되어 있었다. 또한 같은 아프리카계 여성이지만 서로에게 등을 돌린 두 사람의 이야기는 뭔가 묘한 감정을 들게 했다.

큰 범위에서 미국의 페미니즘 역사와 이야기를 다루고 있기에 와닿지 않는 점도 있었다. 그러다 후반부에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을 향한 강간 신화나 열등한 존재로 인식하는 내용들이 인상 깊었다. 아무래도 많이 보았던 부분이어서 이해가 되는 부분이었을지도 모르겠다. 유색 인종은 열등한 유전자를 가지고 있기에 백인 여성들의 출산을 장려하거나 반대로 유색 인종 여성들을 억지로 불임 수술을 진행하는 점과 성적인 제어 능력이 부족해 백인 여성을 강간하는 존재로 아프리카계 남성들을 억울하게 처형했고 백인 남성들은 이러한 신화로 강간 범죄의 처벌로부터 벗어나는 점이 참 답답하다고 느껴졌다. 

개인적으로 단번에 읽는 것보다 하나하나 공부한다는 생각으로 재독의 필요성을 느낀 책이었다. 페미니즘에 관심이 있는 사람들이라면 만족감을 가질 수 있는 서적이라는 생각이 든다. 조금 더 지식을 쌓으면서 이후에 다시 읽어야겠다. 그동안 무지했던 페미니즘에 대해 배울 수 있는 시간과 기회가 되었다.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