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가를 위한 세계관 구축법 : 구동 편 - 종족, 계급, 전투 작가를 위한 세계관 구축법
티머시 힉슨 지음, 방진이 옮김 / 다른 / 2022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이 독자가 함께 참여할 수 있는 토론의 장처럼 느껴지길 바란다. / p.7

얼마 전에 생성 편을 읽으면서 판타지에 큰 고정관념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새삼스럽게 느꼈다. 그 생각이 곧 판타지와 거리를 두게 된 결정적인 이유였는데 판타지 소설을 읽고 싶다는 생각이 들어 올해 안에 한두 권 정도는 도전하고 싶은 계획을 세우게 되었다. 아직 무슨 책을 읽을지 즐거운 상상이기는 하지만 시작은 반이라고 했으니 조금 더 독서 취향을 넓혀가고 싶다.

이 책은 티머시 힉슨의 작가들을 위한 도서이다. 불과 얼마 전에 '작가를 위한 세계관 구축법 : 생성 편'을 읽고 이어서 구동 편을 읽었다. 생성 편이 새로운 내용 투성이여서 흥미로웠다. 판타지의 세계와 호기심을 주었는데 이제 생성 편에 등장한 영화나 소설의 기본적인 줄거리를 미리 인터넷으로 읽은 상황이었기에 이해가 잘 될 것이라는 기대를 가지게 되었다.

기대처럼 생각보다 수월했다. 생성 편에 등장하는 판타지 영화의 경우에는 오히려 반갑다고 느낄 정도로 익숙했다. 해리 포터와 반지의 제왕은 여전히 보지 못했지만 전에 터득했던 요약 읽은 후 본 내용 읽기로 더욱 수월하게 읽을 수 있었고, 그 부분은 여전히 큰 도움을 받았다. 새로 등장한 소설과 영화들도 머릿속에 이야기가 그려질 정도로 장족의 발전을 느끼면서 하나하나 읽어 내려갔다.

개인적으로 처음에 수월하게 읽혔던 이유가 서두에 적었던 것처럼 적응의 효과도 있겠지만 전편보다 개인적이면서도 미시적인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도 한몫을 하고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물론, 후반부터는 전편과 똑같이 거시적인 세계관에 대한 내용을 다루고 있기는 하지만 중반까지는 캐릭터의 서사에 집중한 내용이었다. 예를 들면 주인공의 위기와 성장, 주인공에게 변화를 만들 수 있는 스승, 주인공의 과거와 현재에 대한 이야기를 말이다.

예시로 등장하는 소설들도 스콧 피츠제럴드의 위대한 개츠비와 최근에 읽었던 레인보 로웰의 엘레노어&파크(한국어로 나온 책의 이름은 '아무것도 끝나지 않았어') 등 익숙한 내용의 소설이어서 조금 더 현실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부분들이 있었다. 마법에 집중했던 전편과 달리 주인공 자체에 집중했기에 꼭 판타지와 SF 소설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소설들에도 응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확실히 더 큰 도움이 되었다.

플래시백에서 사용에 유의해야 하는 서술어나 인물과 독자 간의 거리감을 줄 수 있는 필터 단어 사용에 관한 부분은 흥미로웠다. 읽으면서 크게 느끼지 못했던 부분을 저자가 구체적인 소설의 예를 들어 비교해 주니 확실히 차이점이 느껴지기도 했다. 그 외에도 전편에 등장했던 소프트 마법 체계를 활용한 미야자키 하야오 감독의 작품을 예시로 들어 독자들에게 상상력을 자극할 수 있는 부분을 만들어 주었다는 부분도 재미있게 읽었다.

3 부를 넘어가면서부터는 내용이 조금 깊게 들어갔다. 오히려 중반 이후부터는 생성 편보다는 더욱 무겁다고 느껴졌는데 종교나 서양의 역사가 등장해 역사 서적을 읽고 있다는 착각까지 들었다. 사실 그렇게 서양사에 큰 관심을 두고 있지 않아서 조금 어려운 부분도 있었다. 특히, 계급에 따라 장소의 이름이 정해진다는 게 나름 흥미로웠다. 예를 들면, @체스터도 라틴어에서 유래가 되었다는 사실을 말이다. 박지성 선수의 영향으로 맨체스터라는 지명이 익숙한 편인데 그에 대한 유래도 커다란 맥락에서는 이해할 수 있었다.

생성 편을 끝내면서 "독자를 위한 세계관 이해법"이라는 이름을 지어 주고 싶다는 이야기로 마무리를 했었다. 이어서 읽은 구동 편은 그야말로 이름 그대로 '작가를 위한 세계관 구축법'에 가깝다. 이해를 하고 구동편을 읽는다면 무엇보다 촘촘하고도 섬세한 소설 세계를 구축할 수 있을 것이라는 자신감이 들었다. 아직까지는 큰 용기가 나지는 않지만 언젠가는 이 책의 도움을 받아 해리 포터의 세계 못지 않는 나의 세계를 만들고 싶다.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