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프로필 사회 - 진정성에서 프로필성으로
한스 게오르크 묄러.폴 J. 담브로시오 지음, 김한슬기 옮김 / 생각이음 / 2022년 6월
평점 :

현대사회를 살아가는 인간의 경험에서 떼려야 뗄 수 없는 측면이 된 것이다. / p.76
요즈음은 SNS 하나 정도는 필수인 세상인 듯하다. 휴대 전화에 무지한 부모님께서도 페이스북이나 카카오스토리 등을 통해 최신 소식을 보신다고 한다. 가끔은 그렇게 새로운 세상 소식을 듣기도 한다. 독서 리뷰를 시작하기 전까지만 해도 SNS를 하지 않았는데 책 리뷰를 올리는 인스타그램을 시작하면서부터 이렇게 세상의 문물을 또 하나 받아들이게 되었다.
이 책은 한스 게오르크 묄러와 폴 J 담브로시오의 사회학 도서이다. 아무래도 많은 사람들에게 자신을 알리는 세상이다 보니 프로필이라는 게 필수불가결하게 되었다. 예전 문자나 전화였다면 굳이 사진을 올릴 일도 없었을 텐데 카카오톡을 시작하면서부터 프로필 사진과 음악까지 오랜 시간을 소요하는 모습을 보면서 뭔가 모를 감정이 들었다. 프로필 사회에 대한 이야기를 듣고 싶어서 읽게 되었다.
단순하게 프로필과 개인에 대한 내용일 것이라는 예상과 달리 사회적 문제를 다룬 책이었다. 거시적인 시각에서 이렇게 프로필에 대한 역사와 프로필성을 가진 개인이 사회와 시대에 미치는 영향과 이렇게 도래하게 된 페이스북의 창시자 마크 저커버그의 일화 등으로 프로필에 대한 폭넓은 이야기들을 보면서 깊이 생각할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
이 책에서는 프로필성, 성실성, 진정성이라는 단어가 등장한다. 여기에서 프로필성은 공개적으로 자기 자신을 설명해 정체성을 형성하는 것을 말한다. 진정성은 자신의 진짜 모습을, 성실성은 규범을 수용하고 역할에 부여된 가치를 내면화해 자신의 역할에 대한 정체성이다. 이는 등장할 뿐만 아니라 주제 전체를 관통할 정도로 중요한 단어들이기도 하다.
프로필 사회가 되면서 모순 지점이 발생한다. 시위대에서 찍힌 하나의 사진이 비판과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자신의 꾸미는 일상을 SNS에 게시하는데 오랜 시간이 걸리는 등 진정성과 프로필성에는 괴리감이 생기고, 가면으로서 자신을 드러내는 일이 많아진다. 개인적으로 SNS를 하지 않았던 이유 중 하나도 나의 진정한 모습을 보이는 것에 대한 두려움이 있었으며, 거짓으로 꾸미기는 싫었기 때문이었다. 초반을 읽으면서 이런 생각을 많이 하게 되었다.
그러나 이 책의 저자들은 그것 또한 하나의 정체성이라고 말한다. 이것은 개인뿐만 아니라 사회에서 새롭게 나타나는 것이며, 하나의 현상이라는 점이다. 어차피 완벽한 진정성은 불가능하다. 오히려 이런 부분이 자신의 발목을 잡기도 한다. 그렇기에 이를 그대로 인정하는 자세도 필요하다는 사실을 보고 나니 조금 스스로를 내려놓을 수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개인적으로 질서 관찰에 대한 내용이 참 인상적이었다. 1차 질서 관찰은 직접 스스로가 상호관계 소통을 한다거나 직접 보는 것을 말한다면 2차 질서 관찰은 휴대 전화나 책 등 다른 것을 통해서 보는 것을 말한다고 느껴졌다. 그런 의미에서 보았을 때 SNS는 작성자가 올린 피드나 글을 본다는 점에서 2차 질서 관찰인데 사람들은 인위적으로 연출해 다른 사람들에게 자신을 보인다는 내용이다.
사실 SNS에 크게 관심이 없어서 깊이 생각한 적이 없고, 나 역시도 남에게 보이는 모습에 크게 연연하지 않는다고 생각했으나, 이 책을 보면서 생각을 달리 보게 되었다. 책 리뷰나 인스타그램을 통해 나의 정체성이나 모습들을 보인다는 측면에서 책에서 말하는 것처럼 나 자신을 큐레이팅하고 있었던 것이다.
프로필 사회에 대한 이야기들을 사회, 역사, 심리, 철학 등 다양한 측면으로 풀어주어서 재미있게 읽을 수 있었다. 너무 전문적인 이야기가 펼쳐질 때에는 내 부족한 지식로 이해하기 힘든 부분도 있었으나, 지금까지 생각했던 성실성과 진정성을 프로필성과 함께 묶어서 나눈 이야기들이 전체적으로 흥미로웠다. 자신을 만들어가는 것뿐만 아니라 누군가에게 자신을 보여야 살 수 있는 시대에서 필요한 프로필성과 진정성, 성실성에 대해 깊이 고찰할 수 있는 시간이었다.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