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페라의 유령
가스통 르루 지음, 이원복 옮김 / (주)태일소담출판사 / 2022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상이 오페라의 유령에 관한 실화이다. / p.530

뮤지컬과 연극을 본 적이 손에 꼽힌다. 아무래도 수도권과 거리가 먼 지역에 거주하다 보니 문화생활이 기회가 제한적이다. 어렸을 때부터 그렇게 관심이 없는 분야이기 때문에 더욱 거리를 두게 되었다. 나에게는 첫 연극이 고등학교 수능 끝난 이후였고, 뮤지컬도 대학교 때 처음 보았던 것으로 기억한다.

이 책은 유명한 뮤지컬의 원작 소설이다. 이름만 들은 정도일 뿐 내용은 전혀 모르고 있었다. 원래 드라마나 영화의 원작 소설을 찾아 보는 편이었기 때문에 이 책도 궁금했다. 어떤 내용이기에 뮤지컬로 큰 성공을 거두었는지 호기심과 관심이 들었다. 소설로 감동을 느끼고 싶다는 생각에 읽게 되었다.

한 오페라 극장에서 유령이 나타난다는 소문으로부터 이야기가 시작된다. 소문 이후로 극장의 직원이 죽기도 하고, 신임 오페라 감독들로부터 편지가 날라오기도 한다. 5번 박스석을 비우고, 매달 일정한 금액을 내라고 하며, 심지어 직원 인사에 관여도 한다. 신임 오페라 감독들은 이를 무시했다. 그러자 오페라의 유령이 무대를 지배하거나 사건을 만들어 극장을 공포로 몰아넣는다.

또 다른 주인공인 크리스틴과 샤니 자작이 있다. 크리스틴은 주연 배우의 건강상의 문제로 대타를 서면서 사람들에게 눈에 띈다. 샤니 자작인 라울 역시도 크리스틴을 보고 사랑에 빠진다. 공연 이후 크리스틴을 몰래 쫓아가게 되는데 거기에서 알 수 없는 남자의 소리와 크리스틴의 대화를 듣는다. 라울은 대화를 듣고 오해할 뿐만 아니라 질투라는 감정에 휩싸여서 크리스틴에게 더욱 집착한다. 크리스틴은 마음이 있기는 하나, 그럴 수 없다고 거절한다.

처음 접한 뮤지컬 명작은 추리 소설 같기도, 공포 소설 같기도, 로맨스 소설 같기도 한 어느 중간의 애매한 느낌을 주었다. 오페라의 유령의 정체를 추측하면서 읽었지만 어느 순간부터 분위기가 전환되어 스릴러와 공포를 느꼈다. 그러면서 크리스틴과 라울의 관계는 애틋한 사랑 이야기처럼 보였다. 그야말로 이렇게 다양한 장르가 펼쳐지는 소설이라는 점에서 재미있으면서도 꽤 매력적으로 느껴졌다.

배경적 지식이 없는 상황에서 서양 소설 특유의 헷갈리는 인물 이름들 때문에 걱정을 많이 했었다. 그래도 지금까지 읽어온 소설들에 비해서는 주요 인물들이 단순한 편이어서 크게 헷갈리지 않아서 좋았다. 그런 부분에서 소설의 상황과 내용에 온전히 몰입해서 읽을 수 있었다.

읽으면서 머리로는 오페라의 유령의 정체를, 감정선은 크리스틴과 라울의 이야기에 더 몰입이 되었다. 뻔뻔하게 돈을 요구하고, 인사권에 관여하고, 비싼 자리를 비우라고 하고, 무대를 지배하는 등 말도 안 되는 행동을 저지르는 일들이 개인적으로는 조금 이해가 되지 않았다. 그렇다고 오페라의 유령이 극장을 관리하는 고위직도 아니지 않은가. 능력이 있으니 마음대로 극장을 휘두르겠다는 것 자체가 나의 생각과 결이 다르다고 느꼈다.

반면, 크리스틴과 라울의 애절한 사랑 이야기는 로맨스 소설을 좋아하는 입장으로서 내 취향에 너무 맞는 내용이었다. 물론, 라울의 말도 안 되는 집착과 크리스틴의 우유부단함은 그렇게 마음에 들지 않았지만 말이다. 크리스틴이 얼마나 매력적인 사람이었기에 라울부터 오페라의 유령까지 남자들의 마음을 훔칠 수 있었을까. 매력에 대해 상상하면서 읽었다.

후반부에 들어서면서부터 오페라의 유령에 대한 동정과 연민이 들었다. 오페라의 유령은 능력을 가지고 있지만 어렸을 때부터 외모적인 문제로 사람들에게 버림을 받았다. 사랑을 갈구하는 인물로 자신의 능력을 이용해 크리스틴의 마음을 얻고자 했던 것이다. 오페라의 유령에게 내재된 결핍이었다는 점에서 더욱 안타깝게 느껴기도 했다.

아무래도 뮤지컬로 유명한 작품이기에 읽는 내내 뮤지컬의 무대라는 생각으로 읽었다. 장면을 상상할 때도 배우가 연기를 하는 느낌으로 말이다. 마치 내가 뮤지컬을 보고 있는 듯한 느낌도 들었다. 개인적으로는 극장에서의 두 감독이 이야기 나누는 내용들은 마치 콩트처럼 느껴졌다. 한 줄기의 유머였다.

이 소설을 뮤지컬이나 연극으로 본다면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상상의 한계로 놓친 부분들, 원작을 토대로 해석되는 이야기들을 시각으로 다시 느끼고 싶다. 아마 글로서 느끼는 감정보다 더욱 배가 되어 나에게 돌아오지 않을까. 소설을 읽었으니 뮤지컬과 다른 부분을 비교하는 재미도 놓칠 수 없을 듯하다.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