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남한산성
김훈 지음 / 학고재 / 2007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김훈선생님의 소설은
"칼의 노래"를 통해서 처음으로 접했었다.
첫사랑이
"오빠가 이순신장군 노래를 부르니까. 샀어."라며 건내주었던 책.
그 당시 KBS에"불멸"에 푹 빠져있던 나는 정작 소설을 읽어볼려는 생각조차 못하고 있었는데, 그 아이의 배려를 통해서 조금이나마 눈을 뜨게 된 거였다. 고맙다.
솔직히 "칼의 노래"에서는 큰 감명을 받지 못했다. 오히려 "이순신과 임진왜란"이라는 논문형식의 책에서 가슴을 관통하는 듯한 전율을 느꼈던 것이다.
이사를 하고나서 책정리를 하면서, 내가 생각보다 소설과 시를 가지고 있지 않다는 사실에 놀라, 무작정 책을 고르다가 베스트셀러라고하기에 선뜻 집어든 책이 바로, "남한산성"이다.
처음부분을 읽어가면서 도대체 이 책이 어디가 좋다고 베스트셀러가 되었는지 알 수가 없었다. 약간 지루한 느낌마저 있고, 큰 긴장감을 주는 전개도 찾아보기 힘들고, 문장이 수려한 것 같지도 않고...
그러다가, 점점 책 속으로 빠져들게 되었다.
병자호란이라는 다소 생소한 난리에 대한 적나라한 묘사,
소설 전반을 뒤덮고 있는 답답함, 속상함, 화남....
읽어가면서 시대의 흐름을 가늠하지 못하고, 이 난리가 '임진왜란'전인지 후인지조차 알지 못하고 자료를 뒤적이는 나를 발견하고는 부끄러웠다.
'이렇게 역사적 사실에 대한 이해가 부족해서야...'
임진왜란보다 뒤에 일어난 난리통.
이런 치욕을 한 나라가 멸망 직적까지 떨어진
'임진왜란'이라는 경험을 통해서도 전혀 나아지지 않았다는 사실은
울분마저 느끼게 하기에 충분했다.
자주, 조선왕조가 500년이나 지속된 것은
전세계 역사이래 유래가 없는 일이며, 이는 조선시대가 훌륭한 시스템을 갖추고 있었다는 반증이라고 하는 이야기를 접하기도 하지만, 이 소설을 통해서 과연? 이라는 의문을 갖게 되었다.
내가 보기에는 이 소설의 묘사가 역사적 사실에 기인하면서 상상력을 가미한 것으로 그 치욕스러움이 이처럼 처절하지는 않았다손 치더라도, 이미 조선왕조는 '임진왜란'을 끝으로 끝나버린게 아닌가 하는 느낌마저 들었다.
성웅께서 계셨기에 겨우 나라의 목숨은 건졌지만, 이미 치유가 불가능할 정도로 깊은 상처를 입었고, 이런 불쌍한 짐승같은 조선은 변방에 있다는 이유만으로 거대 짐승 중국이 그저 적당히 봐주고 있었다고 보는 것이 옳은 게 아닐까 하는 생각.
남한산성을 뒤덮고 있는 기운은 어둡고, 우울하고, 답답하고, 침울하고, 욕되다. 표지의 화려한 핑크색과는 완전히 딴판이다. 왜 표지는 핑크색일까?
유일하게 속시원한 등장인물.
서날쇠.
무지몽매한 대장장이인데, 조선왕조의 기라성같은 권력자들이 무기력하고도 답답한 모습만을 보여줄 때, 유일하게 속시원하고도 완벽한 판단과 행동을 보여주는 이가 바로 서날쇠이다.
임금이 청나라 왕에게 무릎을 꿇고 궁으로 돌아간 뒤에.
서날쇠만이 봄맞이 농사준비에 바쁘고, 후일 자식들 혼래시킬 것을 생각하며 흐뭇하게 미소지으면서 소설은 끝이난다.
김훈선생님은 무엇을 말하고 싶었던 것일까?
변방의 조그마한 나라 조선. 그 조선이 중국에 굽실거렸고, 이제는 미국에 굽실거리고 있다. 그것도 절반으로 토막이 나서 말이다. 그 조그마한 나라에서 권력의 중심과는 너무나 거리가 먼 대장장이 같은 나.
서민에 불과할 뿐이며, 민초에 지나지 않는다.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
서날쇠처럼. 현명하게 내 자리를 지키면서, 무지몽매하고 이기적인 권력자들에게 당하지 않고 당당하게 살아남아 후일을 떠올리며 웃음 지을 수 있는 사람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