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끌지 말고 따르게 하라 - 새로운 리더십을 위한 지혜의 심리학
김경일 지음 / 진성북스 / 2015년 7월
평점 :
세상에 리더십에 대한 책들은 정말 많다.
나의 경우도 조직을 이끄는 역할을 맡게 되면서 이러한 리더십 서적들을 많이 접하게 되었다.
책을 접하면 접할수록 드는 생각은 세상에는 너무나 많은 리더십이 있고, 더불어
책에서 이야기하고 있는 것처럼 쉽게 리더십을 만들기가 너무 어렵다는 사실이었다.
이 책은 인지 심리학을 기반으로 쓰여진 리더십 책인데, 사실 처음
이 책을 접하면서 든 생각은
“이제 리더십을 위해 심리학까지 공부해야 하는 건가?” 라는 회의감과 “과연 기존 리더십에 대한 차이는 있는 걸까?”라는 걱정이었다.
인지 심리학은 간단히 말하면 “인간의 생각을 연구 하는 학문”이라고 한다.
더 풀어서 설명하자면 인간의 사고가 어떤 과정을 거쳐 언제 어떻게 작동하는지에 대해 연구하는 학문으로 결국 이렇게
인간 심리에 대해 심도 깊게 파고들기 때문에 리더십 개발에 꼭 필요한 핵심기초 과목이라고 저자는 말한다.
저자는 회사에서 맞부딪칠 수 있는 여러 가지 상황들에 대해 이러한 인지 심리학의 사례를 들어가며 보다 나은 해결책이나
리더십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이러한 인지심리학을 바탕으로 한 리더십 중 인상 깊었던 부분이 인간의 동기에 대한 부분이었는데 전제는 인간은
크게 2가지 동기를 통해 움직인다는 내용이었다.
첫째는 좋은 것을 얻기 위한 긍정적인 “접근 동기” 이고 둘째는 반대로 싫은 것을 피하기 위한 부정적인 “회피 동기”라고 한다.
즉, 일반적이고 범용적인 당근제시를 통해 사람들을 이끌 경우 이러한
동기가 맞지 않아 실패하는 경우가 있는데 사람이 필요로 하는 동기를 제공함으로써 사람이 자발적으로 일을 할 수 있게 하라는 것이다.
더 나아가 저자는 단기간에 어떤 일을 해야 할 경우는 싫어하는 것을 피하기 위한 회피동기가 적합하고 장기적인
목표와 동기 부여를 위해서는 좋아하는 것을 얻기 위한 “접근동기”가
어울린다고 말한다.
나의 과거를 돌이켜보면 이 책에서 말하고 있는 것처럼 싫은 것을 피하려는 동기를 가진 팀원들에게도 장기적인 목표와
좋아하는 것을 얻기 위한 “접근 동기”만을 제공한 적이 있어서
큰 효과를 보지 못했었는데 이제야 그 이유를 깨닫게 된 것 같아 나도 모르게 감탄사를 내뱉어 버리고 말았다.
그 밖에도 이 책에서는 직원의 마음을 읽는 방법, 조직의 심리를 읽는
방법 창의적 조직을 위한 방법, 지혜로운 의사결정을 위한 방법 공감과 소통을 위한 방법, 마지막으로 CEO가 빠지기 쉬운 심리의 함정까지 다양한 주제에 맞춘
인지 심리학적 방법론을 제시해주고 있어 자신이 필요한 주제에 맞춰 책을 읽어보는 것도 많은 도움이 될 것 같다.
지금까지 리더십에 목매달아 왔지만 일을 하기 위해서는 사람이 필요하고, 사람이
일을 하게 하기 위해서는 “마음”을 두드려야 한다는 기본적인
사실을 잊고 있었다는 사실을 이 책을 통해 깨닫게 되었다.
사람의 마음을 연구하는 인지 심리학을 기반으로 한 이 책을 통해 지금까지 만나보지 못한 새로운 리더십을 만나보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