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프라임타임 - 당신의 두뇌 에너지가 가장 충만한 시간
베레나 슈타이너 지음, 김시형 옮김 / 위즈덤하우스 / 2009년 11월
평점 :
절판
"프라임 타임"
낯설고도 어렵게만 느껴지는 이 단어가 뜻하는 것은 무엇일까?
단어의 뜻이 궁금하기도 하고 쉴틈없이 바쁘기만 한 이유를 밝혀준다는 책표지에 이끌려 책을 읽기 시작했다.
사실 책을 읽으며 놀랐던 부분은
이른바 우리가 지금까지 꿈꿔왔던 "아침형 인간"의 진리가 깨어지는 내용때문이었다.
얼마전 "아침형 인간"이라는 책이 나오며 빠른 아침을 시작하는 생활패턴에 대한 찬양이 이루어지곤 했었다.
사실 나도 이 책을 읽고 "아침형 인간"이 되기 위해 무단히 노력도 했었지만
어찌된일인지 생각처럼 쉽게 되지가 않아 나도 모르게 포기하게 된 경험이 있다.
이 책에서는 이러한 "아침형 인간"은 자신의 체질이 아침에 맞춰진 사람들에게만 적용되는 진리이며
그 밖에도 저녁형, 올빼미형등 자신에게 맞는 라이프 사이클이 존재하며
이러한 라이프 사이클을 바꾸는 것은 무의미 하며 오히려 자신에게 맞는 라이프 사이클에 맞춰
최상의 결과를 이끌어낼 수 있는 방법을 찾아내야 한다는것이 이 책의 주된 내용이다.
책에 나와 있는데로 나도 나의 라이프 스타일을 통해 테스트를 해봤는데
나도 마침 올빼미형에 속한다는 결과가 나와 왜 내가 아침혐인간이 될 수 없었었나 라는 부분에 대해 공감할 수 있었다.
책 제목에도 나와 있는 "프라임 타임"은 자신의 능력을 최대한 발휘할수 있는 시간대로
일종의 바이오 리듬과도 같은 개념이다.
사람은 하루에도 2번의 "프라임 타임"을 경험하게 되는 데
이에 맞추어 처리해야 할 중요한 일들을 배치한다거나 사소한 일들은 다른 시간대에 배치함으로서
보다 능률적이고 효과적인 업무와 능력을 발휘시킬 수 있다는 사실이다.
또한 이러한 사이클을 망가트리는 요소들을 자제하고 피할것을 당부하는 내용들도 있는데
그중 하나가 바로 "커피를 마시는 타임"에 대한 내용이었다.
나는 지금까지 별다른 생각 없이 일상중에 커피를 마시곤 했는데
커피는 일종의 각성제로 "프라임 타임"을 강제시키는 요소로 작용하기 때문에 "프라임 타임"에는 보다 긍정적인 요소로 작용할 수 있지만
다른 시간에는 자신의 리듬을 망가트리는 요소로 작용한다고 한다.
사실 바쁜 일상과 자신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돌아가는 업무환경 속에서
이러한 프라임 타임을 지키기 위한 노력이 어렵다는 사실은 공감한다.
하지만 내 스스로도 하루에도 에너지가 충만한 시간을 경험하며 이를 잘 활용할 수 있도록 관리가 이루어진다면
보다 효과적이고 능률적인 업무처리가 가능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매일 정신없이 바쁘게만 보내고 있는 나의 일상을 보다 효과적으로 보낼 수 있는 방법에 대해 고민해왔었는데
이 책은 이런 나에게 하나의 방법을 알려준 책이었다.
나도 이 책을 통해 지금부터 나만의 "프라임 타임"과 시간관리를 만들어 내 지금 보다 더 윤택하고 여유있는 삶을 살아가보려고 한다.
바쁘지만 효율은 오르지 않는 고민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이라면 이 책을 꼭 한번 접해보기를 바란다.
분명 당신에게 시간관리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열게 해줄 거라 장담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