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분석으로 발견한 상위 5% 리더의 습관
고시카와 신지 지음, 김정환 옮김 / 밀리언서재 / 2022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회사 입사 이래로 지금까지 가장 많이 들었던 단어를 얘기해 보라고 한다면 아마도 '리더십'일 것이다. 회사에서 그만큼 자주 언급한다는 얘기는 가장 중요하다는 의미이다.

조직의 크고 작음을 떠나서 다수의 사람들이 같이 일하기 위해서는 이들을 관리하고 통솔할 사람들이 필요하며 우리는 통상적으로 이들을 '리더'라고 부른다.

지난 2년간 코로나 팬데믹, MZ 세대의 등장으로 사회뿐만 아니라 기업에도 많은 변화의 바람이 불었다. 이는 리더에게도 동일하게 해당하는 사항이다.



코로나 팬데믹과 MZ 세대의 등장으로 인해 가장 크게 달라진 것은 바로 커뮤니케이션 방법이라 할 수 있겠다.

많은 기업들이 재택근무를 하게 됨에 따라 예전에는 미팅으로 진행했던 대부분의 일들을 언택트에 기반한 화상 회의로 진행하게 되었다. 거기다가 자기 할 말을 과감 없이 하는 MZ 세대들의 입사하게 되면서 예전과는 변화된 커뮤니케이션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리더로서 가장 기본적인 덕목을 얘기하자면 당연히 구성원들과의 관계를 잘 만드는 일일 것이다. 이 관계는 신뢰를 바탕으로 해야 하며 이러한 신뢰를 쌓기 위해서 필요한 것이 바로 커뮤니케이션이다.



많은 사람들이 리더는 당연히 구성원보다 역량이 뛰어난 사람이 될 거라는 생각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이 책에서는 리더 그것도 상위 5퍼센트의 리더는 팀원보다 뛰어나지 않다는 얘기를 하고 있다.

"상위 5퍼센트 리더는 자신의 업무 수행 능력을 높이려고 하지 않는다. 그보다는 팀 전체를 잘 운영해서 팀원들의 능력을 높이는 것이 자신의 책무라고 생각한다"

구성원들은 각자의 맡은 바 업무에서 지식을 쌓고 업무 처리 능력을 높이는 데 힘써야 하고 리더는 구성원들의 약점을 보완하고 능력을 끌어올릴 수 있도록 힘을 쏟아야 한다.

앞에서 얘기한 커뮤니케이션 능력과 연계하여 리더나 구성원이나 모두 각자 나름의 강점과 약점이 있다는 전제하에 서로의 역할을 분담하고 절차탁마하여 같은 목표를 향할 수 있도록 셋업하고 같이 발맞춰 나아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리더의 역량이지 의무이다.


리더의 성과를 '운'으로 폄훼하는 경우가 종종 있음을 회사 생활을 하다 보면 경험하게 된다.

물론 소위 말하는 '라인'이나 '운발'을 통해서 인정받고 승진을 하는 경우도 없다고 할 순 없지만 대부분의 리더들은 그들의 노력으로 성과를 창출하고 이를 '운'으로 표현하는 겸손함을 지녔다.

"지속적으로 특출한 성과를 내면서 회사 안팎에서 높은 평가를 받고 있는 상위 5퍼센트 리더 중에는 자만에 빠져 교만하게 행동하는 사람들도 있지만, 대부분은 주위 사람들이 생각하는 것만큼 자신의 실력이 뛰어나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인터뷰 중에도 '운이 좋았다', '환경 덕을 봤다' 같은 긍정적인 말이 일반 리더보다 압도적으로 많이 나왔다. 특히 '좋은 사람들의 도움을 많이 받았다'라는 발언은 일반 리더의 7.7배, 상위 5퍼센트 사원의 1.8배나 많았다."

기회는 가만히 있는 사람에게 하늘에서 뚝 떨어지는 것이 아니라 노력하는 사람에게 주어지는 것이다. 기회는-많은 사람들이 그것을 운이라고 부르기도 하지만-그것을 잡기 위해서 행동하고 노력하고 자기 발전에 힘을 쓰는 사람에게 그 모습을 드러내는 것이 세상의 이치다.

그리고 이런 기회는 사람과의 관계에서 오는 경우가 많다. '독불장군'은 없다. 자신을 열어 사람들과 강한 관계를 형성하고 배운다는 자세로 겸손함을 유지할 때 유대감이 늘어나는 것이고 이것이 곧 기회로 주어지는 것이다.

회사에서 조직 생활에서 성과를 내고 그것을 드러내는 것은 참으로 쉽지 않은 일이다. 이를 위한 가장 쉬운 방법 중의 하나가 바로 자신이 '리더'라고 생각하고 일을 해 보는 것이다. 이런 관점에서 리더의 특성은 무엇이고 어떤 습관을 가지고 있는지 알아보는 일은 의미 있는 일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