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을 지켜낸 어머니 - 이순신을 성웅으로 키운 초계 변씨의 삼천지교 윤동한의 역사경영에세이 3
윤동한 지음 / 가디언 / 2022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나라 역사를 보면 나라의 위기 때마다 구국의 영웅이 등장한다. 수많은 영웅들이 있지만 우리에게 가장 잘 알려지고 유명한 장수는 이순신 장군일 것이다.

하지만 이상하리만치 이렇게 훌륭한 인물을 키워낸 어머니의 존재는 우리에게 알려져 있지 않다. 조선의 시대적 분위기가 전반적으로 그러했다면 모르겠지만 신사임당, 허난설헌처럼 우리가 쉽게 접했던 어머니들도 있기 때문이다.

이순신 장군의 어머니는 바로 초계 변씨이다.

이름은 전하지 않고 성만 전하여 진다는 게 안타까울 뿐이다.

과연 그녀는 어떤 교육을 통해 이순신 장군을 구국의 영웅으로 키울 수 있었을까?


맹모삼천지교(孟母三遷之敎)

맹자의 어머니가 자식의 교육을 위하여 세 번이나 거처를 옮겼다는 고사 성어로 교육은 주위 환경이 중요하다는 것과 함께 자식을 향한 어머니의 지극한 사랑의 뜻을 내포하고 있기도 하다.

공교롭게도 이순신 장군도 거처를 여러 번 옮기게 된다.

출생은 서울 건천동에서 하였으나 시부와 남편이 벼슬에서 멀어지면서 가세가 기울고 청소년기에 가솔 전체를 이끌고 아산으로 이사를 옮겼고 문과 집안이었지만 과감하게 이순신 장군을 무과로 전향하며 치밀하게 장래를 준비한 것으로 보인다.

어머니의 교육과 보살핌 속에서 결국 무과 급제를 이루게 된다. 이후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아들을 정신적으로 후원하기 위해 아산에서 여수로 이사한 후 지극정성으로 기도하며 아들을 뒷바라지하게 된다.


이후 이순신 장군이 임진왜란에서 큰 공을 세웠으나 모함을 받아 파직당하고 감옥에 갇혔을 때 장군의 어머니는 83세의 병든 몸을 이끌고 아들을 만나기 위해 배를 타고 상경하다가 안타깝게도 목숨을 잃고 만다.

"여러 자식 가운데서도 변씨와 순신의 관계는 특히 돈독했는데, 이순신이 어머니 변씨를 하늘이라고 부를 정도였다. <<난중일기>>에 기록된 약 650일 중 이런저런 부연 설명까지 합하면 어머니를 사모하며 편지와 일기를 쓴 것이 110일 넘을 정도다."


"아침을 먹은 후 어머니께 하직을 고하니 "가서 나라의 치욕을 크게 씻으라"라고 두세 번 타이르시며 조금도 이별하는 것을 탄식하지는 않으셨다. (1594년 1월 12일 일기)"

요즘처럼 거의 모든 것들이 데이터와 정보로 기록되는 시대가 아닌 수 백 년 전 거의 남아 있지 않는 사료로 봤음에도 이순신 장군의 자식에 대한 사랑이 얼마나 컸으며 교육을 위해 얼마나 희생을 했는지 절절히 느낄 수가 있었다. 역시 영웅은 영웅을 낳는 법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