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신세계 메타버스를 선점하라 - 앞으로 인류가 살아갈 가상 세계를 위한 새로운 경제 패러다임
자오궈둥.이환환.쉬위엔중 지음, 정주은 옮김, 김정이 감수 / 미디어숲 / 2022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컴퓨터의 발명 이후로 많은 부분이 디지털화되었지만 인간 생활 전반적인 부분에 걸쳐 디지털화 되어가는 세상은 '메타버스'가 거의 최초의 개념이 아닌가 생각한다.

예전에 개봉했던 '매트릭스', '레디 플레이어 원' 등의 영화에서 인간의 삶은 실존, 가상 현실의 경계가 거의 허물어지고 구분하기 어려운 환경에서 인류가 생존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미래의 모습이 디스토피아이든 아니면 유토피아이든 이 새롭고 거대한 패러다임 전환 속에서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할까?



메타버스는 ‘초월’이라는 의미의 ‘메타’, 그리고 세계라는 의미의 ‘유니버스’가 합쳐진 말인데, 1992년에 첫 출간된 닐 스티븐슨의 소설 『스노 크래시』에서 처음 등장했다. 여러 해석이 존재하지만 가장 대표적인 설명은 다음과 같다.

메타버스는 현실 세계에 평행하면서도 독립적인 가상 세계로, 현실 세계를 투영한 온라인 가상 세계이자 점점 진실해지는 디지털 가상 세계다.”

코로나 팬데믹으로 인해 촉발된 언택트 문화는 메타버스로의 전환을 더욱 가속화하고 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작년 한해 주식시장에서는 사업에 '메타버스'만 들어가면 묻지마 상승을 하는 등 많은 메타버스 종목들이 각광을 받았었는데 이제 시작이라는 생각이 든다.

메타버스는 우리 생활 어디까지 그 영향력을 끼칠 수 있을까?


메타버스를 이해하기 가장 손쉬운 방법은 바로 게임이다.

아직까지 이상적인 메타버스 상태에 완벽하게 도달한 게임은 없지만, 게임을 통해 메타버스를 이해하는 데 부족함은 없다.

현실에서 할 수 없는 일을 게임이라는 가상 공간, 가상 현실에서 할 수 있게끔 해 주기 때문이다.

메타버스 게임과 관련된 가치 사슬의 영역은 크게 7개 영역으로 나누어져 있다.

기반 시설, 인간-기계 인터페이스, 탈 중앙화, 공간 컴퓨팅, 창작자 경제, 발견, 경험이 바로 그것이다.

각각의 항목을 살펴보면 단지 게임에만 국한되는 것이라 아니라 산업 전반의 인프라와 관련이 있음을 쉽게 유추할 수 있다. 이는 메타버스의 생태계가 인간의 삶 전반에 걸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디지털 시장에서 시장과 계획의 공조는 보이는 손과 보이지 않는 손을 하나로 합친 것이다. 계획의 수단과 시장의 수단을 이상적으로 통합해 서로 영향을 미치고, 발전을 촉진하면서도 제약을 걸게 된다. 계획과 시장은 더 이상 전통 경제학에서 말하는 상호 대립적인 수단이 아니며 계획이 과학적일수록 시장 간섭도 효과적이라는 특징을 보여 준다. 디지털 시장에서는 보이지 않는 손과 보이는 손이 서로를 맞잡아 삼라만상을 포괄하는 ‘부처님 손바닥’이 되는 것이다. 이는 디지털 경제의 핵심 역량으로, 경제 구도 최적화와 구조조정을 추진하는 수단이 된다."

메타버스 생태계는 최근에 각광받고 있는 또 다른 영역인 블록체인과 결합되어 있다. 가상 현실의 개념상 자신의 신분(ID)을 정확히 증명하고 복제가 불가능한 시스템을 만들어야 하기 때문이다. 암호 화폐, 탈 중앙화 금융, NFT 등과 같은 생태계를 메타버스는 그 상위에서 모두 품을 수가 있게 된다.

아직까지 메타버스가 그릴 세상이 어떤 모습일지 상상하기는 쉽지 않다. 하지만 메타버스가 가까운 미래의 우리 삶에 지대한 영향을 끼치리란 것은 자명해 보인다. 남들보다 한발 앞서 패러다임 전환을 이루어낼 수 있다면 경제적인 가치뿐만 아니라 삶의 가치 상승도 이루어낼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