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생 4막, 은퇴란 없다
윤병철 지음 / 가디언 / 2021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의학의 발달과 섭식의 향상으로 100세 시대, 120세 시대를 얘기하는 요즘이다.

예전에는 환갑이 동네잔치였지만 요즘 60대는 장년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그만큼 삶이, 인생이 길어졌다.

우리가 젊을 때 열심히 살아가는 이유도 어찌 보면 노후를 좀 더 풍요롭고 여유롭게 살기 위함일 것인데, 이를 위해서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할까? 이러한 고민은 빠를수록 좋을 것이다.


책의 제목이 얘기하고 있는 인생 4막은

나이로 얘기하자면 스스로 거동이 어려운 81세부터 인생 끝까지의 삶을 의미한다.

출생부터 30세까지의 인생 1막은 세상에 태어나서 가정, 학교, 사회 교육을 통해 기본기를 배우고 재능을 발견하여 사회에 진출하기 위해 준비하는 기간이고, 31세부터 60세까지의 인생 2막은 사회에 진출하여 경제활동에 전념하는 기간, 61세부터 80세까지의 인생 3막은 퇴직 이후 생업에 계속 종사하거나 자력의 삶이 가능한 기간을 말한다.

어떤 기간이 중요하지 않겠냐마는 인생 4막은 경제적이나 신체적으로 외부의 도움이 필요한 시기라 특히나 준비가 필요한 시기라 할 수 있겠다.

경제적 활동 가능 기간인 인생 2막을 어떻게 보내느냐에 따라 인생 3막, 4막은 개개인별로 삶의 수준이 천양지차로 벌어질 수 있다. 이는 경제적인 부분에만 국한된 것은 아니다.

"빛나는 삶이란 우리가 소유한 재산이나 지위에 있는 것이 아니라 내가 이 세상에서 유일하며 별처럼 빛나는 존재임을 자각하는 것이다. 우리에게 재산과 지위는 필요한 것이지 목적이 될 수는 없다. 소중한 우리가 이 땅에서 주인으로서 삶을 살아가야 한다"


사람은 저마다의 최소 하나씩의 장기(잘하는 것, 잠재력)를 가지고 태어난다곤 한다.

하지만 모든 사람이 그 잠재력의 꽃을 피우지는 못한다.

여러 가지 이유가 있을 수 있겠지만 크게 두 가지의 이유가 있다고 생각한다.

첫 번째는 자신의 잠재력이 정확히 무엇인지 모르는 것이고, 두 번째는 자신의 잠재력을 키울 준비와 노력을 하지 않기 때문이다.

잠재력을 찾고 키우기 위해 가정은 사회는 교육의 기회를 부여하지만 대부분이 좋은 학교 진학을 위해 학력을 키우는 것에 집중하다 보니 여기서 그 기회를 포착하기는 쉽지 않다. 게다가 성인이 되고부터는 경제적 활동에 치중해야 하다 보니 교육과 훈련에 매진하기는 불가능에 가깝다.

그래서 나는 현시점에서 가장 현실적인 방법이 바로 '독서'라고 생각한다.

지금 이 글을 쓰고 있는 이유도 더 나은 독서, 삶이 변화되는 독서를 하기 위함인데 그것도 결코 쉽지 않음을 매번 느낀다. 그만큼 변화된 삶이라는 것은 웬만한 노력 가지고는 힘든 법임을 절감한다.

"스스로 질문해 보자. 나의 경쟁력은 무엇인가? 인생이 4막이나 될 만큼 길어진 이 시대에 나는 무슨 경쟁력으로 살아갈 것인가를 고민하고 준비해야 한다. 마치 100리 길을 가는 사람과 1,000리 길을 가는 사람의 준비물이 달라야 하는 것과 같다. 이것들을 깨달을 때 우리 각자는 빛나는 삶을 만들어갈 수 있다"


인생의 목적이 무엇이냐고 물어본다면 지금 당장 무엇이라고 대답할지 주저하게 된다.

적지 않은 세월의 인생을 살아왔지만 인생의 목적이 무엇인지 큰 고민 없이 그저 바로 앞에 보이는 길로만 떠밀리듯 흘러왔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인생의 목표가 무엇인지 물어본다면 바로 대답할 수 있다. 바로 '행복하게 사는 것'이다.

행복의 정의는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행복을 목표로 했지만 행복을 위해 살아왔느냐고 물어본다면 '아니오'라고 대답할 수밖에 없다.

지난 날을 돌이켜 보면 가슴이 뛰고 행복감이 가득했던 날이 그렇게 많지 않았던 것 같다. 아마 대부분의 사람들이 동일하겠지만 현재의 삶을 지탱하기 위해서 가기 싫은 길을 가야했었고, 하기 싫은 선택을 했었다.

지금 당장 가슴이 뛰는 일을 선택해라고 한다면 그것도 쉽지 않다. 왜냐하면 이제는 혼자 살아가는 삶이 아니기 때문이다. 의무와 책임감과 그리고 행복감 사이의 절묘한 접점을 찾아야 할 시점이 아닌가 생각한다.

"나를 그렇게 열심히 살게 하고 쉼 없이 달리게 했던 에너지가 무엇이었지 생각해 보면, 어떤 경우에도 행복하고 싶은 마음이 내 인생의 첫 번째 에너지였음을 확인하게 된다. 만약 어떤 순간도 행복을 추구하는 마음이 없다면 나는 결코 열정적인 삶을 살아갈 수 없을 것 같다. 나를 행복하게 했던 것들은 나이에 따라, 환경에 따라, 내 마음에 따라 달라졌지만 늘 그것이 나의 첫 번째 에너지임을 고백하게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