벤저민 그레이엄의 투자강의 - 가치투자 아버지의 미공개 글모음
벤저민 그레이엄. 자넷 로위 지음, 박진곤 옮김 / 국일증권경제연구소 / 2009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벤저민 그레이엄의 투자 강의>> 4주 독파 챌린지 중 드디어 마지막 장이다.

이번 내용은 5부 상품 비축계획과 벤저민 그레이엄과의 인터뷰 내용을 다루고 있다.

◆ 1부: 비즈니스와 금융 윤리

- 과연 미국 기업은 청산가치보다도 못한 것일까?

- 자본주의의 윤리

◆ 2부: 주식과 주식시장

- 새로운 투기 현상에 대한 우려

- 증시의 경고: 전방 위험!

- 가치의 부활

- 주식의 미래

◆ 3부: 직업적 투자의 문제

- 과학적 증권분석의 길

- 주식매매에 영향을 주는 요소에 대해

◆ 4부: 투자전략

- 증권분석의 문제점

◆ 5부: 상품 비축계획

- 국제 상품 비축 통화를 위한 제안

- 다중 상품 비축 계획의 개요

◆ 6부: 벤저민 그레이엄과의 인터뷰

- 가치 투자의 아버지, 벤저민 그레이엄

- 저평가 주식을 찾아내는 가장 간단한 방법

- 그레이엄과 보낸 한 시간

4주 독파 챌린지를 시작하면서 한 권의 책을 읽는데 한 달이라는 시간은 참으로 차고도 넘치는 시간이지 않을까 생각했었지만 시간은 여지없이 빠르게 흘러감을 다시 한번 느끼게 되었다. 이 책이 한 달이라는 시간 동안 잡고 있어도 지루하지 않다는 얘기도 되고 한 달이라는 시간을 들여 이해해야만 하는 어려운 책이라는 의미도 되겠다.

개인적으로 6부의 두 번째 장인 '저평가 주식을 찾아내는 가장 간단한 방법' 이 부분이 이 책의 대미를 장식하는 핵심적인 내용을 다루고 있지 않나 생각한다. 이 책이 주식투자를 위한 기술적인 방법을 제시하는 책은 아니지만 어쨌든 이 책을 손에 든 사람은 주식 투자를 잘 하기 위한 목적일 것이고, 이는 결국 오를 수 있는 종목을 어떻게 하면 찾을 수 있나 하는 대답을 책에서 얻고 싶어 할 것이다.

그럼 누구나 궁금해할 가치 투자의 관점에서 저평가된 주식을 찾는 벤저민 그레이엄의 기준은 무엇인지 알아보자.

<저평가 주식 찾기 공식>

- PER 7 이하인 종목 (가변적임. 100을 채권 수익률의 2배로 나눈 값)

ex) 채권 수익률이 7%라고 가정할 때 100/(7x2) = 7.14...

- 회사의 순자산이 총자산 비율의 50% 이상인 종목

<목표 수익률>

- 50%

<보유 기간>

- 2~3년

- 목표 수익률을 달성하지 못하더라도 가격에 상관없이 매도

<분산 투자 기준>

- 전체적으로 하락장이어서 많은 종목의 주가가 낮은 PER을 유지하는 경우 투자자본의 75%까지 주식에 투자

- 전체적으로 과열장이어서 저평가 종목을 찾기 어려울 때는 투자자본의 25%까지만 주식에 투자. 나머지는 미국 국채에 투자

공식 중에서 PER은 채권 수익률에 따라 가변적이다. 2020년 미국의 S&P 500 기준으로 채권 수익률이 7.4% 이니 벤저민 당시와 대동소이하다. 그래서 PER 7은 여전히 유효한 기준이 될 수 있겠다.

회사의 순자산은 주주 자본이라고 책에서 표현을 하기도 하던데 자산에서 부채를 뺀 말 그대로 회사의 순수한 자산을 의미한다. 부채가 적고 자본이 많은, 즉 안전마진이 확보된 회사의 기준을 최소 50%라고 본 것이다.

목표 수익률 50%는 어떤 면에서 낮다고 볼 수도 있겠다. 특히 많은 개미 투자자들의 부에 대한 욕심은 50% 수익률에 결코 만족하기 어렵다. 하지만 현존하는 최고의 투자자로 추앙받는 워런 버핏도 투자 수익률은 연평균 20여%에 불과하다. 배당과 복리의 마법을 통해 수 십 년의 세월이 지나면서 그만큼의 부를 축적한 것이다. 간혹 종목 선정의 운이 좋아 2~3배 되는 수익을 거두게 되면 50%라는 수익이 낮게 보일 테지만 제로 금리에 가까운 초저금리의 시대에서 50%는 참으로 놀랄만한 수익이 아닐 수가 없다. 욕심이 과하면 탈이 나는 법이다.

보유 기간 관점에서는 제자인 워런 버핏과는 행보를 달리했던 것 같다. 워런 버핏은 영원히 보유하지 않을 종목은 단 한순간도 보유하지 말라고 얘기했듯이 장기 투자를 얘기했는데 벤저민은 중기 투자 관점의 원칙을 얘기하고 있다. 2~3년이 지나도 주가가 상승하지 못하는 종목은 철저히 소외되어 있는 종목일 수 있으므로 기회비용의 관점에서 손절매를 얘기한 것이 아닌가 생각한다.

분산 투자는 모두들 머리로는 해야 한다고 생각하지만 막상 지키기는 어려운 원칙이 아닐까 싶다. 개미 투자자들의 작은 자본으로 수익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가지고 있는 자본을 모두 주식에 투입하고 싶어 하는 게 인지상정이 아닐까 한다. 하지만 주가의 흐름은 그 누구도 예측할 수 없으므로, 항상 미래의 리스크를 대비하여 헤지를 해야만 한다. 현금 비중을 최소 25% 이상 가져가는 것도 한 가지 방법이 될 수 있겠고, 벤저민처럼 주식과 채권의 투자 비중을 조절하는 것도 한 방법일 것이다.

3,300선 가까이까지 거침없이 달렸던 코스피 지수가 이틀간 조정을 받았다. 더 높은 도약을 위한 잠시간의 숨 고르기인지 더 깊은 하락을 예고하는 신호탄인지는 그 누구도 알 수 없다. 10여 년간의 주식 투자 경험을 통해 주식 투자의 단맛과 쓴맛을 모두 본 입장에서 투자 원칙을 세우는 것과 리스크를 사전에 대비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 것임을 거듭 느끼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4주 동안 접했던 벤저민 그레이엄의 투자 원칙과 방법론은 현시대에도 여전히 유용하며 앞으로도 변함이 없을 거라 확신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