샘터 2017.11
샘터 편집부 지음 / 샘터사(잡지) / 2017년 9월
평점 :
품절


 

 

 

11월을 뜻하는 우리말 달 이름은 가을을 힘있게 밀치면서 겨울로 향하는 달이라 미틈달이라고 한다.

아침, 저녁으로 불어오는 바람에 저절로 몸이 움츠려 드는 것을 보니 가을이 서서히 밀려나고 조금씩 겨울이 고개를 내미는 중인가보다.

 

 

 

이달에 만난 사람 사랑으로 지켜온 ‘24시간 심야약국’ 김유곤 님

올해로 8년째 24시간 심야약국을 운영하는그는 365일 연중무휴로 문을 열어두는 바른손약국의 유일한 약사다. 안전상비약의 편의점 판매를 놓고 사회적 논쟁이 벌어지던 무렵, 부천 약사회장을 맡고 있던 후배의 부탁으로 새벽 2시까지 운영하던 시범사업에 참여했던 게 계기가 였다. 다른 약사들이 모두 난색을 표해 등 떠밀리듯 시작했던 심야약국이 장장 8년이나 계속될 줄 그 당시 꿈이나 꾸었을까.


환자를 상대하는 게 단지 돈을 벌기 위한 일이라고만 생각하면 그 단조로운 생활을 어떻게 견디겠어요. 그런데 환자들과 ‘놀이’를 하고 있다고 생각하면 심야에 환자들이 찾아와도 기분 좋게 웃어줄 수가 있습니다. 심야약국 놀이는 저한테도 인생의 참의미를 알려주었습니다. 건강이 허락하는 한 언제까지고 계속할 겁니다.

환자를 돈으로만 보는 사람들도 많은데 약사 본인이 자의로 계속 운영해왔다는 이유만으로 공공심야약국 지원금도 받지 못하는 상황에서 본인의 사생활까지도 포기하면서 급한 용무를 제외하고는 하루 24시간 동안 약국에서 머문다는게 정말 쉬운 일이 아니다. 남들은 다들 꺼려하는 일이건만 아픈 사람들에게 도움이 되고자 희생하는 모습에 절로 박수가 나온다.

 

 

 

브랜드 다이어리 / 펭귄출판사

 펭귄은 여느 출판사와 달리 브랜드 자체만으로 고유의 철학을 전한다. 대부분의 서적들은 저자와 제목, 목차가 잘 보이도록 디자인되어 있다. 출판사 이름은 전면에 등장하지 않거나 매우 작게 표시돼 있다. 책을 만드는 고유한 철학이나 정신이 드러나지 않으며 책에 따라 디자인이 제각각이다. 하지만 펭귄의 책에서는 펭귄 로고가 확실하게 눈에 띄며 그 힘은 매우 강력하다.  

보통 책을 고른다하면 제목이나 작가, 책의 내용을 보지 출판사만을 보진 않는다. 펭귄출판사라는 브랜드 자체를 하나의 상징으로 만들기까지 수많은 노력이 뒷받침 되었을 것이다. 이제 펭귄은 출판사를 뛰어넘어 대중들에게 문화의 아이콘이 되었다. 장르나 종류와 상관없이 좋은 내용을 담고 있을꺼라는 믿음, 우리나라에도 이런 문화의 아이콘이 하나쯤 탄생되었으면 하는 바람을 가져본다.

 

 

샘터에 11월이라고 찍힌 글자를 보니 2017년도 이제 얼마남지 않았다.

아무것도 해놓은 것도 없는데 그저 시간만 보내버린것 같아 이대로 보내기 서운한 마음이 들기도 한다.

매달 집으로 오는 샘터는 마치 잘 포장되어진 선물을 받는 것 마냥 가슴이 설레이고 이번에는 어떤 이야기들이 담겨 있을지 기다려진다. 뉴스에서는 매일 들어도 기분이 좋지 않는 소식들이 쏟아져 나와 절로 한숨이 쉬어지는데 샘터가 들려주는 이야기는 감동을 받아서 또는 안타까운 마음에 눈물을 흘리기도 하고 즐거워서 같이 행복해서 입꼬리가 올라가 웃음을 짓기도 하는 등 곳곳들이 가슴에 온기를 불어 넣어주는 이야기들로 가득 담겨 책에서 사람냄새가 난다. 

그래도 아직은 우리가 사는 세상이 따뜻한 것 같아서 더 기대하고 기다리는지도 모르겠다. 

이제 마지막 샘터 12월호는 어떤 소식들로 가득 채워질지 벌써부터 기다려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