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저널리스트 : 카를 마르크스 더 저널리스트 3
카를 마르크스 지음, 김영진 엮음 / 한빛비즈 / 2020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 사회는 소리 없는 혁명을 겪고 있다. 거스를 수 없는 이 혁명은 지진이 자신이 파괴할 건물에 신경 쓰지 않듯 자신이 파괴할 인간의 존재에 아랑곳하지 않는다. 새로운 삶의 조건을 받아들이기 너무 약한 계급과 인종은 이제 물러나야 한다. 경제학자들은 이런 통탄할 변화가 자본가들, 즉 지주와 대부업자의 소유욕에 우리 사회가 적응하는 과정일 뿐이라고 진심으로 믿기도 한다. 이렇게 덜 떨어지고 근시안적인 시각이 또 어디 있을까? (p.37)

 

파업과 연대의 진가를 제대로 이해하려면 파업과 연대를 통한 경제적 이득이 겉보기에 그리 크지 않다는 점에 매몰되지 말아야 한다. 대신 정신적, 정치적 성과를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현대 산업은 주기적으로 불경기와 호황, 경기 과열, 위기, 빈곤기의 큰 흐름을 반복한다. 그 결과 임금이 오르내리고, 임금과 이윤의 변동에 따라 고용주와 노동자 사이의 계속된 투쟁이 벌어진다. 이렇게 큰 흐름이 반복되는 과정이 없다면 영국과 유럽 전역의 노동 계층은 기력이나 의지를 잃고 저항할 줄 모르는 집단이 되고 말 것이다. 그리고 노동자들의 자기 해방은 고대 그리스와 로마 노예의 경우처럼 불가능해질 것이다. 여기서 우리가 잊지 말아야 할 점은, 중세시대 농노들의 파업과 연대 조직 구성이 있었기에 코뮌 형성이 가능했고, 코뮌이 결과적으로 오늘날 지배층인 부르주아 계층을 낳았다는 사실이다. (p.63)

 

 

카를 마르크스, 그는 사상가이기 전에 저널리스트였다. 사실에 입각해 글을 쓰는 진정한 저널리스트! 이 책은 저널리스트 마르크스의 이미지가 가장 잘 드러난 17편의 기사, 그리고 ‘자본론의 입문서’라 불리는 <임금노동과 자본>을 새로 번역해 놓은 책으로 그가 <자본론>을 쓰기 이전, 기자 마르크스가 물질적 이해관계에 눈을 뜨는 과정을 잘 보여준다. 마르크스가 왜, 어떤 과정을 통해 사상을 구체화했는지 그 맥락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언론은 어떻게 진실을 왜곡하는가? 노동자가 목소리를 내는 일은 왜 중요한가? 자유무역의 번영 이면에는 어떤 그림자가 있는가? 자기주장을 뒷받침하는 자료를 하나하나 열거하고 분석하는 접근법으로 신문 기사와 책, 보고서, 통계 수치를 곱씹으며 기사를 썼던 그의 모습 속에서 저널리스트의 면모를 엿볼 수 있다. “나는 아무 말이나 함부로 하지 않는다.” 홀로 버틴 그의 열정과 노력에 박수를! 시대는 달라졌으나 지금 현재에서도 그의 질문들은 변함없이 유효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